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을 활용한 갯벌 지형 및 시계열 정보의 획득
Use of a Drone for Mapping and Time Series Image Acquisition of Tidal Zones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7 no.2, 2017년, pp.119 - 125  

오재홍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덕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이효성 (순천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갯벌은 우리나라의 하천 및 중국의 양자강과 황하 등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퇴적물이 밀물과 썰물에 의해 생성된 지형이며 오염정화, 어패류 생산 등에 있어 중요성이 아주 높다. 갯벌은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워 지상측량이 힘들어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공간 정보를 얻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 및 촬영 주기 등에 있어 단점이 있는 유인항공기 및 인공위성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산업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드론을 활용하여 갯벌 지형 생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라남도 영광 함평만 야월리 갯벌에 대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준점 측량, 시간대별 드론 영상 획득, 번들 조정, 입체영상 처리를 통하여 DSM(Digital Surface Model) 및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상호 좌표등록 등의 절차를 통해 단시간 내에 공간 정확성이 높은 갯벌의 시계열 공간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d flat in Korea is the geographical feature generated from the sediment of rivers of Korea and China and it is the important topography for pollution purification and fishing industry. The mud flat is difficult to access such that it requires the aerial survey for the high-resolution spatia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진의 종중복도(endlap) 및 횡중복도(sidelap)은 80%로 설정하였다. 갯벌의 경우 바람으로 인해 드론의 비행궤도에 순간적인 이탈이 발생할 수가 있고,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의 경우 고성능의 카메라가 아닌 이유로 렌즈수차(lens abberation)로 인해 영상 가장자리의 공간해상도가 저하되므로 중복도를 높여 이에 대한 영향을 줄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드론을 이용하여 갯벌 지형 및 시계열 정보 획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라남도 영광 함평만 야월리 갯벌에 대해 GPS 기준점 측량, 시간대별 드론 영상 획득, 번들 조정, 입체영상 처리를 통한 DSM 생성 및 정사영상 생성, 상호 좌표등록 등의 절차를 통해 단시간 내에 cm급 고해상도 및 공간 정확성이 높은 갯벌의 공간 정보 생성이 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드론의 장점을 활용하여 갯벌에 대한 시계열 공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간조부터 만조까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갯벌의 공간정보를 획득하였고, 간조 때 획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갯벌의 3차원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시간대별 데이터를 상호 처리하여 시계열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드론을 활용하여 갯벌 지형 및 시계열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간조로부터 만조까지 여러번 촬영을 번갈아 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팬텀 4와 팬텀 3 프로페셔널 2기의 드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드론을 활용하여 갯벌에 대한 시계열 지형 및 영상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림 1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선정된 대상지에 대해 갯벌 측량을 위한 기준점을 설치하고, 해당일에 대해 예측된 간조 및 만조 시간 사이에 약 30분 간격으로 드론 촬영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의 공간 정보를 얻기 위해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갯벌은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워 지상측량이 힘들기 때문에 갯벌에 대한 고해상도의 공간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항공기나 위성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활용하는 항공사진측량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갯벌 지형 및 시계열 정보 획득에 드론을 활용하는 경우 유인비행기에 비하여 어떤 장점이 있는가? 드론을 활용하는 경우 기존의 유인비행기 보다 매우 저고도로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여 공간해상도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갖고, 기존의 위성영상과 비교했을 때에도 해상도 뿐 아니라 취득 시기에도 구애를 받지 않아 큰 장점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갯벌의 지형 정보 및 변화 탐지, 생태학적 정보 수집, 위험 갯골 정보 수집 등에 있어 큰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유인항공기의 단점은 무엇인가? 유인항공기의 경우 유인항공기 특성상 운용비용이 비싸고 해당 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한 항공기의 개조가 필요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항공규제가 심한 경우 운용에 더욱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드론 등 무인항공기는 자동 비행 제어[8]가 가능하여 수치지도 갱신 등 공간정보 획득과 관련한 여러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고[9], 이를 갯벌 지형의 생성을 위한 연구 또한 제안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e Sook Suh, In Tae Lee, Won Jin Cho, Joong Sun Won, Seung Soo Chun, Keum Lan Kim, and Joo Hyung Ryu, "InIntertidal DEM Generation Using Waterline Extracted from Remotely Sensed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6, no. 3, pp. 221-233, 2000. 

  2. Joo-Hyung Ryu, Joong-Sun Won, Kyung Duck Min,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3, no. 3, pp. 442-456, December 2002. 

  3. S.W. Park and J.C. Jeong, "Extraction of DEM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using satellite imag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1, no. 1, pp. 13-22, 2003. 

  4. Yoon-Kyung Lee, Joo-Hyung Ryu, Sang-Hoon Hong, Joong-Sun Won, Hong-Rhyong Yoo, "A Study of DEM Generation in the Ganghwado Southern Intertidal Flat Using Waterline Method and InSAR,"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8, No. 3, pp. 29-38, 2006. 

  5. K. Ahn, H. Lee and D.J. Kim, "DEM Generation of Tidal Flat in Suncheon Bay Using Digital Aerial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7, no. 4, pp. 411-420, 2011. 

  6. K.L. Kim, J.H. Ryu, S.W. Kim and J.K. Choi, "Application of SAR DATA to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a Tidal Fla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6, no. 5, pp. 497-510, 2010. 

  7. J. Kim, "A Tidal Channel and Creeks Analysis Using Airborne LiDAR," Master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3. 

  8. E.H. Sun, T.H. Luat, D. Kim and Y.T. Kim, "A study on the image-based automatic flight control of mini drone", Jou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5, no. 6, pp. 536-541, 2015. 

  9. S.B. Lim, C.W. Seo, and H.C. Yun, "Digital map updates with uav photogrammetric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3, no. 5, pp. 397-405, 2015. 

  10. Bum-Jun Kim, Yoon-Kyung Lee, Joo-Hyung Ryu, SeungKuk Lee, and Kye-Lim Kim, "DEM generation of intertidal zone in Korea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2016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Beijing, 10-15 July 2016. 

  11. Jae-Hong Oh, Yang-Dam Eo, and Chang-No Lee, "A Photogrammetric Network and Object Field Design for Efficient Self-Calibration of Non-metric Digital Camer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4, no. 3, pp. 281-28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