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CHO 세포의 동결보존
Cryopreservation of CHO Cell using Serum-Free Media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1 no.2, 2006년, pp.110 - 117  

김유강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박홍우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태부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인 세포주의 동결보존은 혈청이 첨가된 배양배지에 10% DMSO를 첨가하여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무혈청 환경에서 배양되는 세포주를 이용하여 생물의약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세포주의 경우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동결보존 역시 혈청을 제거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실험은 무혈청 동결보존이 CHO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무혈청 동결보존에서 세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투과성 및 비투과성 첨가제를 배지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동결보존 및 해동하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 DMSO와 0.03 M raffinose를 동시에 첨가한 경우에 76%의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기존의 혈청을 이용하는 동결보존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두 번째로 무혈청 배지의 동결보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 중인 무혈청 배지와 무혈청 동결보존제를 사용하여 동결 보존 후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과 유사한 95% 이상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무혈청 동결보존제의 동결보존 능력보다 우수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장기간 동결보존에서 CHO 세포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혈청 배지로 동결보존된 CHO 세포를 3개월 단위로 해동하여 생존율 및 성장 회복율을 측정하고, real-time RT-PCR을 통해 삽입된 CHO DHFR 유전자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혈청배지와 비교할 때, 생존율과 성장 회복율, 유전자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여,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18개월 이상의 동결보존이 안정적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생물의약품 공정에서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이 혈청을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routine maintenance, animal cell lines are commonly cryopreserved in growth medium containing serum with 10% DMSO. But, in case of bioprocess under the serum-free conditions, including cultivation of cell lines and producing of pharmaceuticals, the cryopreservation should be executed witho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M-a 배지에 투과성 및 비투과성 첨가제를 이용해 동결보존에서 생존율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하는 것과 동시에 상용화된 무혈청 배지와 무혈청 동결보존제를 이용한 동결보존이 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시판중인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CHO 세포를 각각의 무혈청 배지에 적응시킨 후, 각각의 배지에 10% DMSO를 첨가하여 동결 및 해동 후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 또한 해동용액의 혈청 첨가여부가 세포의 생존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Brockett의 실험에서 해동용액의 조성이나 해동 온도가 동결된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40), 본 실험에서는 혈청 배지와 무혈청 배지의 해동 능력을 평가하였다.
  • 그러나 무혈청 환경에서 배 양되는 세포주를 이용하여 생물의 약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세포주의 경우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동결보존 역시 혈청을 제거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실험은 무혈청 동결보존이 CHO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무혈청 동결보존에서 세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투과성 및 비투과성 첨가제를 배지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동결보존 및 해동하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 세포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배지의 종류나 배양 방법처럼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 역시 기존의 동결보존 방법과는 다른 조건으로 진행해야 하고, 그 안정성이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위와같은 이유로본실험은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CHO 세포동결보존의 세포주 보존능력과 유전자 안정성을 확인하여,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방법을 확립하고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혈청은 동결보존에 있어 비투과성 동결보존제로 사용되고, 급속한 삼투압 변화를 완충시키 는 역할을 하는데(11), 실험의 첫 단계로 혈청이 제거된 상태의 동결보존이 CHO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농도에 따른 동결보존을 통해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 이는 cGMP의 개념에 맞지 않으며, 문제가 될 수도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44). 이에 본 실험은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이 세포주의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무혈청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의 다양한 실험 결과, 약 2년간의 동결보존에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혈청을 사용하는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무혈청 환경의 생물공정에서 사용되는 세포주 동결보존에서 혈청에 의한 교차오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Link, T., M. Backstrom, and T. Noll (2004), Bioprocess development for the production of a recombinant MUC1 fusion protein expressed by CHO-K1 cells in protein-free medium, Journal of Biotechnology 110(1), 51-62 

  2. Nam, S. W. (1995), Antitumor activities of polysaccharudes fractuibuzed from Zoogloea sp. against meth a cells,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5(2), 90-100 

  3. Karlsson, J. O. M. and M. Toner (2000), Cryopreservation, In Principles of Tissue Engineering, 2nd edition, p293-307, Academic Press, San Diego 

  4. Davis, J. M. (2001), Basic cell culture. 2nd edition, p176-186,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5. Martin, Moe S. W., W. H. Kelsey, and M. A. Karmarck (2000), Process validation in biopharmaceutical manufacturing, Biopharmaceutical Process Validation, 287-298 

  6. Mazur, P., S. P. Leibo, and E. H. Chu (1972), A two-factor hypothesis of freezing injury: Evidence from Chinese hamster tissue-culture cells, Exp. Cell Res. 71(2), 345-355 

  7. Toner, M. (1993), Nucleation of ice crystals inside biological cells, In Advances in Low-Temperature Biology, Vol. 2. P. L. Steponkus, editor. p1-51, JAI Press, London 

  8. Hubel, A., E. G. Cravalho, B. Nunner, and C. Korber (1992), Survival of directionally solidified B lymphoblasts under various crystal growth conditions, Cryobiology 29(2), 183-98 

  9. Ishiguro, H. and B. Rubinsky (1994), Mechanical interactions between ice crystals and red blood cells during directional solidification, Cryobiology 31(5), 483-500 

  10. Mazur, P., W. F. Rall, and N. Rigopoulos (1981),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fraction of unfrozen water and of salt concentration to the survival of slowly frozen human erythrocytes, Biophys. J. 36(3), 653-675 

  11. Liu, Z. and R. H. Foote (1998), Osmotic effects on volume and motility of bull sperm exposed to membrane permeable and nonpermeable agents, Cryobiology 37(3), 207-218 

  12. Rowley, S. D. (1992), Hematopoietic stem cell cryopreservation: A review of current techniques, Journal of Hematotherapy 1, 233-250 

  13. Foster, P. R. (1999), Assessment of the potential of plasma fractionation processes to remove causative agents of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ransfus Med. 9(1), 3-14 

  14. Liu, Chi-Hsein, I-Ming Chu, and Shiaw-Min Hwang (2001), Factorial designs combined with the steepest ascent method to optimize serum-free media for CHO cells,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28, 314-321 

  15. Igudin, L. I., S. D. Orlov, N. V. Katsnel'son, and G. A. Markman (1983), Relationship between bovine serum composition and its capacity to stimulate cell culture growth, Tsitologiia 25(10), 1216-1218 

  16. Boyd, J. W. (1989), Relationships between acid-base balance, serum composition and colostrum absorption in newborn calves, Br. Vet. J. 145(3), 249-256 

  17. Omar Lupi (2002), Prions in dermat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46(5), 790-793 

  18. Jochems C. E, J. B. van der Valk, F. R. Stafleu, and V. Baumans (2002), The use of fetal bovine serum: ethical or scientific problem?, Altern. Lab Anim. 30(2), 219-227 

  19. Zabal, O., A. L. Kobrak, I. A. Lager, A. A. Schudel, and E. L. Weber (2000), Contamination of bovine fetal serum with bovine viral diarrhea virus, Rev. Argent Microbiol. 32(1), 27-32 

  20. David, W. Jayme and Shawn R. Smith (2000), Media formulation options and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s to safeguard against introduction of animal origin contaminants in animal cell culture, Cytotechnology 33(1-3), 27-36 

  21. David, J., W. Toshio, and S. Toshiaki (1997), Basal medium development for serum-free culture: a historical perspective, Cytotechnology 23(1-3), 95-101 

  22. Merten, O. W. (1999), Safety issues of animal products used in serum-free media, Dev. Biol. Stand. 99, 167-180 

  23. Nakamura, T., O. Asami, K. Tanaka, and A. Ichihara (1984), Increased survival of rat hepatocytes in serum-free medium by inhibition of a trypsin-like protease associated with their plasma membranes, Exp. Cell Res. 155(1), 81-91 

  24. Regina Labitzke and Peter Friedl (2001), A serum-free medium formulation supporting growth of human umbilical cord vein endothelial cells in long-term cultivation, Cytotechnology 35(2), 87-92 

  25. Shamsuddin M., B. Larsson, and H. Rodriguez-Martinez (1993), Culture of bovine IVM/IVF embryos up to blastocyst stage in semi-defined medium using insulin, transferrin and selenium or growth factors, Reproduction of Domestic Animals 28, 209-210 

  26. Metcalfe, H., R. P. Field, and S. J. Froud (1994), The use of 2-hydroxy-2,4,6- cycloheptarin-1-one (tropolone) as a replacement for transferrin, In Animal Cell Technology: Products of Today, Prospects for Tomorrow, R. E. Spier, J. B. Griffiths, and W. Berthold, Eds., Butterworth-Heinemann, Oxford, 88-90 

  27. Raghu, H. M., S. Nandi, and S. M. Reddy (2002), Effect of insulin, transferrin and selenium and epidermal growth factor on development of buffalo oocytes to the blastocyst stage in vitro in serum-free, semidefined media, Veterinary Record 151, 260-265 

  28. Merten, O. W. (2002), Development of serum-free media for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viruses/viral vaccines: safety issues of animal products used in serum-free media, Dev. Biol. (Basel) 111, 233-257 

  29. Corsini Joe, Christy Hacker and Charles Bare (2004), Serum-free cryopreservation of five mammalian cell lines in either a pelleted or suspended state, Biol. Proced. Online 6(1), 61-66 

  30. Sikorskya Jan A., Donald A. Primeranoa, Terry W. Fengera, and James Denvir (2004), Effect of DNA damage on PCR amplification efficiency with the relative threshold cycle method,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23, 823-830 

  31. Crouse, G. F., R. N. McEwan, and M. L. Pearson (1983), Expression and amplification of engineered mouse dihydrofolate reductase minigenes, Mol. Cell. Biol. 3, 257-266 

  32. Kelbe, R. J. and M. G. Mancuso (1983), Identification of new cryoprotective agents for cultured mammalian cells, In Vitro 19, 167-170 

  33. Dobo. I., P. Mossuz, L. Campos, F. Girodon, A. Allegraud, V. Latger-Cannard, N. Boiret, D. Pineau, E. Wunder, M. Zandecki, V. Praloran, and S. Hermouet (2001) Comparison of four serum-free, cytokine-free media for analysis of endogenous erythroid colony growth in polycythemia vera and essential thrombocythemia, Hematol J. 2(6), 396-403 

  34. Coller Hilary A., Carla Grandori, Pablo Tamayo, Trent Colbert, Eric S. Lander, Robert N. Eisenman, and Todd R. Golub (2000), Expression analysis with oligonucleotide microarrays reveals that MYC regulates genes involved in growth, cell cycle, signaling, and adhesion, PNAS 97(7), 3260-3265 

  35. Shaw, J. M. and A. O. Trounson (1989), Effect of dimethyl sulfoxide and protein concentration on the viability of two-cell mouse embryos frozen with a rapid freezing technique, Cryobiology 26(5), 413-421 

  36. Cheng, Y., Y. F. Liu, and J. Liang (2002), Protective effect of zinc: a potent heat shock protein inducer in cold preservation of rat liver, Hepatobiliary Pancreat Dis. Int. 1(2), 258-61 

  37. Askari, H. A., J. H. Check, N. Peymer, and A. Bollendorf (1994),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s tocopherol and ascorbic acids in maintenance of sperm activity during freeze-thaw process, Archives of Andrology 33, 11-15 

  38. Bourne, W. M., D. R. Shearer, and L. R. Nelson (1994), Human corneal endothelial tolerance to glycerol, dimethylsulfoxide, 1,2-propanediol, and 2,3-butanediol, Cryobiology 31(1), 1-9 

  39. Dooley, D. C., P. Law, P. Schork, and H. T. Meryman (1982), Glycerolization of the human neutrophil for cryopreservation: osmotic response of the cell, Exp. Hematol 10(5), 423-434 

  40. Chen, Y., R. H. Foote, and C. C. Brockett (1993), Effect of sucrose, trehalose, hypotaurine, taurine, and blood serum on survival of frozen bull sperm, Cryobiology 30(4), 423-431 

  41. Elisabeth, E. S., E. W. Nicole, A. M. Katherine, M. L. Raymond, and J. R. Scott (2002), Cryopreserved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retain engraftment potential after extended (5-14 years) cryostorage, Cryobiology 44(3), 210-217 

  42. Luscinskas, F. W., F. J. Lionetti, A. J. Melaragno, and C. R. Valeri (1983), Long- term cryopreservation of dog granulocytes, Cryobiology 20(1), 1-6 

  43. Van Langendonckt A., A. Vansteenbrugge, I. Donnay, U. Berg, E. Semple, B. Grisart, P. Mermillod, G. Brem, A. Massip, and F. Dessy (1996), Three year results of in vitro production of bovine embryos in serum-poor bovine oviduct conditioned medium, Reprod Nutr. Dev. 36(5), 493-502 

  44. Depra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Guidance on Viral Safety Evaluation of Biotechnology Products Derived From Cell Lines of Human or Animal Origin; Availability, Federal Register 63(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