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로렐라 첨가 아펜젤러 치즈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Appenzeller Cheese Added with Chlorell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6 no.4, 2006년, pp.525 - 531  

허지연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신현정 (남양유업 중앙연구소) ,  오동환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조성균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양철주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공일근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이상석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최갑성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  최성희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김상철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최희영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배인휴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생리 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클로렐라를 실용적인 식재료로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클로렐라 Appenzeller 치즈를 제조하여 클로렐라 분말이 치즈숙성 중 유산균의 생육과 치즈 pH의 변화 및 단백질의 분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대조구보다 클로렐라가 첨가된 치즈에서 유산균수가 다소 높게 유지되었고, pH는 클로렐라 첨가구에서 대체로 더 낮았다. NPN과 NCN은 2.0% 첨가구가 대조구나 다른 첨가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지방과 조회분의 함량은 대조구가 첨가구보다 다소 높았고, 수분은 1.0%에서, 조단백 함량은 2.0%에서 가장 높았다.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치즈들은 관능 평가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1% 이하의 첨가 수준에서는 맛의 변화를 느낄 수 없었으며 특히 2.0%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얻어졌다 Appenzeller 치즈에 대한 클로렐라 분말의 적정 첨가 수준은 치즈의 맛, 외관, 향미 및 조직감 등을 고려했을 때 0.5%수준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Chlorella powder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ripening veloc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in Appenzeller cheese were investigated. Added levels of Chlorella powder were 0, 0.5, 1.0 and 2.0%.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 was higher in cheese added with Chlorella than thos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생리 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클로렐라를 실용적 인 식재료로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클로렐라 Appenzeller 치즈를 제조하여 클로렐라 분말이 치즈 숙성 중 유산균의 생육과 치즈 pH의 변화 및 단백질의 분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치즈에 생체 조절 기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 우수한 클로렐라를 첨가함으로써 클로렐라의 폭 넓은 식재료로서의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 건강 강화형 클로렐라치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들을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Bae, I. H. and Park, J. R. (1994) Proteolytic Characteristics of Tilsiter cheese made with bacteriophage-resistant mutants of Lactococcus lactis ssp. cremoris S10. Foods Biotechnol. 3, 77-82 

  3. Bae, I. H. (1988) Stud on properties and caseinolytic ac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from Saccharomysopsis lipolytica. Ph. D. thesis, Sungkyunkwan Univ. Seoul, Korea. pp. 78-79 

  4. Bae, I. H., Lee, S. W., Kim, G. Y, Nam, M. S., Oh, S. J., and Ha, W. G. (2005) Milk processing technology. Youhan. Publishing Co. Seoul. pp. 215-310 

  5. Dantas, D. C. and Queiroz, M. L. (1999) Effects of Chlorella vulgaris on bone marrow progenitor cells of mice infec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nt. J. Immunopharmacol. 21, 499-508 

  6. Hasegawa, T., Ito, K., Veno, S., Kumamoto, S., Ando, Y., Yammada, A., and Nomoto, K. (1999) Oral administration of hot water extracts of Chlorella vulgais reduces IgE production against milk casein in mice. Int. J. Immunopharmacol. 21, 311-323 

  7. Husain, S. R., Cillard, J., and Cillard, O. (198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istry 26, 2489-2491 

  8. Hull, M. E. (1947) Studies on milk protein. II.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the partial hydrolysis of the proteins in milk. J. Dairy Sci. 30, 881-884 

  9. Kessler, A., Knusel, H., Raemy, O., Rentsch, F., and Sollberger, H. (1990) Der Tilsiter und der Appenzeller. In: Kiisefabrikation. LMZ-Zollikofen, pp. 71-78 

  10. Kim, B. N. (1994) Chlorella. J. of Korean Natural Health 2, 93-107 

  11. Kim, C. K. (2002) ChIarella. Dulggotnuri, Seoul. pp. 55-58 

  12. Kim, D. H. (1998) Chlorella. Food Journal. 1, 64-69 

  13. Kim, H. K., Lee, S. G., Yang, C. Y., Yang, J. B., and Yoon, W. H. (1993) Animal food processing technology. Seji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1 

  14. Konishi, F., Mitsuyama, M., Okuda, M., Tanaka, K., and Hasegawa, T. (1996) Protective effect of an acidic glycoprotien obtained from culture of Chlorella vulgaris against myelosuppression by 5-fluorouracil. Cancer Immunol. Immunother. 42, 268-274 

  15. Korean Society for Cooking Technol. (1998) Cheese & cold cuisine. Heongsul Publishing Co., Seoul, pp. 14-19 

  16. Kwak, H. S. (1992) Sensory test of dairy products. Korean Dairy Technol. 10(1), 1-16 

  17. Kim, Y. H. (2004) The Function of ChIarella and dairy products. Proceding of 42nd Symposium of Society of Korean Life Science, Busan, Korea. pp. 49-65 

  18. Ledford, R. A., Sullivan, A. C., and Nath, K. R. (1966) Residual casein fractions in ripened cheese determined by polyacrylamide-gel electrophoresis. J. Dairy Sci. 49, 1098-1101 

  19. Mori, A. (1999) Charicteristics and Food value of ChIarella. Food Journal 8, 60-64 

  20. Morita, K. and Matsueda, T. (1999) ChIarella accelerates dioxin excretion in rats. J. Nutr. 192, 1731-1736 

  21. Murayama, I., Ando, Y., Maeda, T., and Hirayama, K. (1998) Uptake of vitamin Bl2 by various strains of unicellular algae Chlorella. Nippon Suisan Gakkaishi 55, 1785-1790 

  22. Nagano, Y., Watanabe, T., Houma, Y., and Suketa, T. (1978) Absorption and excretion of cadmium by the rat administered cadmium-containing Chlorella. Drug Chem. Toxieol. 24, 182-186 

  23. Okamoto, K., Lizuka, Y., Muradami, T., Miyake, H., and Suzuki, T. (1978) Effects of Chlorella alkali extracts on blood pressure in SHR. Jpn. Heart J. 19, 622-623 

  24. Park, S. N., Choi, S. W., Boo, Y. c., Kim, C. K., and Lee, T. Y. (1990) Effects of flavonoids of ginseng leaves on erythrocyte membranes against singlet oxygen caused damage. Korean J. Ginseng Sci. 14, 191-199 

  25. Pore, R. S. (1984) Detoxification of chlordecone poisoned rats with Chlorella and Chlorella derived sporopollenin. Drug Chem. Toxieol. 7, 57-71 

  26. Richardson, G. H. (198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15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pp. 203-218 

  27. Sano, T. and Tanaka, Y. (1987) Effect of dried, powdered Chlorella vulgaris on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and alimentary hypercholesterolemia in cholesterol fed rabbits. Artery 14, 76-84 

  28. SAS (1996)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9. Widcombe, R. (1980) The complete book of cheese. Tuttle-Mori Agency, Inc. Tokyo. pp. 26 

  30. Yamauchi, K., Kang, K. H., and Kaminogawa, S. (1975) Proteolysis by Debaryornyees hansenii and lactic starters in skim milk culture. Jap. J. Zooteehnol. Sci. 47, 12-17 

  31. 姜國?. 乳蛋白質分解における酵母pと乳酸菌の相互作用に關する硏究. 東京大學大學院博士學位論文. p. 50-52 

  32. 福井四朗 (2001) 기적의 체질 혁명 클로렐라. 태응출판사, 서울. pp. 28-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