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일반 환자복과 산부인과용 가운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Gown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12 = no.226, 2006년, pp.9 - 18  

이예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이윤정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성화경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at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of patient clothes designs which meet the hospital identity and the demands of patients and nurs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환자복 디자인은 병원 로고를 불규칙한 줄무늬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심미성이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소재의 많은 부분이 날염되어 다소 뻣뻣한 느낌을 주었다 (<그림 1», 이에 본 연구진은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의뢰를 받아 새로운 환자복의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다. 고려대학교 의료원은 지금의 안암병원이 1941년 처음 개원한 이래 1983년과 1985년에 각각 구로병원과 안산 병원을 개원하여 현재 총 세 곳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같은 큰 규모의 종합 병원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와 같은 다양한 환자복 디자인 사례의 제시는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병원의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논문에서는 고려대학교 의료원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과학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환자와 관리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의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고려대학교 의료원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과학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환자와 관리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의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 후, 디자인을 개발,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선호도 조사를 거쳐 최종 디자인을 확정하였다.
  • 대상은 당일 근무하는 관리직 수간호사들 중 참석이 가능한 모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사전조사에는 현재 환자복의 분류와 사이즈 체계 등에 대한 정보와 환자복에 대한 환자들의 불만 사항, 환자복 디자인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더불어 현재의 병원에서의 환자복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간호사 면접 후 간호사들의 도움을 받아 환자들에게 면접을 요청하였고 이에 응한 남성 환자 2명, 여성 환자 2명, 산모 2명, 소아환자의 보호자 2명을 만나 면접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남녀 환자복을 색상과 사이즈 면에서 구분하는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남녀 환자복의 색상 차이는 간호사들이 남녀 환자복을 분류하거나 찾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
  • 그 결과 에 제시된 고려대학 및 부설 병원 상징물을 이용해 에서 볼 수 있는 세가지 문양의 도안을 제시하였다.
  • 설문 조사 결과 환자복에 있어서 상징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평가되었으나, 홍보를 통한 이윤 창출을 목표로 하는 병원의 입장에서는 병원이나 대학의 상징물 및 로고를 이용한 디자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디자인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따르면서도 대학과 병원의 상징성을 지닌 문양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그림 4>에 제시된 고려대학 및 부설 병원 상징물을 이용해 <그림 5>에서 볼 수 있는 세가지 문양의 도안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상황에서 기능적이면서 심미적으로도 우수한 환자복은 병원 홍보에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환자복 디자인 과정을 통해 환자복에 대한 인식과 개선점을 알아보고, 환자와 관리 인의 욕구에 맞으면서도 병원 홍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반면 간호사들의 경우 관리상 어려움 때문에 남녀환자복의 구분을 원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상희(2004)가 제안한 체형에 맞는 남녀 환자복의 구비를 위해, 남녀 환자복을 각각 대, 중, 소 사이즈로 구분하도록 하였고, 찾거나 분류하는데 있어서 관리상의 불편을 덜고자 남녀 다른 색상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은미, 박은주(2003), 의류제품구매시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1), 29-39 

  2. 김성련, 이순원(1985) 피복관리학. 서울: 교문사 

  3. 김윤경, 이경희(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861-872 

  4. 박상희(2004). 환자복의 디자인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6), 13-21 

  5. 서동애, 천종숙(1997). 어린이용 환자복 디자인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5), 854-864 

  6. 송정아(1994). 환자복 설계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안민영, 서미아, 박재옥, 이연희(2004). 환자복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24, 25-39 

  8. 안민영, 이연희, 박재옥, 서미아, 진성모(2006). 업무 유형에 따른 유니폼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담배인삼공사 유니폼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2), 306-315 

  9. 양진숙, 김희영(1990). 환자복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정맥주사를 요하는 환자를 중심으로. 전주우석대학 논문집, 12, 351-366 

  10. 이광옥, 최영희(1972). 가정간호학. 서울: 수문사 

  11. 이연희, 박재옥, 서미아, 안민영(2004).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환자복 개발 사례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24, 5-23 

  12. 이인자(1998). 직물문양 차이에 따른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생활문화 예술 논집, 21, 41-54 

  13. 전정희, 김여숙(2000). 수유에 적합한 임부복 트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2),141-151 

  14. 조윤주(2005). 체형인식에 따른 세분화와 의복평가기준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11), 185-196 

  15. 추선영, 김영인(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193-204 

  16. 한성지, 양리나, 김문숙(2002). 50-6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평가기준과 구매장소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0(5), 504-517 

  17. Davis, L. M. (1996). Visual Design in Dress (3rd ed.). Enflemwood Cliffs, NJ:Prentice Hall 

  18.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19. Feather, B. L., Kaiser, S. B., Rucker, M. (1988). Mastectomy and related treatments: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2), 127-139 

  20. Feather, B. L., Kaiser, S. B., Rucker, M. (1989). Breast reconstruction and prosthesis use as form of symbolic completion of the physical self.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3), 216-227 

  21. Kernaleguen, A. (1977). Clothing design for the handicapped. Edmonton: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2. Labat, K. L., & Sokolowski, S. L. (1999). A three-stage design process applied to an industry-university textile product design projec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1), 11-20 

  23. Lamb, J. M., & Kallal, M. J.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2-47 

  24. Regan, C. L., Kincade, D. H., & Sheldon, G. (1998). Applicability of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ory in the apparel design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1),36-46 

  25. Shinha, P. (2001). The mechanics of fashion. In T. Hines & M. Bruce (Eds.), Fashion Marketing: Contemporary Issues (pp. 165-189). Oxfor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26. Stryker, R. (1977). Rehabilitative aspects of acute and chronic nursing care. Philadelphia: W.B. Saunders Co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