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ter line moving on the intertidal flat during a flood indicates depth contours between low and high water lines. The water lines extracted from the consecutive images are rectified to get the ground coordinates of each depth contour and integrated to provide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of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비교 결과 카메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을 제외하고는 현장 관측값과 매우 유사한 값을 보였다. 11월 관측에서는 두 대의 카메라를 운용하여 갯벌 지형 관측을 수행하였다. Fig.
  • 높은 고도에서 촬영이 이루어질경우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관측이 가능하고 또한 수직촬영에 의한 관측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1호 방조제 갯벌 관측의 경우 가까운 주변에 높은 건물이나 산이 없는 관계로 방조제 위에 카메라를설치하여 관측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육지쪽 방조제와 바다쪽 방조제에 두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동시에 관측하였다. 영상 관측 자료는 모두 실제 지상 좌표계로 변환이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카메라로 관측한 자료도 통합이 용이하다.
  • 근처 위도에서의 국립해양조사원 조석 예보자료에 의하면 9월 24일에는 관측 시간 동안 저조 118 cm 고조 550 cm로 약 432 cm의 조차를 보였고 11월 18일에는 관측 시간 동안 저조 36 cm 고조 631 cm로 약 595 cm의 조차를 보였다. 9월 관측에서는 육지쪽 방조제에 한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관측하였고 11월 관측에서는 추가로 간조정선근처의 방조제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관측하였다. 카메라의고도가 높지 않은 관계로 방조제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갯벌의 경우 약 500 m 거리까지 관측이 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시도한 조간대 백사장에 대한 영상 관측 방법을 조간대 갯벌 지형에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관측 지역은 새만금 간척 공사 이후 방조제외 측에서의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가 뚜렷하리라고 예상되는 변 산의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Fig. 1)로서 방조제 위에 1대 혹은 2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대조시 조간대 갯벌에 대한 지형 관측을 수행하였다.
  • 변산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조간대 갯벌 지형에서 밀물시 10 분 간격으로 연속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수륙경계선을 추출한 후공선 방정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지형 좌표를 산출하고 이들을 통합함으로서 등수심도를 구할 수 있었다. 조간대 갯벌 지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경사가 가파른조간대 백사장에서의 관측 결과와 마찬가지로 조간대 갯벌 지형에서도 현장 관측값에 근접한 수심값을 산출 할 수 있었다.
  • 이와 같이 영상의 기하 보정을 통하여 수직 영상으로의 변환이 가능하며 이 영상에서는 실제의 지형이 일정한 축적의 비율로 나타나므로 해안선 변화와 같은 거리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연구에서는 10분마다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수륙 경계선을 추출한 후 현장에서 관측한 수심값을 부여하여 식 (1)을 수행함으로서영상에 나타난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지상 좌표인(X, Y, Z)를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등심선을 모두 통합함으로서 간조정선에서부터 만조정선에 이르기까지의 조간대 갯벌지형에 대한 등수심도를 산출하였다.
  • 또한 영상관측의 경우 광량 조건도 중요한 요인인바 이에 대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9월 24일 오후 12시 48분부터 오후 7시 13분까지 그리고 2005년 11월 18일 오전 10시 9분부터 오후 4시 26분까지 수행한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근처 위도에서의 국립해양조사원 조석 예보자료에 의하면 9월 24일에는 관측 시간 동안 저조 118 cm 고조 550 cm로 약 432 cm의 조차를 보였고 11월 18일에는 관측 시간 동안 저조 36 cm 고조 631 cm로 약 595 cm의 조차를 보였다.
  • 그리고 최근에 조간대 지형 영상 관측 기술을 갯벌 지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조간대 백사장에 적용하여 그 정확도와 활용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김, 2006). 본 연구에서는 앞서 시도한 조간대 백사장에 대한 영상 관측 방법을 조간대 갯벌 지형에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관측 지역은 새만금 간척 공사 이후 방조제외 측에서의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가 뚜렷하리라고 예상되는 변 산의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Fig.
  •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구름 혹은 일몰/일출 시 광량의 영향을 받으므로 추가로 HSV(Hue, Saturation, Value)의 성분 특성도 동시에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분산 영상을 이용하여 해안선 즉 수륙 경계선을 구분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양이 많지 않은 관계로 가장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HES(Human Expert System)를 이용, 수작업을 통하여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향후 이에 대한 자동화 작업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10(c))를 살펴본 것이다. 비교를 위하여 관측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9월 관측 범위에 해당하는 자료에 한해서만 비교를 하였다. 비교 결과 전반적으로 퇴적현상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 바다 쪽 갯벌에서는 침식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카메라의고도가 높지 않은 관계로 방조제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갯벌의 경우 약 500 m 거리까지 관측이 가능하였다. 영상 관측은 밀물시 수륙 경계선이 간조 정선에 위치하였을 때부터 10분 간격으로 이루어졌으며 동시에 영상 기하보정을 위한 지상기준점(GCP) 관측과영상 관측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양식장 말뚝을 중심으로기선에 대한 현장 관측을 수행하였다.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밀물시 수륙 경계선의 이동속도와 현장이동의 어려움으로 많은 현장관측에는 제약이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10분마다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수륙 경계선을 추출한 후 현장에서 관측한 수심값을 부여하여 식 (1)을 수행함으로서영상에 나타난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지상 좌표인(X, Y, Z)를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등심선을 모두 통합함으로서 간조정선에서부터 만조정선에 이르기까지의 조간대 갯벌지형에 대한 등수심도를 산출하였다. Fig.
  • 두개의 등수심도를 통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겹치는 부분에 대한 처리 과정은 아직 연구 중에 있으며 카메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등을 주어 통합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두 자료간의 거리에 따른 내삽을 이용하여 하나의 등수심도로 통합하였으며 이를 9월 자료와 비교하였다(Fig. 10).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