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여성의 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Married Women's Fertility Pla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5 no.3, 2014년, pp.339 - 347  

송유진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was examin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ing married women's fertility plans in Kore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fertility plans by using census data, and therefore this study employs 2010 census 2% sample data. It focuses o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not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연구는 센서스 조사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많지 않은 현실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전체 적인 기혼여성의 현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인구사회적 특성만 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제약 때문에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어려운 점이 아쉬움으로 남지만 대규모 전국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현대 한국사회의 기혼여성들의 전반적인 출산계획 현황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 그러나 이 연구는 센서스 조사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많지 않은 현실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전체 적인 기혼여성의 현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인구사회적 특성만 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제약 때문에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어려운 점이 아쉬움으로 남지만 대규모 전국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현대 한국사회의 기혼여성들의 전반적인 출산계획 현황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추가 자녀 출산계획 수에 따른 순차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추가자녀 출산계획 여부는 물론 수에 따른 차별성을 부각시켰다는 의의도 지닌다.
  •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2010년 센서스 표본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가임기 기혼여성들의 추가자녀 출산계획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둘째 자녀 출산계획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추가자녀 출산 계획 수에 따라 자녀를 1명만 낳고자 계획하는 사람들과 2명 이상 낳고자 계획하는 사람들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대규모 전국조사인 센서스 표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44세 기혼여성들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출산계획 여부 자체와 출산계획 자녀수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의 현재 연령과 초혼연령, 여성의 취업, 현존 자녀수와 현존 남아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 그렇다면 왜 어떤 사람들은 둘째나 셋째를 낳고 어떤 사람들은 한 자녀에서 출산을 멈추는 것인지 의문이 생긴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출산계획에 주목하였다. 출산계획과 실제 출산행위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지적된 바 있다(Kim 2007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산계획에 대한 기존 연구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었느냐에 따라 크게 몇 가지로 구분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로 구분 되는가? 출산계획에 대한 기존 연구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었느냐에 따라 크게 몇 가지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 가치관에 초점을 맞춘 연구,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 성형평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나뉜다.
출산은 어떠한 점에서 사회적, 학문적 주목을 받아왔는가? 출산은 지극히 개인적인 현상이지만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고 다양한 측면에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점에서 사회적, 학문적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한국은 유례없는 출산 저하를 경험하였고 초저출산이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저출산 현상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한국은 유례없는 출산 저하를 경험하였고 초저출산이 장기적으로 지속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그동안 저출산의 원인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축적되었으며 개인의 인구사회적 요인 이외에도 사교육비와 같은 경제적인 요인, 결혼 시기의 지연,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사회적인 여건 등 다양한 요인이 저출산 현상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으로 강조되었다. 또한 결혼을 하면 자녀를 출산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한국사회의 특성 때문에 둘째 자녀출산 여부가 저출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odmann S, Esping-Andersen G, Guell M(2007) When fertility is bargained: second births in Denmark and Spai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3(5), 599-613. 

  2. Cha SE(2008) Cost/reward of parent role and decision to have a second child: focused on socioeconomic differences. Social welfare policy, 33(6), 111-134. 

  3. Chesnais JC(1996) Fertility, family, and social policy in contemporary western Europe. Pop and Development Rev, 22(4), 729-739. 

  4. Choi EY, Park YS(2009) Differential fertility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region. SRI Research Report, 3, 176-253. 

  5. Chung HE, Chin MJ(2008)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Korea J Pop Studies, 31(1), 147-164. 

  6. Joung EH, Choi YS(2013)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irth plan for second child and second birth for married women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 33(1), 5-34. 

  7. Kang YJ(2007) Family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second birth decision: focus on the value of children and family relationship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8(4), 639-653. 

  8. Kaufman G, Bernhardt E(2012) His and her job: what matters most for fertility plans and actual childbearing? Family Relations 61, 686-697. 

  9. Kim CS(2007a) Parity specific approach to the plan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Korea J Pop Studies, 30(2), 97-116. 

  10. Kim DS(2007b) The 1997 Asian economic crisis and changes in the pattern of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Korean fertility. Korea J Pop Studies, 30(1), 67-95. 

  11. Kim HJ(2010)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ried women's fertility behavior depending on patterns of life course with family role and economic activity: focusing on the additional fertility plan. J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6), 59-69. 

  12. Kim JH, Yang SY, Sung JH(2013) The effect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on planning for a second chil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Korean J Child Studies, 34(1), 87-102. 

  13. Lee JS, Choi WS(2012) A path analysis on birth plan of married working women: focus on the relationships of gender role attitude, work-family reconciliation, marriage satisfaction and birth plan. Korea J Social Welfare Studies, 43(4), 5-30. 

  14. Lee SL(2010) Childrearing expenditure and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10), 105-119. 

  15. Liu S, Hynes K(2012) Are difficulties balancing work and family associated with subsequent fertility? Family Relations, 61, 16-30. 

  16. McDonald P(2000)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 and Development Rev, 26(3), 427-430. 

  17. Park SM(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Korea J Pop Studies, 31(1), 59-77. 

  18. Shin IC(2009) Spatial effects on the fertility intention of married women. Korea J Pop Studies, 32(2), 59-85. 

  19. Shin N(2013) Exploring pathways from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to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Korean J Human Ecology, 22(3), 405-420. 

  20. Sleebos JE(2003) 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s. OECD working papers. 

  21. Song YJ(2009) Analysis of how married women adjust time of first birth and birth interval focusing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4), 579-588. 

  22. Torr BM, Short SE(2004)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 and Development Rev, 30(1), 109-130. 

  23. William R(2006) Generalized ordered logit/partial proportional odds models for ordinal dependent variables. Stata J, 6(1), 58-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