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모향상추구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Approach of Appearance-Enhancement Seeking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0 no.1 = no.149, 2006년, pp.59 - 70  

이수경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고애란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analyzed females' motives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related to appearance-enhancement seeking behavior(weight control practice and cosmetic surgery).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11 females who had experienced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cosmetic surge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은 낯선 이들이나 교우들과의 관계, 가족관계 등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 내에서 수많은 관계를 형성 하는데 자신이 관계하는 집단의 구성원들과 비슷하게 보임으로써 소속감을 느끼고 사회적 승인을 얻고자한다. 이와 같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가 지향하는 반대로 따라가는 과정에서 외모 또한 동조해 가고 있다.
  • 본 연구는 체중조절행동이나 미용성형 등을 의복과 같은 외모향상 의한 수단으로 보고, 미용성형 및 체중조절 등의 외모향상추구행동의 동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외모향상추구자들이 신체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과 외모향상추구의 동기 및 외모향상 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는 신체 변형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나 일부에서는 외모변 형을 일종의 유행으로 생각하여 행동으로 옮기거나 심지어는 이상적인 외모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져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사회문화적 영향에 의해 신체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여 외모향 상추구행동에 이르는 과정과 구체적인 영향요인을 밝혔으며, 이를 통하여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 가 있다. 특히 외모향상추행동의 동기를 보면, 무분별하고 맹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달리 보다 즐겁고 당당하며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원활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지위를 높여 자신의 삶을 개선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으로 볼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분석방법으로 접근하여 외모향상을 위해 미용성형수술과 체중조절행동 등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데 관련되는 요인들을 심 층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미용성형과 체중조절 등의 외모향상추구행동 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신체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과, 둘째, 외모향상추구행동 의 동기, 셋째, 외모향상추구행동의 결과에 의한 영향 등을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체중조절행동이나 미용성형 등을 의복과 같은 외모향상 의한 수단으로 보고, 미용성형 및 체중조절 등의 외모향상추구행동의 동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외모향상추구자들이 신체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과 외모향상추구의 동기 및 외모향상 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사람들은 외모에 의해 타인으로부터의 평가와 혜택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력적인 외모를 가짐으로써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자한다. 신체적인 매력은 이성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한 다고 여겨지고 있다.
  • 거울은 신체적 자아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자의식을 고조시키고, 자의식이 고조되면 자신의 신체를 세밀하게 살펴보게 된다(Cash & Pruzinsky, 1990). 이러한 과정에서 이상적인 미의 기준과의 차이가 지각되는 새로운 신체부분에 대한 불만족을 해소하고자 하게 된다. 노력에 의해 외모를 향상시킨 경험은 외모향상추 구욕구를 더 강화하게 되는데, 특히 체중조절에 의한 외모향상과 같이 달성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성취에 대한 희열감을 높이며, 외모향상추구욕구를 강화시킨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분석방법으로 접근하여 외모향상을 위해 미용성형수술과 체중조절행동 등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데 관련되는 요인들을 심 층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미용성형과 체중조절 등의 외모향상추구행동 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신체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과, 둘째, 외모향상추구행동 의 동기, 셋째, 외모향상추구행동의 결과에 의한 영향 등을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하는데 있다.
  • 즉, 사회 비교를 통해 자신의 신체가 사회의 이상적 기준에서 벗어난 것으로 지각할 경우 비정상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자신감을 잃기도 한다. 이에 따라 사회의 이상적인 신체상, 즉 대중매체에서 끊임 없이 제시하고 있는 사회적 미의 기준에 도달함으로써 열등감을 극복하고 보다 즐겁고 당당하게 살 수 있도록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인간은 끊임없이 자신을 계발하고자 하며 삶을 보다 풍요롭고 만족스럽게 해주는 것을 성취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지각된 경험들을 더욱 추구하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만족감을 얻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김양진. (1996) 유행의복 이미지가 개인의 자아개념과 의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성영신. (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69-82 

  4. 신유정. (1994). 성형수술환자의 수술전후 신체상 및 자기존중감에 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이미숙. (2000).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 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임숙자, 황선진, 이종남, 이승희, 양윤. (2002). 현대의상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7. 한규석 (2004).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8. 황진숙. (1998).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3),293-302 

  9. Bloch, P. H., & Richins, M. L. (1992). You look 'Marvelous': The Pursuit of beauty and the marketing concept. Psychology and Marketing, 9, 3-15 

  10. Cash, T., & Pruzinsky, T. (1990).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1. Cooper, P. J., & Taylor, M. J. (1988). Body image disturbance in bulimia nervos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3(supplement 2), 32-36 

  12.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13. Diener, E., Wolsic, B., & Fujita, F. (1995).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ubjective well-b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1), 120-129 

  14. Heinberg, L. J. (1996). Theories of body image: perceptual, developmental, and sociocultural factors. ln J. K. Thompson (Eds.),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An integrative guide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pp. 27-4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Kasi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Second Edition Revised. N. Y: Fairchild Publications 

  16. LaBat, K. L., & DeLong, M. R. (1990). Body cathexis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43-48 

  17. McCracken, G. (1988). Culture and consumption; New approach to the symbolic character of consumer goods and activities. Indiana University Press 

  18. McKinley, N. M., & Hy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an Quarterly, 20. 191-215 

  19. Reed, L. R. (1998). Image and attitude: the impact of media images on the self-esteem, body image and sex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 Stice E., & Bearman S. K. (2001). Body-Image and eating disturbances prospectively predict increases in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girls: A growth curve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37(5), 597-607 

  21. Thompson, J. K. (1990).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Elmsford, N. Y.: Pergamon Press 

  22.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339-3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