$\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치과용 신규 프리폴리머의 합성 및 유기 매트릭스의 제조
Synthesis of Novel Prepolymers Containing No Bisphenol A and Preparation of Organic Matrices for Dental Applicatio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0 no.6, 2006년, pp.538 - 544  

손준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  이기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  박귀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  김재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  안광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  김중현 (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 ,  한동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비스페놀 A를 함유한 2,2-bis[4- (2'-hydroxy-3'-methacryloyloxypropoxy)phenyl]propane(Bis-GMA)을 대체할 수 있는 화학적 구조가 Bis-GMA와 유사한 2종류의 신규 2관능성 methacrylated prepolymer인 170-2MA와 631-2MA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pre-polymer를 희석제와 다른 단량체를 혼합하여 새로운 치과용 유기 매트릭스를 제조하였으며, 신규 prepolymer치 수율과 점도 및 화학적 구조와 유기 매트릭스의 물리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2종류의 에폭시 화합물과 methacrylic acid의 개환반응에 의해서 각각 methacrylation하여 합성된 prepolymer는 90% 이상의 높은 반응 수율을 보였으며 control인 Bis-GMA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보였다. 또한 합성된 methacrylated prepolymer는 Bis-GMA와 유사한 화학적 구조임을 $^1H-NMR$과 FTIR 분석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2종류의 합성 prepolymer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매트릭스의 경화시간, 중합 수축률, 광전환율, 중합깊이 및 압축강도는 control인 Bis-GMA를 함유한 것에 비해서 비슷하거나 약간 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합성한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170-2MA와 631-2MA prepolymer는 현재 사용중인 Bis-GMA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치과용 고분자재료로 충분히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kinds of novel bifunctional methacrylated prepolymers (170-2MA and 631-2MA) which have similar structure with 2,2-bis[4- (2'-hynroxy-3'-methacryloyloxypropoxy)phenyl] propane (Bis-GMA) was synthesized for dental applications as an alternative to Bis-GMA containing bisphenol A that is doubtful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Kore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21 2종류의 prepolymer와 Bis-GMA의 광전환율(degree of photocon­ version) attenuated total reflection-Fourier transform infrared(ATR-FTI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특성 피크는 1608 cm-1의 aromatic 벤젠의 이중결합 흡수피크와 1638 crrL의 aliphatic methacrylate의 이중결합 흡수피크로, 광중합 전과 후의 피크 면적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 Bis-GMA 를 25 °C에서 각각 측정하였고, 화학적 구조는 chloroform-d 용매를 사용한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H-NMR, Gemini 200 MHz, Varian) 와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IFS 66 spectrometer, Bruker) 로 분석하였다. 유기 매트릭스의 경화시간과 광중합 수축률은 Linometer RB404(R&B, Inc.
  • Methacrylated Prepolymer를 이용한 유기 매트릭스의 제조 Table 1 에 나타낸 조성비와 같이, 앞서 합성한 methacrylated pre­ polymer (60 wt%)를 사용하여 치과 수복용 유기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즉,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희석제인 TEGDMA를 10~ 40 wt%까지 사용하였으며, 광개시 시스템으로는 광증감제인 CQ 와 광개시저](환원제) 인 EDMAB를 각각 1 및 2 wt% 사용하였다.
  • 유기 매트릭스의 물리적 물성. Table 1에 Bis-GMA와 170-2MA 및 631-2MA를 사용하여 희석제인 TEGDMA와 중합 단량체인 UDMA를 조성별로 혼합하여 제조한 치과 수복용 유기 매트릭스를 나타낸 것이다 매트릭스 제조를 위한 혼합비는 각 prepolymer에 따라서 희석제만을 혼합한 매트릭스와 희석제 및 중합 단량체를 같이 혼합한 매트릭스로 나누어 제조하였으며,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과 수복재가 주로 Bis-GMA : TEGDMA=7 : 3에서 6 : 4 의 혼합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이와 비슷한 혼합비율을 선택하였다.
  •  또한 광중합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중합 단량체인 UDMA를 0~30 wt%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유기 매트릭스의 명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Bis-GMA를 BG로, 170-2MA를 A로 631-2MA를 B로 각각 칭했으며 그 조성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BG-631 의 경우 Bis-GMA prepolymer의 함량이 60 wt%, TEGDMA가 30 wt%, UDMA가 10 wt% 각각 함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이때 사용된 특성 피크는 1608 cm-1의 aromatic 벤젠의 이중결합 흡수피크와 1638 crrL의 aliphatic methacrylate의 이중결합 흡수피크로, 광중합 전과 후의 피크 면적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치과용 수복재에서 매우 중요한 물성인 중합깊이 (poly­ merization depth)를 측정하기 위하여 20 mm의 깊이를 가진 원통형의 몰드에 각 prepolymer와 Bis-GMA 매트릭스를 넣고 20초 동안 광중합을 행하여 중합된 깊이로부터 평가하였다. 또한 유기 매트릭스의 압축강도 (compressive strength)는 4x10 mm의 몰드에 매트릭스를 넣고 광중합시켜서 시료를 만든 다음 Ins tron 사의 만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 최종적으로 2개의 methacrylate기를 양쪽에 갖는 점성이 있는 연노란색 액체인 2관능성 170-2MA prepolymer를 얻었다. 또한 2관능성 methacrylated YDPN-631 prepolymer(이하 631~ 2MA로 약칭함)는 에폭시 화합물인 YDPN-631 을 사용하여 170-2MA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얻었다.
  • 즉,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희석제인 TEGDMA를 10~ 40 wt%까지 사용하였으며, 광개시 시스템으로는 광증감제인 CQ 와 광개시저](환원제) 인 EDMAB를 각각 1 및 2 wt% 사용하였다. 또한 광중합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중합 단량체인 UDMA를 0~30 wt%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유기 매트릭스의 명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Bis-GMA를 BG로, 170-2MA를 A로 631-2MA를 B로 각각 칭했으며 그 조성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 그리고 치과용 수복재에서 매우 중요한 물성인 중합깊이 (poly­ merization depth)를 측정하기 위하여 20 mm의 깊이를 가진 원통형의 몰드에 각 prepolymer와 Bis-GMA 매트릭스를 넣고 20초 동안 광중합을 행하여 중합된 깊이로부터 평가하였다. 또한 유기 매트릭스의 압축강도 (compressive strength)는 4x10 mm의 몰드에 매트릭스를 넣고 광중합시켜서 시료를 만든 다음 Ins tron 사의 만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 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비스페놀 A가 함유된 Bis-GMA를 대체할 수 있는 저점도의 새로운 치과 수복용 고분자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2종류의 신규 2관능성 (bifunctional) methacrylated prepolymer# 합성하였으며 이 prepolymer# 이용하여 희석제와 중합 단량체를 조성별로 혼합한 유기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prepolymer의 수율, 점도 및 화학적 구조와 제조된 유기 매트릭스의 경화시간, 중합 수축률 광 전환율, 중합깊이 및 압축강도를 분석하여 control인 Bis-GMA와 비교하였다.
  • 유기 매트릭스의 경화시간과 광중합 수축률은 Linometer RB404(R&B, Inc., Kore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21 2종류의 prepolymer와 Bis-GMA의 광전환율(degree of photocon­ version) attenuated total reflection-Fourier transform infrared(ATR-FTI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21 2종류의 prepolymer와 Bis-GMA의 광전환율(degree of photocon­ version) attenuated total reflection-Fourier transform infrared(ATR-FTI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특성 피크는 1608 cm-1의 aromatic 벤젠의 이중결합 흡수피크와 1638 crrL의 aliphatic methacrylate의 이중결합 흡수피크로, 광중합 전과 후의 피크 면적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치과용 수복재에서 매우 중요한 물성인 중합깊이 (poly­ merization depth)를 측정하기 위하여 20 mm의 깊이를 가진 원통형의 몰드에 각 prepolymer와 Bis-GMA 매트릭스를 넣고 20초 동안 광중합을 행하여 중합된 깊이로부터 평가하였다.
  • 계속해서 MgSCU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서 mechanical stirrer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때, 합성된 prepolymer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중합 금지제인 MEHQ와 BHT를 각각 300과 200 ppm을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2개의 methacrylate기를 양쪽에 갖는 점성이 있는 연노란색 액체인 2관능성 170-2MA prepolymer를 얻었다.
  • 제조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prepolymer의 수율, 점도 및 화학적 구조와 제조된 유기 매트릭스의 경화시간, 중합 수축률 광 전환율, 중합깊이 및 압축강도를 분석하여 control인 Bis-GMA와 비교하였다.
  • Figure 1은 현재 치과 수복용 유기 매트릭스의 prepolymer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is-GMA의 화학구조식을 나타낸 것으로, 그림에서와 같이 화학 구조식 중간에 비스페놀 A를 함유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새롭게 합성한 methacrylated prepolymer의 화학적 구조는 Bis- GMA와 유사하나 비스페놀 A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이 다. 즉 본 연구에서는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2가지의 에폭시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methacrylated prepolymer를 합성하였다. Figures 2와 3은 새로운 형태의 2관능성 methacrylated prepolymer의 합성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2가지 종류의 신규합성된 prepolymer인 methacrylated YDF-170(170-2MA) 과 methacrylated YDPN-631 (631-2MA)은 화학적 구조가 거의 비슷하나 631-2MA가 170-2MA보다 분자량이 약 20% 크므로 그에 따른 물리적 및 기계적 물성이 약간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즉,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희석제인 TEGDMA를 10~ 40 wt%까지 사용하였으며, 광개시 시스템으로는 광증감제인 CQ 와 광개시저](환원제) 인 EDMAB를 각각 1 및 2 wt% 사용하였다. 또한 광중합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중합 단량체인 UDMA를 0~30 wt%로 첨가하였다.
  • 현재 치과용 고분자 재료의 prepolymer로 사용되고 있는 Bis- GMA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로 추정되는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은 2종류의 새로운 2관능성 methacrylated prepoly- mer(170-2MA와 631-2MA)를 합성한 다음 각각의 prepoly­ mer-^] 희석제와 중합 단량체를 혼합한 치과 수복용 신규 유기 매트릭스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재료 및 시약. 2종류의 methacrylated prepolymer# 합성하기 위하여 에폭시 화합물로 Aldrich사의 bis (4-glycidyloxyphenol) methane (YDF-170) 과 poly [(phenylglycidylether) - co~form 一 aldehyde] (YDPN-631X 각각 사용하였다. 에폭시 화합물의 methacrylation을 시키기 위해서 Aldrich사의 methacrylic acid 를 사용하였으며, 반응촉매 및 중합금지제로는 TCI사의 4-di- methylaminopyridine (DMAP) 및 Aldrich사의 4-methoxy - phenol (MEHQ) 과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각각 사용하였다 유기 매트릭스의 희석제와 단량체로는 Aldrich사의 tri­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와 UDMA를 사용하였고, 광증감제 및 광개시제(환원제)는 camphorquinone (CQ) 및 ethyl p— dimethylamino benzoate (EDMAB) 를 각각 사용하였다.
  • 에폭시 화합물의 methacrylation을 시키기 위해서 Aldrich사의 methacrylic acid 를 사용하였으며, 반응촉매 및 중합금지제로는 TCI사의 4-di- methylaminopyridine (DMAP) 및 Aldrich사의 4-methoxy - phenol (MEHQ) 과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각각 사용하였다 유기 매트릭스의 희석제와 단량체로는 Aldrich사의 tri­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와 UDMA를 사용하였고, 광증감제 및 광개시제(환원제)는 camphorquinone (CQ) 및 ethyl p— dimethylamino benzoate (EDMAB) 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control prepolymer로는 Aldrich사의 Bis~GMA (Figure 1)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다른 시약들은 1급 제품으로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 2종류의 methacrylated prepolymer# 합성하기 위하여 에폭시 화합물로 Aldrich사의 bis (4-glycidyloxyphenol) methane (YDF-170) 과 poly [(phenylglycidylether) - co~form 一 aldehyde] (YDPN-631X 각각 사용하였다. 에폭시 화합물의 methacrylation을 시키기 위해서 Aldrich사의 methacrylic acid 를 사용하였으며, 반응촉매 및 중합금지제로는 TCI사의 4-di- methylaminopyridine (DMAP) 및 Aldrich사의 4-methoxy - phenol (MEHQ) 과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각각 사용하였다 유기 매트릭스의 희석제와 단량체로는 Aldrich사의 tri­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GDMA) 와 UDMA를 사용하였고, 광증감제 및 광개시제(환원제)는 camphorquinone (CQ) 및 ethyl p— dimethylamino benzoate (EDMAB) 를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control prepolymer로는 Aldrich사의 Bis~GMA (Figure 1)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다른 시약들은 1급 제품으로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 이때, 합성된 prepolymer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중합 금지제인 MEHQ와 BHT를 각각 300과 200 ppm을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2개의 methacrylate기를 양쪽에 갖는 점성이 있는 연노란색 액체인 2관능성 170-2MA prepolymer를 얻었다. 또한 2관능성 methacrylated YDPN-631 prepolymer(이하 631~ 2MA로 약칭함)는 에폭시 화합물인 YDPN-631 을 사용하여 170-2MA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 Kloas, I. Lutz, and R. Einspanier, Sci. Total Environ., 225,59 (1999) 

  2. Long, X. Steinmetz, R. Ben-Jonathan, N. CaperellGrant, A. Young, P. C. M. Nephew, and K P. Bigsby, Environ. Health Perspect., 108, 243 (2000) 

  3. C. S. Dannis, Biometerials, 19, 467 (1998) 

  4. J. F. McCabe, Biomaterials, 19, 521 (1998) 

  5. N. Nishiyama, Adv. Dent. Polym., 47, 146 (1998) 

  6. B. Boutevin, J. P. Parisi, J. J. Robin, and C. Roume, Polym. B, 28, 627 (1992) 

  7. R. Labella, M. Braden, R. L. Clarke, and K. W. M. Davy, Biometerials, 17, 431 (1996) 

  8. J. W. Stansbury and J. M. Antonucci, Dent. Meter., 15, 166 (1999) 

  9. B. Sandner, S. Baudach, K. W. M. Davy, M. Braden, and R. L. Clarke, J. Mater. Sci. Mater. Med., 17, 39 (1997) 

  10. K. W. M. Davy, M. R. Anseau, M. Odlyha, and G. M. Foster, Polym. Int., 43,143 (1997) 

  11. K. W. M. Davy, S. Kalachandra, M. S. Pandain, and M. Braden, Biomaterials, 19, 143 (1997) 

  12. N. Moszner and U. Salz, Prog. Polym. Sci., 26, 535 (2001) 

  13. T. Endo and W. J. Bailey, J. Polym. Sci., Polym. Lett. Ed., 18, 25 (1980) 

  14. T. Endo, M. Okawara, N. Yamazaki, and W. J. Bailey, J. Polym. Sci., Polym. Chem. Ed., 19, 1283 (1981) 

  15. K. Tanigaki, K. Saigo, Y. Ohnishi, H. Kato, K. Mizutani, T. Ogasawara, and T. Endo, J. Appl. Polym. Sci., 30, 1419 (1985) 

  16. C. S. Wang and J. Mater. Sci. Lett., 18, 1259 (1992) 

  17. J. W. Stansbury, J. Dent. Res., 71, 1408 (1992) 

  18. C. M. Chung, J. G. Kim, and J. H. Choi, J. Appl. Polym. Sci., 77, 1802 (2000) 

  19. J. G. Kim and C. M. Chung, Biomaterials. 24, 3845 (2003) 

  20. C. M. Chung, J. G. Kim, M. S. Kim, K. M. Kim, and K. N. Kim, Dent. Meter., 18, 174 (2002) 

  21. C. M. Chung, M. S. Kim, J. G. Kim, and D. O. lang, J. Biomed. Mater. Res., 62, 622 (2002) 

  22. M. S. Sheela and K. T. Selvy, J. Appl. Polym. Sci., 42 561 (1991) 

  23. Y. Kim, J. Y. Lee, K. G. Park, C. K. Kim, and O. Y. Kim Polymer(Korea), 28, 426 (2004) 

  24. H. Tarumi, S. Imazato, A. Ehara, S. Kato, N. Ebi, and S Ebisu, Dent. Mater., 15, 23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