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용 가운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Gown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원문보기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of patient clothes designs which meet the hospital identity and the demands of patients and nurs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of patient clothes designs which meet the hospital identity and the demands of patients and nurs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one-piece gowns worn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esign approach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our steps was conducted in the designing process: needs assessment, design direction establishment, design presentation, and final decision. For the first step,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patients and nur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step, 3 fabric patterns with light, modern, rhythmic, modest and ordinary images were designed utilizing the university and hospital symbols and logotypes. Fixed forms with realistic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lors, including white, yellow, blue, grey, and pink were selected to deliver the preferred image. Each fabric pattern was made in male and female versions of the color sets. The following styles of patient clothes were made with the 3 fabric samples: general patient pajamas with a U-neckline, 9/10-length sleeves and ankle-length pants, a full-length sleeved gown with openings for breast-feeding, and a gown with a deep back-neckline and button fastening. Different sizing systems for males and females were recommended for the production.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of patient clothes designs which meet the hospital identity and the demands of patients and nurs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one-piece gowns worn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esign approach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our steps was conducted in the designing process: needs assessment, design direction establishment, design presentation, and final decision. For the first step,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patients and nur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step, 3 fabric patterns with light, modern, rhythmic, modest and ordinary images were designed utilizing the university and hospital symbols and logotypes. Fixed forms with realistic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lors, including white, yellow, blue, grey, and pink were selected to deliver the preferred image. Each fabric pattern was made in male and female versions of the color sets. The following styles of patient clothes were made with the 3 fabric samples: general patient pajamas with a U-neckline, 9/10-length sleeves and ankle-length pants, a full-length sleeved gown with openings for breast-feeding, and a gown with a deep back-neckline and button fastening. Different sizing systems for males and females were recommended for the produc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기존의 환자복 디자인은 병원 로고를 불규칙한 줄무늬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심미성이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소재의 많은 부분이 날염되어 다소 뻣뻣한 느낌을 주었다 (<그림 1», 이에 본 연구진은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의뢰를 받아 새로운 환자복의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다. 고려대학교 의료원은 지금의 안암병원이 1941년 처음 개원한 이래 1983년과 1985년에 각각 구로병원과 안산 병원을 개원하여 현재 총 세 곳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같은 큰 규모의 종합 병원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와 같은 다양한 환자복 디자인 사례의 제시는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병원의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대학교 의료원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과학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환자와 관리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의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대학교 의료원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과학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환자와 관리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의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 후, 디자인을 개발,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선호도 조사를 거쳐 최종 디자인을 확정하였다.
대상은 당일 근무하는 관리직 수간호사들 중 참석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사전조사에는 현재 환자복의 분류와 사이즈 체계 등에 대한 정보와 환자복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 사항, 환자복 디자인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더불어 현재의 병원에서의 환자복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간호사 면접 후 간호사들의 도움을 받아 환자들에게 면접을 요청하였고 이에 응한 남성 환자 2명, 여성 환자 2명, 산모 2명, 소아환자의 보호자 2명을 만나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 환자복을 색상과 사이즈 면에서 구분하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남녀 환자복의 색상 차이는 간호사들이 남녀 환자복을 분류하거나 찾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
그 결과 에 제시된 고려대학 및 부설 병원 상징물을 이용해 에서 볼 수 있는 세가지 문양의 도안을 제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환자복에 있어서 상징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평가되었으나, 홍보를 통한 이윤 창출을 목표로 하는 병원의 입장에서는 병원이나 대학의 상징물 및 로고를 이용한 디자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디자인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따르면서도 대학과 병원의 상징성을 지닌 문양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그림 4>에 제시된 고려대학 및 부설 병원 상징물을 이용해 <그림 5>에서 볼 수 있는 세가지 문양의 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능적이면서 심미적으로도 우수한 환자복은 병원 홍보에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환자복에 대한 인식과 개선점을 알아보고, 환자와 관리 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반면 간호사들의 경우 관리상 어려움 때문에 남녀환자복의 구분을 원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상희(2004)가 제안한 체형에 맞는 남녀 환자복의 구비를 위해, 남녀 환자복을 각각 대, 중, 소 사이즈로 구분하도록 하였고, 찾거나 분류하는데 있어서 관리상의 불편을 덜고자 남녀 다른 색상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안 방법
따라서, 환자와 관리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의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 후, 디자인을 개발,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선호도 조사를 거쳐 최종 디자인을 확정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일반 환자복, 산부인과 환자복, 소아 환자복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 환자복만을 다루도록 하겠다. 일반 환자복은 대부분의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착용하고 있는 박스형의 셔츠와 바지로 구성된 파자마형 환자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체형과 성별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들은 요구도 조사 및 분석, 디자인 방향 설정, 디자인 저〕시, 디자인 결정이라는 네 단계를 거쳐 환자복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고려대학부설 병원의 경우 환자복 제조 업체를 미리 선정한 상태였으므로 최종 결정된 디자인의 생산 및 유통은 이 논문의 디자인 과정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디자인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간호사들과 환자들의 현재 환자복에 대한 인식과 새로 개발될 디자인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호사들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존 환자복 문양 및 디자인은 <그림 1>과 같다.
면접조사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복의 디자인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고려대학 부설 병원 중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두 곳 (안암병원과 구로병원)의 간호사 및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간호사용 설문지는 각 병원에 100부씩 병원의 간호부를 통하여 배부, 회수하였고, 환자용 설문조사는 병원의 도움을 받아 아르바이트 학생들이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이 어려운 환자들의 경우 학생들이 답변을 받아 적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간호사용 설문지는 각 병원에 100부씩 병원의 간호부를 통하여 배부, 회수하였고, 환자용 설문조사는 병원의 도움을 받아 아르바이트 학생들이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이 어려운 환자들의 경우 학생들이 답변을 받아 적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환자용 설문지는 각 병원에 150부씩 배부하였으며 설문에 응한 환자들에게는 3000원 상당의 사은품을 제공하였다.
환자용 설문지는 각 병원에 150부씩 배부하였으며 설문에 응한 환자들에게는 3000원 상당의 사은품을 제공하였다. 별도의 표본추출과정 없이 응답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 및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두 병원에서 수거된 설문지 중 이용이 가능한 설문지는 간호사용 117부, 환자용 256부였다.
두 병원에서 수거된 설문지 중 이용이 가능한 설문지는 간호사용 117부, 환자용 256부였다. 환자용 설문지에는 환자복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특성, 현재 환자복의 이미지, 선호하는 환자복의 이미지, 현재 환자복의 디자인, 소재에 대한 만족도, 맞는 사이즈의 환자복을 찾는 데 어려움 정도, 디자인 구성요소 (목둘레의 파인 정도, 네크라인의 모양, 바지길。〕, 소매길이 등)에 대한 선호도, 문양 선호도, 성별과 계절에 따른 구분 등에 대한 질문과 함께 연령, 성별, 체중, 키, 현재 착용하는 환자복 사이즈, 입원 기간, 타 병원 입원 경험 등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다. 간호사용 설문지의 질문내용도 거의 동일하나 환자복 사이즈와 관련된 질문과 디자인 구성요소에 관한 질문은 제외되었고, 개인적 특성에 대한 질문들로는 연령, 성별, 근무 병동, 근무 기간 등이 포함되었다.
환자복의 현재 이미지와 이상적인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시각적 디자인을 평가하는 감성언어와 관련된 논문들(김윤경, 이경희, 2000; 이인자, 1998; 추선형, 김영인, 2002)에서 자주 이용되는 형용사쌍 중 부정적으로 서술되거나 가치평가와 관련되지 않은 13개의 형용사쌍을 추출하여 5점 의미미분척도로 구성하였다. 디자인, 소재에 대한 만족도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1)”와 '매우 만족한다.
(5)” 를 양극으로 하는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사이즈에 대해서는 환자들의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찾기가 어려운 정도를 “전혀 어렵지 않다 ⑪와 '매우 어렵다 ⑸”를 양극으로 하는 5점 척도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문양에 대한 선호는 환자 또는 간호사들이 전반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하였는데, 기존의 타 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양들 7개를 제시하고 이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1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색상의 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문양들은 흑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의 C는 산부인과 수술용 환자복으로 앞뒤를 돌려 입는 경우를 위해 뒷목둘레를 충분히 파주고 기존의 끈 여밈 방식을 단추 여밈으로 수정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요구도 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우선 환자복 소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였던 100% 면 16수의 소재보다 부드러운 100% 면 20수의 코마사로 제직된 원단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이인자(1998)는 스트라이프나 체크와 같은 기하학적 문양이 점무늬, 꽃무늬, 회오리나 풍경과 같은 추상무늬에 비해 현대적 이미지를 준다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보다는 정형, 추상적 표현 보다는 사실적 표현의 문양을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정형 문양의 경연성과 사실적 표현의 율동성은 색상 면에서 보완할 수 있다.
A). 단, 임산부용 가운의 경우 예비조사 결과 기존의 7부 소매가 출산 한 산모의 산후조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에 따라 소매는 손목 길이로 수정하였다. 또한 산모의 수유에 편리하도록 가운에<그림 6>의 B와 같이 하단 트임을 주었는데, 이는 임부 및 산모들이 내측 트임의 브래지어와 하단 트임의 외의를 선호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전정희, 김여숙, 2000). 수유시 가슴이 노출되지 않도록 절개선 윗부분이 아랫부분에 충분히 겹치도록 디자인하였고, 트임의 여밈은 안에서 단추로 처리하였다. 또한, <그림 6>의 C는 산부인과 수술용 환자복으로 앞뒤를 돌려 입는 경우를 위해 뒷목둘레를 충분히 파주고 기존의 끈 여밈 방식을 단추 여밈으로 수정하였다.
약자인 KUMC를 형상화한 것이다.<그림 4>의 A와 B에서 볼 수 있는 고려대학 및 병원의 상징물인 기와와 빙패 문양을 조합하고 변형하여 K자를 형상화하였다. 율동감을 더
하기 위해 문양의 크기에 차이를 두는 동시에 경사를 두었다. 색상은 남녀 모두 시원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흰색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림 5>의 B). 동그라미 형태의 문양과 KUMC라는 로고의 크기에 차이를 둠은 물론 도안의 배열을 사선으로 하여 율동감을 살렸다. 색상은 역시 남녀 모두 흰색 바탕에 여성은 분홍색과 회색을, 남성은 분홍색 대신 고려대학 보조 상징색인 Champaign Gold를 회색과 조합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한 세가지 문양 도안을 100% 면 20수의 코마사로 제직된 원단에 날염하여 원단 샘플을 만들었다. 원단 샘플은 다시<그림 6>의 A와 같은 형태의 일반 환자복 상하의로 모두 제작하였다.
제작한 샘플은 최종 디자인 결정을 위해 드레스폼(dress form)에 디스플레이 하였다. 고려대학부설 안암병원 간부 7 명과 본 디자인 연구 담당자 3명이 함께 한 자리에서 품평회를 한 결과<그림 5>에 제시된 도안 중 B안이 압도적으로 선호되었다.
고려대학부설 병원 환자복 디자인은 요구도 조사 및 분석, 디자인 방향의 설정, 디자인의 저】시, 디자인 결정이란 네 단계로 진행하였다. 요구도 조사 및 분석 결과에 따라 기존의 소재 보다 부드러운 100% 면 20수의 코마사로 제직된 원단을 선택하였다.
요구도 조사 및 분석 결과에 따라 기존의 소재 보다 부드러운 100% 면 20수의 코마사로 제직된 원단을 선택하였다. 또한, 보다 가볍고 밝은 이미지에 수수하고 평범하면서도 단순하고 동적이며 현대적인 이미지를 위하여, 정형이면서 사실적인 표현의 기하학적인 문양과 노랑, 파랑, 흰색, 회색, 분홍의 색상을 위주로 환자복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산부인과 환자복인 두 종류의 가운의 경우 의 A 도안 중 여성용으로만 샘플을 제작하였다 (의 B와 C).
세 번째 문양 도안은의 日게 해당하는 방패 모양과 병원 로고를 조합하여 디자인하였다 (의 0.
이 사전조사에는 현재 환자복의 분류와 사이즈 체계 등에 대한 정보와 환자복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 사항, 환자복 디자인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더불어 현재의 병원에서의 환자복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간호사 면접 후 간호사들의 도움을 받아 환자들에게 면접을 요청하였고 이에 응한 남성 환자 2명, 여성 환자 2명, 산모 2명, 소아환자의 보호자 2명을 만나 면접을 실시하였다. 정보를 제공한 성인환자들은 남녀 환자복의 구분이 없다는 점, 사이즈가 다양하지 않고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찾기 어렵다는 점, 바지길이나 소매길이가 긴 점, 목둘레가 너무 파진 점, 환자복의 재질, 색상 등에 대한 불만을 언급했다.
이상에서 설정한 디자인의 기본 방향에 따라 환자복 문양 패턴을 디자인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환자복에 있어서 상징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평가되었으나, 홍보를 통한 이윤 창출을 목표로 하는 병원의 입장에서는 병원이나 대학의 상징물 및 로고를 이용한 디자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대상 데이터
먼저 고려대학부설 안암병원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면접에서는 14명의 간호사들이 참석하였다. 대상은 당일 근무하는 관리직 수간호사들 중 참석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14명의 간호사들이 참석하였다. 대상은 당일 근무하는 관리직 수간호사들 중 참석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사전조사에는 현재 환자복의 분류와 사이즈 체계 등에 대한 정보와 환자복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 사항, 환자복 디자인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더불어 현재의 병원에서의 환자복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간호사용 설문지는 각 병원에 100부씩 병원의 간호부를 통하여 배부, 회수하였고, 환자용 설문조사는 병원의 도움을 받아 아르바이트 학생들이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이 어려운 환자들의 경우 학생들이 답변을 받아 적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환자용 설문지는 각 병원에 150부씩 배부하였으며 설문에 응한 환자들에게는 3000원 상당의 사은품을 제공하였다. 별도의 표본추출과정 없이 응답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 및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별도의 표본추출과정 없이 응답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 및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두 병원에서 수거된 설문지 중 이용이 가능한 설문지는 간호사용 117부, 환자용 256부였다. 환자용 설문지에는 환자복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특성, 현재 환자복의 이미지, 선호하는 환자복의 이미지, 현재 환자복의 디자인, 소재에 대한 만족도, 맞는 사이즈의 환자복을 찾는 데 어려움 정도, 디자인 구성요소 (목둘레의 파인 정도, 네크라인의 모양, 바지길。〕, 소매길이 등)에 대한 선호도, 문양 선호도, 성별과 계절에 따른 구분 등에 대한 질문과 함께 연령, 성별, 체중, 키, 현재 착용하는 환자복 사이즈, 입원 기간, 타 병원 입원 경험 등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였다.
방향을 설정하였다. 우선 환자복 소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였던 100% 면 16수의 소재보다 부드러운 100% 면 20수의 코마사로 제직된 원단을 사용하게 되었다. 날염 부분이 넓어 소재가 뻣뻣해졌던 기존디자인의 단점에 유의하여 문양과 색채가 지나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디자인을 구상하였다.
로고는 곡선적으로 표현하여 율동성을 가미하였다. 남녀 모두 흰색 바탕에 여성용은 분홍색, 남성용은 Champaign Gold를 사용하였다.
환자복의 형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U자형 목둘레에, 소매는 9부, 바지는 발목길이로 결정하였다 (의 A).
데이터처리
SPSS 11.0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ttest를 실시하였다. 간호사들의 경우 모든 응답자가 여성이었으며.
성능/효과
54세였고 평균 입원기간은 19일이었다. 응답할 당시 입고 있는 환자복 사이즈는 XL가 9.8%, L이 35%, M이 11%, S가 4.3%로 L 사이즈가 가장 많았다. 이는 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환자복 사이즈 중 L이 가장 많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환자복의 사이즈와 관련된 질문에서는에서와 같이 전체 응답자 중 H2명49%)이 어려움이 있다고 딥했는데, 이중 41명은 남자이고 나머지 기명은 여자로 여성 환자들이 맞는 사이즈를 찾는데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환자들의 경우 실용성을 1순위로 꼽은 경우가 81%로 가장 많았다. 4, 5순위에 대한 순서는 간호사와 환자들이 달랐는데, 간호사들의 경우 상징성을 4위로 꼽았던 데비하여 환자들은 상징성을 5순위로, 즉 가장 덜 중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환자복에 대한 다른 연구들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환자들은 학교 또는 병원의 문양을 환자복에 이용하는 것을 중요하지 않게 평가하는 등 상징성에는 관심이 적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연희 외 3인, 2004).
관한 선호에 대한 결과가<표 4>에 제시되어 있다. 목둘레선의 깊이의 경우 현재의 목둘레 깊이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형과 U형의 선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V형과 U형의 선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소매길이는 7부 또는 9부를 긴 소매에 비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지길이는 9부 바지 또는 발목길이를 7부 바지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호하는 문양의 경우, 제시된 7가지의 문양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간호사와 환자가 대체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소매길이는 7부 또는 9부를 긴 소매에 비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지길이는 9부 바지 또는 발목길이를 7부 바지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호하는 문양의 경우, 제시된 7가지의 문양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간호사와 환자가 대체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붓으로 그린듯한 자연스러운 문양인 B, E, G 등을 기하학적인 느낌을 주는 다른 문양들보다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호하는 문양의 경우, 제시된 7가지의 문양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간호사와 환자가 대체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붓으로 그린듯한 자연스러운 문양인 B, E, G 등을 기하학적인 느낌을 주는 다른 문양들보다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결과 <그림 4>에 제시된 고려대학 및 부설 병원 상징물을 이용해 <그림 5>에서 볼 수 있는 세가지 문양의 도안을 제시하였다. 세 가지 도안 모두 정형에 사실적이며 기하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가볍고 밝으면서도 수수하고 평범하며 율동성 있는 현대적 느낌을 표현하였다.
좀 더 객관적인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모든 샘플은 고려대학부설 안암병원 구내 식당 앞에 3일간 디스플레이 되었다. 선호하는 디자인에 해당하는 난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한 결과, 총 237명의 참여자 중 B안을 선택한 수가 140명, 이어 A안을 선택한 이가 71명, C안을 선택한 수가 26명으로 집계되었다.
따라서 조사 결과에 따라 도안 B를 일반 환자복용으로 채택하였고, 도안 A의 여성용 디자인은 산부인과용 가운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그림 6», 또한, 도안 C는 단순하고 깔끔한 이미지가 침구류에 적합할 것으로 판정되었다.
조사 결과에 맞추어 일반 환자복의 형 태는 U자형 목둘레에 9부 소매의 셔츠와 발목길이의 바지로 구성된 파자마 스타일로 결정되었다. 이는 환자, 간호사, 간병인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환자복 형태를 조사한 H대학부설 병원 환자복 개발 사례와 약간의 차이점을 보이는데, H대학부설 병원의 경우 7부 소매를 선호하는 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민영외 3인, 2004; 이연희 외 3인, 2004), 임산부용 원피스 가운의 경우 산후 조리와 수유에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고, 산부인과 수술용 가운은 둘러 입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뒷목둘레를 파주고 기존의 끈 여밈 대신 단추 여밈 처리하였다.
그 결과 고려대학 및 병원 상징물을 조합한 세가지 디자인 안이 제시되었고, 이 중 호랑이와 대학 로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이 일반 환자복 디자인으로 채택되었다. 이는 대학의 대표적 상징물을 이용한 홍보 효과는 물론 가볍고 율동적이고 현대적이면서도 단순하고 수수한 이미지를 잘 전달하는 디자인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분석 결과를 보면, 간호사 및 환자들의 환자복 평가기준 순위는 1, 2, 3순위는 실용성, 심미성, 관리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들의 경우 실용성을 1순위로 꼽은 경우가 81%로 가장 많았다.
후속연구
1, 760, 000명에 이르렀으며 연간 진료 환자 수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같은 큰 규모의 종합 병원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와 같은 다양한 환자복 디자인 사례의 제시는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병원의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대학교 의료원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과학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하지만, 환자복에 있어서 상징성은 환자 본인이 환자임을 인정하도록 함은 물론 타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알리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무시할 수 없다 (서동애, 천종숙, 1997). 또한, 상징성을 지닌 미적으로 우수한 환자복은 병원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이는 대학의 대표적 상징물을 이용한 홍보 효과는 물론 가볍고 율동적이고 현대적이면서도 단순하고 수수한 이미지를 잘 전달하는 디자인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려대학과 병원의 상징물과 로고를 조합한 나머지 두 디자인 모두 산부인과 환자복용 가운과 침구류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환자복 디자인 사례는 보다 기능적이면서 미적으로 우수한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고려대학과 병원의 상징물과 로고를 조합한 나머지 두 디자인 모두 산부인과 환자복용 가운과 침구류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환자복 디자인 사례는 보다 기능적이면서 미적으로 우수한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범위를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용 가운에 한정한데 아쉬움이 남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환자복 디자인 사례는 보다 기능적이면서 미적으로 우수한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범위를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용 가운에 한정한데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디자인 결정 단계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평가를 거친 채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 또한 보완해야 할 바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범위를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용 가운에 한정한데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디자인 결정 단계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평가를 거친 채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 또한 보완해야 할 바이다.
참고문헌 (26)
강은미, 박은주(2003), 의류제품구매시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1), 29-39
Davis, L. M. (1996). Visual Design in Dress (3rd ed.). Enflemwood Cliffs, NJ:Prentice Hall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Feather, B. L., Kaiser, S. B., Rucker, M. (1988). Mastectomy and related treatments: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2), 127-139
Feather, B. L., Kaiser, S. B., Rucker, M. (1989). Breast reconstruction and prosthesis use as form of symbolic completion of the physical self.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3), 216-227
Kernaleguen, A. (1977). Clothing design for the handicapped. Edmonton: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Labat, K. L., & Sokolowski, S. L. (1999). A three-stage design process applied to an industry-university textile product design projec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1), 11-20
Regan, C. L., Kincade, D. H., & Sheldon, G. (1998). Applicability of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ory in the apparel design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1),36-46
Shinha, P. (2001). The mechanics of fashion. In T. Hines & M. Bruce (Eds.), Fashion Marketing: Contemporary Issues (pp. 165-189). Oxfor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Stryker, R. (1977). Rehabilitative aspects of acute and chronic nursing care. Philadelphia: W.B. Saunders Co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