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MSO와 Glycerol 처리에 따른 점액세균의 글리세롤포자 형성능 조사
Glycerol-Spore Formation of Myxobacteria in the Presence of DMSO and Glycerol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4 no.4, 2006년, pp.335 - 337  

장은혜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도희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진우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경연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ycerol-spore formation of wild myxobacteria isolated in Korea has been tested. One third of the wild myxobacterial isolates belonged to the genus Myxococcus and Corallococcus produced a large number of glycerol-spores in the presence of glycerol or dimethyl sulfoxide. However, two third of the o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분산해서자라는 균주인 M. xanthus DZF1[5]을 사용하여 글리세롤 유도 포자형성의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M.
  • 따라서 글리세롤 유도에 의한 포자형성은 빈번히 접종에 사용되는 균주의 보존에 매우 간편하며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글리세롤 유도 포자형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자실체 연구의 모델 균주로 사용되는 극소수의 M. xanthus 균주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온 까닭에 다른 점액세균들도 M. xa”加s와 마찬가지로 글리세롤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M xanthusStigmatella aurantiaca 이외에는 특정 점액 세균 종류가 글리세롤포자를 형성했다는 직접적인 실험 결과가 실린 보고를 찾아볼 수 없다[1, 8, 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 xanthus 이외의 야생 점액세균들을 대상으로 글리세롤 포자 형성 여부를 조사하여 봄으로써 글리세롤 유도 포자형성에 의한 야생 점액세균 보관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workin, M. and W. Sadler. 1966. Induction of cellular morphogenesis in Myxococcus xanthus. I. General description. J. Bacteriol. 91: 1516-1519 

  2. Dworkin, M. and S. M. Gibson. 1964. A system for studying microbial morphogenesis: rapid formation of microcysts in Myxococcus xanthus. Science 146: 243-244 

  3. Kim, Y., W. Bae, and S. Baek. 2003. Bioactive substances from myxobacteri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1-12 

  4. Komano, T., S. Inouye, and M. Inouye. 1980. Patterns of protein production in Myxococcus xanthus during spore formation induced by glycerol, dimethyl sulfoxide, and phenethyl alcohol. J. Bacteriol. 144: 1076-1082 

  5. Morrison, C. E. and D. R. Zusman. 1979. Myxococcus xanthus mutants with temperature-sensitive, stage-specific defects: evidence for independent pathways in development. J. Bacteriol. 140: 1036-1042 

  6. O'Connor, K. A. and D. R. Zusman. 1997. Starvation-independent sporulation in Myxococcus xanthus involves the pathway for ${\beta}$ -lactamase induction and provides a mechanism for competitive cell survival. Mol. Microbiol. 24: 839-850 

  7. Park, S., B. Lee, J. Kim, C. Lee, E. Chang, and K. Cho.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lytic wild myxobacteri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2: 218-223 

  8. Reichenbach, H. and M. Dworkin. 1970. Induction of myxospore formation in Stigmatella aurantiaca (Myxobacterales) by monovalent cations. J. Bacteriol. 101: 325-326 

  9. Reichenbach, H., H. Voelz, and M. Dworkin. 1969. Structural changes in Stigmatella aurantiaca during myxospore induction. J. Bacteriol. 97: 905-911 

  10. Reichenbach, H. 1999. The ecology of the myxobacteria. Environ. Microbiol. 1: 15-21 

  11. Reichengbach, H. 2001. Myxobacteria, producers of novel bioactive substances. J. Ind. Microbial. Biotechnol. 27: 149-156 

  12. Reichenbach, H. and M. Dworkin. 1992. The myxobacteria. pp. 3416-3487. In Balows, A., H. G. Truper, M. Dworkin, W. Harder, and K. H. Schleifer (eds.), The Prokaryotes, 2nd ed., vol. IV, Springer Verlag, New York 

  13. Sadler, W. and M. Dworkin. 1966. Induction of cellular morphogenesis in Myxococcus xanthus. II. Macromolecular synthesis and mechanism of inducer action. J. Bacteriol. 91: 1520-1525 

  14. Shi, W., T. Kohler, and D. R. Zusman. 1994. Motility and chemotaxis in Myxococcus xanthus. Methods Mol. Gen. 3: 258-269 

  15. Shimkets, L. J. 1990. Social and developmental biology of the myxobacteria. Microbiol. Rev. 54: 473-501 

  16. Sudo, S. Z. and M. Dworkin. 1969. Resistance of vegetative cells and microcysts of Myxococcus xanthus. J. Bacteriol. 98: 883-887 

  17. White, D. 1993. Myxospore and fruiting body morphogenesis. pp. 307-332. In Dworkin, M. and D. Kaiser (eds.), Myxobacteria II. ASM Press,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