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동적 콘관입 시험의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한 현장 지지력시험 상호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ield Bearing Capacity Tests to Evaluate the Field Application of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원문보기
포장하부구조의 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평판재하시험(Plate Bearing Test) 현장 CBR시험(California Bearing Ratio Test) 등이 있으나, 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어, 많은 연구자들은 현장에서 포장하부구조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으로 동적 콘 관입시험(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CP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4개 현장의 노상층과 보조기층에서 DCP, 평판재하시험, 현장CBR시험, FWD시험을 동시에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CPI, $M{FWD},\;PBT\underline{\;}K_{30}$은 서로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BR은 다른 결과 값들과 비교한 결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로부터 $DCPI-M_{FWD},\;DCPI-PBT\underline{\;}K_{30}$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M_{FWD}=993.10\Big(\frac{1}{DCPI}\Big)+33.95\;R^2=0.774$$$M_{FWD}=3.7533K_{30}+23.085\;R^2=0.69$$
포장하부구조의 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평판재하시험(Plate Bearing Test) 현장 CBR시험(California Bearing Ratio Test) 등이 있으나, 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어, 많은 연구자들은 현장에서 포장하부구조의 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으로 동적 콘 관입시험(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CP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4개 현장의 노상층과 보조기층에서 DCP, 평판재하시험, 현장CBR시험, FWD시험을 동시에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CPI, $M{FWD},\;PBT\underline{\;}K_{30}$은 서로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BR은 다른 결과 값들과 비교한 결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로부터 $DCPI-M_{FWD},\;DCPI-PBT\underline{\;}K_{30}$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M_{FWD}=993.10\Big(\frac{1}{DCPI}\Big)+33.95\;R^2=0.774$$$M_{FWD}=3.7533K_{30}+23.085\;R^2=0.69$$
Plate Bearing Test(PBT) and California Bearing Ratio Test(CBR) usually have been used to evaluate the bearing capacity of sub-layer in pavement system. However, these tests have shortcomings for which man powers and time are spent greatly. Many researchers proposed a simple Dynamic Cone Penetrometer...
Plate Bearing Test(PBT) and California Bearing Ratio Test(CBR) usually have been used to evaluate the bearing capacity of sub-layer in pavement system. However, these tests have shortcomings for which man powers and time are spent greatly. Many researchers proposed a simple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DCP) to evaluate the bearing capacity of sub-layers in pavement system. This study performed several field bearing capacity tests(DCP, PBT, CBR, FWD) to evaluate field performance of DCP on sub-base and subgrade at four test sections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ed that DCPI, $M_{FWD}$, and $PBT_K_{30}$ are highly correlated, but CBR and other test are not.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regression models between FWD, DCP, and PBT: $$M_{FWD}=993.10\Big(\frac{1}{DCPI}\Big)+33.95\;R^2=0.77$$$$M_{FWD}=3.7533K_{30}+23.085\;R^2=0.69$$
Plate Bearing Test(PBT) and California Bearing Ratio Test(CBR) usually have been used to evaluate the bearing capacity of sub-layer in pavement system. However, these tests have shortcomings for which man powers and time are spent greatly. Many researchers proposed a simple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DCP) to evaluate the bearing capacity of sub-layers in pavement system. This study performed several field bearing capacity tests(DCP, PBT, CBR, FWD) to evaluate field performance of DCP on sub-base and subgrade at four test sections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ed that DCPI, $M_{FWD}$, and $PBT_K_{30}$ are highly correlated, but CBR and other test are not.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regression models between FWD, DCP, and PBT: $$M_{FWD}=993.10\Big(\frac{1}{DCPI}\Big)+33.95\;R^2=0.77$$$$M_{FWD}=3.7533K_{30}+23.085\;R^2=0.69$$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DCP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총 4개 현장의 노상층과 보조기층에서 DCP.평판재하시험 .
가설 설정
1' 을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추정하였다.역산해석시 노상층 두께는 3m로, 프아송비는 노 상층, 보조기층 모두 0.35로 가정하였다.
제안 방법
평판재하시험 .현장 CBR 시험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시험을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DCP와 다른 실험들간에 데이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 데이터들간에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DCP와의 상관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현장 CBR 시험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시험을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DCP와 다른 실험들간에 데이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 데이터들간에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DCP와의 상관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875mm, 콘의 각도는 30°, 관입깊이는 762mm로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Scala는 그의 연구에서 DCPI(Dynamic Cone Penetrometer Index, DCP지수)와 CBR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포장하부구조의 현장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해 평판재하시험 (Plate Bearing Test), 현장 CBR시험 (California Bearing Ratio Test), 동적 콘 관입 시험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DCP),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그래프의 기울기 형상이 변하면 층이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인데, 본 그래프에서는 기울기에 일정한 것으로 보아 동일한 층임을 알 수 있다. 우측의 그래프는 깊이별DCPI (Dynamic Cone Penetration Index) 를 나타낸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층 깊이 30cm까지 측정된 DCPI의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6은 FWD 시험 제원 및 시험결과 예를 보여주고있다. FWD 시험에서는 한 지점에서 l, 250kgf, 2, 500kgf 두 개의 하중이 적용되었으며, FWD 시험을 통해 측정된 처짐량 데이터는 역산해석프로그램'Modulus 5.1' 을 이용하여 탄성계수를 추정하였다.역산해석시 노상층 두께는 3m로, 프아송비는 노 상층, 보조기층 모두 0.
A구간의 경우,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긴 구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5km 정도 떨어진 두 개의 현장에서 각각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데이터를 나누어서 통계수치를 계산하였다.
본 표에서는 각각의 지지력 시험에 대한 변동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변동계수를 산정하였다. 물론 각각의 시험위치마다 지지력 차이로 인한 시험값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각각의 시험법의 변동정도를 비교.
파악하기 위해 변동계수를 산정하였다. 물론 각각의 시험위치마다 지지력 차이로 인한 시험값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각각의 시험법의 변동정도를 비교.분석한다면 좀 더 실험적 오차가 적게 발생하는 시험법을 알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회귀분석에서는 총 6가지의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 본 결과를 볼 때 DCPI-Mfwd 사이 에는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형 중 결정계수가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역함수 모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DCPI-Mfwd 관계식을 다음과 제안하였다.
4. 본 연구에서는 DCPI-Mpwd, DCPI-PBT_K30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대상 데이터
Scala는 9kg의 낙하해머 (drop hammer)를 사용하였으며, 낙하거리는 508mme 다. 로드(rod)의 직경은 15.875mm, 콘의 각도는 30°, 관입깊이는 762mm로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Scala는 그의 연구에서 DCPI(Dynamic Cone Penetrometer Index, DCP지수)와 CBR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현장지지력 실험은 국내에서 건설 중인 LTPP 시험구간에서 이루어졌다. 본 실험은 총 4개 현장에서 노상과 보조기층에 25m~50m간격으로 수행되었으며, 각각의 구간 길이는 약500m 정도이다.
LTPP 시험구간에서 이루어졌다. 본 실험은 총 4개 현장에서 노상과 보조기층에 25m~50m간격으로 수행되었으며, 각각의 구간 길이는 약500m 정도이다.
이론/모형
CBR-DCPI 관계를 토대로 CBR과 탄성계수의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다.Heukelom and Komp(1962) 가 제안한 관계 식이 대표적인데 이 식은 '1993 AASHTO Guide for Design of Pavement Structures °1| 채택되어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 관계식은 실내 CBR값 10 이하의 잔골재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69를 나타내어 魄°과 Mfwd는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sq-Wwd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성능/효과
C구간 . D구간의 변동계수를 비교하여 보면, DCP는 노상층에서 약22%~32% 정도, 보조기층에서 약 12%~20% 정도의 변동정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DCP는 노상 층보다 입상재료층에서 더 큰 오차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시험 결과는 약간의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DCP는 노상 층보다 입상재료층에서 더 큰 오차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시험 결과는 약간의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C구간의 데이터를 보면, 일반적으로 변동계수가 작다고 알려진 Mfwd의 경우도 노상에서 21.93% 정도의 큰 변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실제 현장에서 위치별 노상재료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것이다. 회귀분석에서는 총 6가지의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 본 결과를 볼 때 DCPI-Mfwd 사이 에는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모형 중 결정계수가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역함수 모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DCPI-Mfwd 관계식을 다음과 제안하였다.
비교한 것이다. 본 시험결과를 보면, DCPI가약 8mm/blow 이하에서는 곡선의 기울기가 크며, 8mm/blow 이상에서는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울기가 완만한 부분에서 데이터의 편차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그림에서는Abu-Farsakh et al과 Chen et al이 제안한 식과 비교하였는데, DCPI 10~60mm/blow 범위 내에서 적용이 가능한 Chen et al 관계식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 과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Abu- Farsakh et al 관계식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과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K30 이 약 20~40k#cm3 범위에서 데이터가 약간 넓게분포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선형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회귀분석 결과, 결정계수 4가0.69를 나타내어 魄°과 Mfwd는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sq-Wwd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그림 9와 그림 10은 CBR-<wd, CBR-DCPI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BR과 Mfwd, DCPI와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기존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연구내용을 보면, CBR- Mfwd, CBR-DCPI 사이에 충분한 상관관계가 있음 .
분석결과 결정계수가 0.48정도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전반적으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추후 샘플수를 늘리고 실험의 변동성을 줄여나간다면 충분한 상관관계를 유도할 수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기존 콘크리트 포장설계법의 입력변수인 지지력계수를 추정하는데 있어 DCP 시험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DCP 실험이 시공 현장에서 품질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 총 4가지 종류의 현장지지력시험을 수행한 결과, 현장 CBR 시험이 다른 시험에 비해 데이터의 변동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FWD 시험의 경우 데이터의 변동성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2. 현장지지력 시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한 결과, DCPI, Mfwd, PBT_K3oe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나, CBRe 다른 결과값들과 비교한 결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현장 CBR 시험이 데이터의 변동성이 크고 다른 시험들과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현장 CBR 시험만이 상대적으로 실험위치 표면과 내부에 골재의 크기 및 존재여부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내용은 기존 연구내용과는 전혀 상반된 것이어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5. 본 연구결과 DCP는 현장에서 포장하부구조의 강성 .강도를 측정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울기가 완만한 부분에서 데이터의 편차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그림에서는Abu-Farsakh et al과 Chen et al이 제안한 식과 비교하였는데, DCPI 10~60mm/blow 범위 내에서 적용이 가능한 Chen et al 관계식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 과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Abu- Farsakh et al 관계식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과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
물론 각각의 시험위치마다 지지력 차이로 인한 시험값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각각의 시험법의 변동정도를 비교.분석한다면 좀 더 실험적 오차가 적게 발생하는 시험법을 알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상관성을 통해 추후 역학적-경험적 포장설계법의 도입시 포장하부구조의 탄성계수를 DCP 를 통해 추정할 수 있으며, 시공품질관리 측면에서 DCP의 활용이 크게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장 CBR 시험 만이 상대적으로 골재의 크기 및 존재여부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는 실제 현장적용에 있어 큰 오차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내용은 충분히 검증된 것이 아니기에 추후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8정도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전반적으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추후 샘플수를 늘리고 실험의 변동성을 줄여나간다면 충분한 상관관계를 유도할 수있다고 판단된다.
현장 CBR 시험이 데이터의 변동성이 크고 다른 시험들과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현장 CBR 시험만이 상대적으로 실험위치 표면과 내부에 골재의 크기 및 존재여부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내용은 기존 연구내용과는 전혀 상반된 것이어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DCP는 현장에서 포장하부구조의 강성 .강도를 측정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DCP는 실험방법이 간편하고 빠른 시간 내에 수행이 가능하여 시공구간의 전체 이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시공품질관리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