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 가수분해시 가열방법과 시간 및 추출조건에 따른 대두가공 부산물의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Analysis of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By-products with Acid Hydrolysis Meth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0, 2006년, pp.1420 - 1426  

한진숙 (동의과학대학 식품과학계열) ,  홍희도 (한국식품연구원 전통식품연구본부) ,  김성란 (한국식품연구원 식품기능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러 유도체 형태로 존재하는 대두 isoflavone을 산 가수 분해 방법 및 시간을 달리하면서 isoflavone 배당체의 aglycone으로의 전환율 및 aglycone의 분해여부를 실험하였다. 산 가수분해시 가열처리 조건을 $105^{\circ}C$ 항온기, $95^{\circ}C$ 수욕조, $120^{\circ}C$ heating block 및 hot plate로 달리한 결과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고 heating block에서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이 가장 적절한 가수분해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 시간 동안 aglycone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 가수분해 시간인 60분 동안에는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모두 큰 함량변화가 없었다. 가수분해하는 시료의 양과 산의 비율은 시료 $10\sim30mg$당 1 N HCl 용액 1 mL의 비율이 적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정량법은 0.5 g의 대두 시료에 1 N HCl용액 15 mL를 첨가하고 $120^{\circ}C$의 heating block에서 60분간 가수분해시킨 후 methanol로 50 mL로 정용하고 HPLC로 분석하도록 확립하였다. 이에 따라 대두 가공부산물의 iosflavone을 분석한 결과 착유 및 착유 후 hexane 제거를 위한 열처리 공정에서 isoflavone의 손실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a rapid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soy isoflavone which is known to have lots of variation in derivatives of glucoside, conversion rate from isoflavone conjugates to its aglycones, and decomposition of conversed aglycones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acid hydrolysis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soflavone 함량을 분석한 많은 보고들에서 시료량과 가수분해 산의 비율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나(17, 24-26) 본 실험에서는 시료량이 많고 HC1 의 양이 적을 때 발생되는오차를 줄이고 균일한 분산과 재현성 있는 가수분해를 위한 적정 시료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금 콩을 분쇄한 후, 가수분해 용기에 각각 0.
  •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7, 24, 25). 본 연구에서는 산 가수분해 시 가열방법 및 가수분해 후 추출조건, 시료의 처 리방법 등을 검토하여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대두 isoflavone 함량을 정 량하기 위한 방법을 확립하고 isoflavone이 아직 많이 잔류하는 대두 부산물의 isoflavone 함량을 정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essina M, Persky V, Setchell KDR, Branes S. 1994. Soy intake and cancer risk: a review of the in vitro and in vivo data. Nutr Cancer 21: 113-131 

  2. Hendrich SK, Lee W, Xu X, Wang HJ, Murphy PA. 1994. Defining food components as new nutrient. J Nutr 124: 1789S-1792S 

  3. Kwoon TW, Song YS, Kim JS, Moon GS, Kim JI, Hong JH. 1998. Current research on the bioactive functions of soyfoods in Korea. Korea Soybean Digest 15: 1-12 

  4. Anderson JJB, Garner SC. 1997 The effects of phytoestrogens on bone. Nutr Research 17: 1617-1632 

  5. Walter ED. 1941. Genistein (an isoflavone glucoside) and its aglycon, genistein, from soya beans. J Am Chem Soc 63: 3273-3275 

  6. Naim M, Gestetner B, Kirson I, Birk Y, Bondi A. 1973. A new isoflavone from soya beans. Phytochem 12: 169-170 

  7. Ohta N, Kuwata G, Akihori H, Watanabe T. 1979. Isoflavone constituents of soybeans and isolation of a new acetyl daidzin. Agric Biol Chem 47: 1415-1419 

  8. Kudou S, Shimoyamada M, Imura T, Uchida T, Okubo K. 1991. A new isoflavone glycoside in soybean seeds (Glycine max Merrill), glycitein 7-O- $\beta$ -D-(6'-O-acetyl)-glucopyranoside. Agric Biol Chem 55: 859-861 

  9. Kudou S, Fleury Y, Welti D, Magnolato D, Uchida T, Kitamura K. 1991. Malonyl isoflavone glycosides in soybean seeds (Glycine max Merrill). Agric Biol Chem 55: 2227-2233 

  10. Klaus K, Brarz W. 1998. Formation of polyhydroxylated isoflavones from the isoflavones genistein and biochanin a by bacteria isolated from tempe. Phytochemistry 47: 1045-1048 

  11. Wang H, Murphy PA. 1994. Isoflavone content in commercial soybean foods. J Agric Food Chem 42: 1674-1677 

  12. Ikeda R, Ohata N, Watanabe T. 1995. Changes of isoflavones at various stages of fermentation in defatted soybean. J Jpn Soc Food Sci Technol 42: 322-327 

  13. Wang HJ, Murphy PA. 1996. Mass balance study of isoflavones during soybean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44: 2377-2383 

  14. Murphy PA, Song T, Buseman G, Barua K, Beecher K, Beecher GR, Trainer D, Holden D. 1999. Isoflavones in retail and institutional soy foods. J Agric Food Chem 47: 2697-2704 

  15. Choi YB, Sohn HS. 1998. Isoflavone content in Korea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45-750 

  16. Barnes S, Kirk M, Coward L. 1994. Isoflavones and their conjugates in soy foods: extraction conditions and analysis by HPLC-mass spectrometry. J Agric Food Chem 42: 2466-2474 

  17. Wang G, Kuan SS, Francis J, Ware GM, Carman AS. 1990. A simplifi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estrogens in soybean and its products. J Agric Food Chem 38: 185-190 

  18. Setchell KDR, Welsh MB. 1987.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phytoestrogens in soy preparations with ultraviolet, electrochemical and thermospray mass spectrometric detection. J Chromatog 386: 315-323 

  19. Fortis T, Adlercreutz H. 1987 The multicomponent analysis of estrogens in urine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C-MS. 1. Quantitation of estrogens after initial hydrolysis of conjugates. J Steroid Biochem 28: 203-213 

  20. Creeke PI, Wilkinson AP, Lee HA, Morgan MRA, Price KR, Rhodes MJC. 1998. Development of ELISAs for the measurement of the dietary phytoestrogens daidzein and equol in human plasma. Food Agric Immunology 10: 325-337 

  21. Mellenthin O, Galensa R. 1999. Analysis of polyphenols using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and HPLC: detection of soy, lupin and pea protein in meat products. J Agric Food Chem 47: 594-602 

  22. Haytowitz DB, Beecher GR, Bhagwat S, Holden JM, Murphy PA. 1999. Development of a database on the isoflavone content of foods. IFT Annual Meeting. p 106 

  23. Hutchins AM, Slavin JL, Lampe JW. 1995. Urinary isoflavonoid phytoestrogen and lignan excretion after consumption of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 products. J Am Diet Assoc 95: 545-551 

  24. Choi JS, Kwon TW, Kim JS. 1996.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Foods and Biotechnology 5: 91-93 

  25. Franke AA, Custer LJ, Cerna CM, Narala KK. 1994. Quantitation of phytoestrogens in legumes by HPLC. J Agric Food Chem 42: 1905-1913 

  26. Jeon KS, Hwang IK. 1999. Optimization of hydrolysis and extraction conditions for isoflavones in defatted soybean meal. Food Sci Biotechnol 8: 238-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