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A Study on Clothing Image Evalua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lf-Image Classific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11 = no.158, 2006년, pp.1608 - 1617  

심정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fashion, it is important for consumers to find out under what kinds of reasons consumers choose and prefer the clothing products as consumers are interested in clothing and have variety of their styles to choose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elf-image of the middle-ag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자기 이미지 유형에 따른 집단별 의복 이미지 평가에 대해 알아본다.
  • 4. 자기 이미지 유형에 따른 집단별 선호 의복 스타일에 대해 알아본다.
  • 개인은 현실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를 지니며, 이 두 가지 측면의 자기 이미지가 항상 일치하지 않으므로 의류제품을 통해 현실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 사이의 거리를 좁히며 자신을 표현하고자 한다.
  • 인간은누구나 아름답고 매력적인 신체를 가지고 싶어 하며,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타인에게 전달해 보이기를원한다. 그리고 상징적인 제품인 의복을 통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자아를 표현하고자 하며, 자신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의복을 선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외되었던 만 35~59세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을 밝히고, 자기 이미지 유형에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의복 스타일을 살펴봄으로써 중년 여성의 의복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35~59세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이미지에 따른 의복 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상황별 의복 스타일 선택의 차이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자기 이미지에 따라 중년 여성의 유형을 분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미영, 이은영. (1983). 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른 의복 불만감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7(2),27-35 

  2. 김양진. (1996). 유행 의복 이미지가 개인의 자아개념과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영인, 고애란, 홍희숙. (2000) .의복 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 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4(1), 3-14 

  4. 김은애, 이명희. (1992). 가치관과 의복이미지 및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 1(18), 269-281 

  5. 김일분, 유태순. (1999). 의복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복식, 45(1), 103-119 

  6. 김재용. (1988). 소비자의 자아개념과 구매의사결정과의 상호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칠순, 이훈자. (1999). IMF 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진의류 시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2(3), 447-458 

  8. 김현주. (1996).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 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현주, 김문숙, 유동근. (1995). 의류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패션 라이프스타일, 자아 이미지, 상황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5), 774-789 

  10. 나영은. (1992). 의복 스타일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유사성과 친숙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남미우. (1987). 여대생의 자아 이미지와 선호 상표 이미지와의 일치도가 의복 구매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은주. (1987). 의복선택기준에 관한 측정지 개발의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4(4), 33-45 

  13. 신은정. (2000). 웨딩드레스 이미지 선호도와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심정희. (2003). 중년 여성의 체형에 대한 자기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27(1), 18-28 

  15. 염인경, 김미숙(2004). 자기이미지에 따른 착용이미지, 추구 의복 이미지 및 의복구 매행동. 복식문화연구, 12(1), 90-103 

  16. 위은하, 김옥진. (2001). 중년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수트의 형태구성요인의 조합에 따른 시각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5(3), 525-536 

  17. 이명희(1993). 한국과 미국 남녀 대학생의 의복이미지 선호도와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3), 367-379 

  18. 이은영, 정인희.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207-217 

  19. 이인자, 이경희, 신효정. (2001).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20. 장은영. (1994). 의류상품 이미지에 의한 의복선택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장은영, 이선재. (1994). 의류상품 이미지에 의한 의복 구매 과정 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471-484 

  22. 정근택. (1987). 상표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황주란. (1989). 상황별 의복 선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渡邊澄子, 川本榮子, 黑田喜久枝, 中川早苗. (1993). 服裝お けるイメ-ジとデザイン との關聯について(第1報)-イテ-ジを構成する主要因子とデザインとの關聯-. 日本 家政學會雜誌, 44(2), 85-97 

  25. 橋本令子, 加藤雪枝. (1994). 個性による着裝イメホジの表現. 日本家政學會雜誌, 45(7), 53-62 

  26. Gibbins, K. & Coney, J. R. (1981). Meaning of physical dimension of woman's cloth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20-722 

  27. Gutman, J. & Mills, M. 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 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 64-86 

  28. Landon, E. L. (1974). Self concept, ideal self concept,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 44-51 

  29. Osgood, C., Suci, G, & Tannenbaum, P.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Co 

  30. Rosenberg, R.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Inc 

  31. Zenter, M. A. S. (1971). Perception of clothing usage, clothing attitudes and practices and self-accept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The Stat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