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선호에 관한 연구
The Second Childbirth Preference of Married Women with a Child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11 = no.225, 2006년, pp.1 - 12  

한은주 (동작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rried women with a child perceived the low-fertility issue in order to increase the success of policy decisions for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and to present alternatives. The study subjects were 327 married women with a child who resided in Dongj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자녀출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과 현 저출산 대책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수혜자 입장에서의 현행제도를 평가하여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제도개선을 위한 지원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자녀출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과 현 저출산 대책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수혜자 입장에서의 현행제도를 평가하여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제도개선을 위한 지원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를 설정하였다.
  • 우리 사회는 출산율 저하와 고령 사회의 도래로 인해 발 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의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 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 안을 모색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서, 수요자 입장에서 출산에 대한 태도와 출산 장려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 았다. 이를 위해 자녀 한 명을 두고 있으며 현재 국 .
  • 조사대상자의 이상적 자녀수가 몇 명인지에 관한 질문과 향후 추가 출산에 관한 부부간의 결정상태에 관한 질문을 실 시하여 조사대상자가 둘째를 출산할 것인지 아니면 저출산 가정으로 유지할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둘째자녀 출산결정 여부에 따른 이유 2문항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공병호(2002). 일본의 저출산율에 대한 정책고찰. 한국여성교양학회지. 9, 35-54 

  2. 김수연(2004).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인구복지정책.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3. 김승권(2003). 저출산의 원인과 안정화 대책. 보건복지포럼, 12, 6-21 

  4. 김승권(2003). 한국사회에서의 저출산 원인과 정책방향.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의 현황과 대책. 세미나집, 49-73 

  5. 김승권, 최병호, 정경희, 이삼식, 박덕규, 박인화, 장지연 (2002),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장단기 정책방안 (정책보고서 2002-46).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영주(2005). 대도시 저출산 가정의 주거현황과 주거의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49-157 

  7. 백승홍(2003).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소고. 국회보통권, 442, 25-27 

  8. 백혜리(2005). 저출산. 고령화문제에 대한 서울시 정책에 대한 제언. 저출산 시대의 가족정책지원 토론회, 줄어드는 인구 늙어가는 인구, 65-76 

  9. 변화순(2005).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가족정책의 방향. 저출산 시대의 가족정책지원 토론회, 줄어드는 인구 늙어가는 인구, 51-61 

  10. 보건복지부(2006). 양극화를 이겨내는 희망 프로젝트 2006 

  11. 서소정(2005). 저출산 가정의 자녀양육실태 및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집단 내 비교분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27-136 

  12. 서한샘(1998). 출산력과 교육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3. 여성가족부(2003).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가족보고서 

  14. 여성가족부(2005). 2005 전국가족실태조사보고서 

  15. 옥선화(2003). 20-30대 기혼남녀의 저출산 현상에 대한 지각수준과 저출산 대책.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의 현황과 대책. 세미나집, 27-46 

  16. 유계숙, 정현숙(2002).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 39-47 

  17. 유애광, 김인숙(2002). 한국의 출산문화와 정책대안. 김천과학대학논문집, 28. 39-61 

  18. 윤소영(2005). 저출산 가정의 출산율과 여성취업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59-166 

  19. 이문영, 김재문, 박수진, 정태성, 김신(2005). 최근 한국의 출산율 현황에 관한 고찰.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2), 300-305 

  20. 이삼식, 신인철, 조남훈, 김희경, 정윤선, 최은영, 황나미, 서문희, 박세경, 전광희, 김정석, 박수미, 윤홍식, 이성용, 이인재(2005),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21. 이선이(2005). 저출산과 젠더.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지원 토론회, 줄어드는 인구 늙어가는 인구, 25-47 

  22. 이춘석(2003). 최근 우리나라 저출산 현황.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의 현황과 대책. 세미나집, 3-24 

  23. 장진경(2005).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3(11), 165-183 

  24. 장혜경(2005). 외국의 저출산 대응 정책사례. 국회도서관보 42(12), pp. 13-23 

  25. 전광희(2003). 한국의 저출산: 추이와 전망.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3, 305-323 

  26. 정구현(2000) 한국의 출산력 추이 및 전망. 통계연구, 5(2) 121 

  27. 정민자(2004).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실천방안-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가정정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추계학술대회집.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가정정책과 실천방안, 35-71.(2006), 2006 여성지도자 교육,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자료집 

  28. 차경욱(2005). 저출산 가계와 출산계획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29. 천혜정(2005),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25-33 

  30. 최경수(2004), 우리나라 출산율 하락 추이에 대한 분석. 한국 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 저출산 시대의 신 인구정책, 자료집 

  31. 통계청(2005). 한국의 사회지표 

  32. 한유미, 곽혜경(2004). 현대 한국사회의 출산율저하와 여성 사회참여.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29-40 

  33. Budig, M. J.(2003). Are women's employment and fertility history interdependent? An examination of causal order using event history analysis, Social Science Research, 32(3), 376-402 

  34. Dewit, M., Ravanera, Z. (1998). The changing impact of women's educational attachment on the the timing of Canada. Canadian Studies in Population, 25, 45-67 

  35. Hoem, B., Hoem, J. M. (1989). The impact of women's employment on second and third births in Sweden. Population Study, 43, 47-67 

  36. Hofferth, S. L., Deich, S. G. (1994). Recent U. S. child care and famil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