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심부 암반지하수에서의 고농도 불소 산출과 관련된 수리지구화학 진화
Hydrogeochemical Evolution Related to High Fluoride Concentrations in Deep Bedrock Groundwaters,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no.1, 2006년, pp.27 - 38  

김경호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천부지권환경연구원) ,  윤성택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천부지권환경연구원) ,  채기탁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천부지권환경연구원) ,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권장순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천부지권환경연구원) ,  고용권 (한국원자력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심부 암반지하수에서의 고농도 불소의 산출을 지배하는 지질 및 수리지구화학적 환경을 이해하고자, 온천 개발 목적으로 착정한 심부지하수 관정(평균 심도 약 600m)에서 취득된 총 367개의 지하수 분석 자료에 대하여 지구화학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들 지하수에서의 불소 농도는 매우 높아 평균 5.65mg/L에 이르며, 특히 연구 대상 지하수 중 $72\%$에서 먹는 물 수질기준(1.5mg/L)을 초과하였다. 불소 함량은 일차적으로 지질 조건의 지배를 강하게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데 가장 높은 농도는 화강암류 및 화강편마암 지역에서 산출되는 반면 화산암 및 퇴적암 지역에서는 가장 낮았다.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상과 관련하여 보면,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인 $Ca-HCO_3$형 지하수에 비하여 알칼리성의 $Na-HCO_3$형 지하수가 현저히 높은 불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화강암류 및 화강편마암 지역에서 지하수의 심부 순환에 수반되는 장기간의 물-암석 반응이 고농도 불소 산출의 가장 중요한 이유로 생각된다. 방해석 침전 또는 양이온교환에 의한 Ca 이온의 감소, 그리고 뒤따라 발생하는 사장석과 불소 함유 수산화광물(특히 흑운모)의 용해로 특징되는 일련의 수리지구화학 반응이 이러한 환경 하에서의 고불소 지하수 생성의 원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불소과다에 의한 물 공급 문제의 발생 가능성은 높은 pH 및 매우 높은 Na/Ca농도비를 나타내는 화강암류 및 화강편마암 지역의 지하수에서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geologic and hydrogeochemical controls on the occurrence of high fluoride concentrations in bedrock groundwaters of South Korea, we examined a total of 367 hydrochemistry data obtained from deep groundwater wells (avg. depth=600 m) that were drilled fur exploitation of hot spring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온천수 개발 목적의 지하수 관정평 균 심도 약 600 m)에서 획득된 국내 심부 암반 지하수 총 367개 시료에 대하여 수리지구화학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심부 암반 지하수 환경에서의 불소의 기원 및 거동(특히, 지질 및 지구화학적 조절 요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학술진흥재단 선도연구지원사업(과제 번호 : 2003-04LC20288)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기에 이에 감사한다. 연구 대상 지하수 관정들의 현황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협조해주신 지질자워 연구원 연구원들께 감사를 표한다.
  • 본 연구를 위하여, 그동안 국내에서 온천 개발을 목적으로 시공한 심부 지하수 관정의 조사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 정리하였다. 심부 지하수는 대부분 인위적인 오염원과 격리되어 있으므로, 심부 지하수의 화학성은 지질환경의 지구화학적 상태를 효과적으로 반영해 줄 수 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국내 온천 개발 과정에서 취득된 총 367개의 지하수 화학 분석자료를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국내 심부 암반 지하수 내에서의 불 소 산출 특성을 일반화하고, 지하수의 수리지구 화학적 진화, 즉 물-암석 반응과 관련하여 고농도 불소의 산출 원인을 해석 코자 하였다. 특히, 지질 특성과 관련하여 심부지 하수의 수리지구화학상(hydrogeochemical facies) 변화를 해석하고 이를 불소 농도의 변화 경향과 관련 하여 고찰함으로써, 고농도 불소의 산출을 지시할 수 있는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화강암은 구성 광물의 조성이 비교적 균질하다. 이에, 본 절에서는 화강암류 분포지역에서의 수리지구 화학적 진화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불소의 기원과 거동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심부 지하수에서 불소 농도가 수리지구화학상의 진화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양 상을 보이는 것은, 지하수의 심부 순환에 수반되는 물-암석 반응의 증가와 더불어 불소를 포함하는 광물의 점진적인 용해가 일어남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국내 온천 개발 과정에서 취득된 총 367개의 지하수 화학 분석자료를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국내 심부 암반 지하수 내에서의 불 소 산출 특성을 일반화하고, 지하수의 수리지구 화학적 진화, 즉 물-암석 반응과 관련하여 고농도 불소의 산출 원인을 해석 코자 하였다. 특히, 지질 특성과 관련하여 심부지 하수의 수리지구화학상(hydrogeochemical facies) 변화를 해석하고 이를 불소 농도의 변화 경향과 관련 하여 고찰함으로써, 고농도 불소의 산출을 지시할 수 있는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 구결과는 국내 심부 암반 지하수의 개발 이용에 있어 불소 농도의 수준과 지화 학적 거동을 예측하는데 도움 이 될 것이며, 나아가서는 용수 이용 극대화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불소 제어기법을 수립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건영, 고용권, 김천수, 배대석, 박맹언 (2000) 유성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연구. 지하수환경학회지, 7 권, p. 32-46 

  2. 김규한, 최현정 (1998) 남한의 온천지역의 열수와 지하수 의 지구화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권, p. 22-34 

  3. 염병우 (1993) 화강암 내에 부존히는 지열수에 대한 환경 수리화학적 연구: 포천, 고성, 예산 및 중원지역을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1p 

  4. 염병우, 김용제 (1999) 수안보 지역의 온천수위 변동과 수 리지구화학에 관한 연구. 지하수환경학회지, 6권, p. 59-65 

  5. 윤성택,채기탁,고용권,김상렬,최병영,이병호,김성용 (1998) 풍기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환경동위 원소 특성 연구. 지하수환경, 5권, p. 177-191 

  6. 정기영, 김강주, 김종용, 박재형, 이도형, 박순길 (2003) 포항경주지역 양산단층대 주변의 고불소 지하수 산출 특성. 지질학회지, 39권, p. 371-384 

  7. 황정 (2001) 금주완주 지역 형석광화대내 석회암 및 화 강암 지역 지하수의 불소 분포특성 및 저감방안. 차원 환경지질, 34권, p. 105-117 

  8. 황정 (2002) 황강리 형석 광화대내 석회암 및 화강함 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3권, p. 486-493 

  9. Adriano, D. C. (1986)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vironments. Springer-Verlag, New York, 553p 

  10. Apambire, W. B., Boyle, D. R. and Michel, E A. (1997) Geochemistry, genesis and health implication of fluoriferous groundwater in the upper regions. Ghana. Environ. Geol, v. 33, p. 13-24 

  11. Banks, D., Reimann, C., Royset, O., Skarphagen, H. and S, ether, O. M. (1995) Natural concentrations of major and trace elements in some Norwegian bedrock groundwaters. Appl. Geochem., v. 10, p. 1-16 

  12. Brownslow, A. H. (1996). Geochemistry, Prentice Hall, New Jersey; 580p 

  13. Cabrera, A., Blarasin, M. and Villalba, G. (2001)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fluoride in the Argentine pampean Plain.J. Environ. Hydrol., v. 9, p. 9 

  14. Carrillo-Rivera, J. J., Cardona, A. and Edmunds, W. M. (2002) Use of abstraction regime and knowledge of hydrogeological conditions to control high-fluoride concentration in abstracted groundwater: San Luis Potosi basin, Mexico. Jour. Hydrol., v. 261, p. 24-47 

  15. Chae, G. T., Yun, S. T, Kwon, M.J., Kim, Y. S. and Berne hard, M. (2005a) Batch dissolution of granite and biotite in water: implication for fluorine geochemistry in groundwater. Geochem. Jour., in press 

  16. Chae, G.T., Yun, S.T., Kim, K. and Mayer, B. (2005b) Hydrogeochemistry of sodium-bicarbonate type bedrock groundwater in the Pocheon spa area, South Korea: water-rock interaction and hydrologic mixing. Jour. Hydrol., in press (doi:10.1016/j.jhydrol.2005.08. 006) 

  17. Choi, H. S., Koh, Y. K., Bae, D. S., Park , S. S., Hutcheon I, Yun, S. T. (2005) Estimation of deep reservoir temperature of C $O_{2}$ rich springs in Kangwon district, South Korea.Jour. Volcano!. Geotherm. Res., v. 141, p 

  18. Choi, H. S. (2002) Hydrogeochemical and environmental isotope studies of C $O_{2}$ -rich groundwaters in the Kangwon Province, Korea: Water-rock interaction, origin and evolution. Unpub. Ph. D. Thesis, Korea Univ., Seoul, 208 p77-89 

  19. Chough, S.K. , Kwon, S,T,.Ree,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v. 52, p. 175-235 

  20. Correns, C. W. (1956) The geochemistry of the halogens, In Ahrens, Pergamon Press, p. 181-233 

  21. Dowgiallo, J. (2000) Thermal water prospecting results at Jelenia Go'ra-Cieplice (Sudetes, Poland) versus geothermometric forecasts. Environ. Geol., v. 39, p. 433-436 

  22. Evans, Jr., H. T. (1995) Ionic radii in crystals.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 p. 1913-1995 

  23. Frengstad, B., Banks, D. and Siewers, U. (2001) The chemistry of Norwegian groundwaters: IV: The dependence of element concentrations in crystalline bedrock groundwaters. Sci. Total Environ., v. 277, p. 101-117 

  24. Gascoyne, M. and Kamineni, D.C. (1994) The hydrogeochemistry of fractured plutonic rocks in the Canadian Shield. Appl. Hydrogeol., v. 2, p. 43-49 

  25. Gizaw, B. (1996) The origin of high bicarbonate and fluoride concentration in waters of the Main Ethiopian Rift Valley, East African Rift system. J Afr. Earth Sci., v. 22, p. 391-402 

  26. Handa, B. K (1975) Geochemistry and genesis of fluoride containing groundwaters in India. Ground Water, v. 13(3), p. 275-281 

  27. Helgeson, H. C. (1969) Thermodynamics of hydrothermal systems at elevated temperatures and pressures. Am. Jour. Sci., v. 267, p. 279-804 

  28. Hopkins, D. M. (1977) An improved ion-selective electrode metho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fluorine in rocks and soils. US Geol. Surv. Jour. Res., 5(5), p. 589-593 

  29. Kanisiwa, S. (1979) Content and behavior of fluorine in granitic rocks, Kitakami Mounations, Northest Japan. Chern. Geol., v. 24, p. 57-67 

  30. Kim, K and Jeong, G. Y. (2005) Factors influencing natural occurrence of fluoride-rich groundwaters: a case study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hemosphere, v. 58, p. 1399-1408 

  31. Koritnig, S. (1972) Handbook of Geochemistry (v. II/I). Berlin, Springer-Verlag, 9B-90 

  32. Lahermo, P., Ilmasti, M., Juntunen, R. and Taka, M. (1990) The hydrogeochemical mapping of Finnish groundwaters. The Geochemical Atlas of Finland, Part 1, Geol. Surv. Finland, 66p 

  33. Li, Z., Tainosho, Y., Shiraishi, K, Owada, M. (2003)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uorine-bearing biotite of early Paleozoic plutonic rocks from the S $\phi$ r Rondane Mountains, East Antarctica. Geochem. J, v. 37, p. 145-161 

  34. Manahan, S. E. (1994) Environmental Chemistry, 6th ed., Lewis Publishers, Florida, USA, 811p 

  35. Nordstrom, D. K, Ball, J w., Donahoe, R. J and Whittemore, D. (1989) Groundwater chemistry and waterrock interaction at Stripa. Geochim. Cosmochim. Acta, v. 53, p. 1727-1740 

  36. Park, S. C., Yun, S. T., Chae, G. T., Yoo, I. S., Shin, K S., Heo, C. H., Lee, S. K (2005) Regional hydrochemical study on salinization of coastal aquifers, western coastal area of South Korea. Jour. Hydrol., v. 313, p. 182-194 

  37. Parkhurst, D. L. and Appelo, C. A. J (1999) User's guide to phreeqc (version 2) - A computer program for speciation, batch-reaction, one-dimensional transport, and inverse geochemical calculations.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994259, Denver; Colorado, 312p 

  38. Pertti, L. and Birgitta, B. (1995) The occurrence and geochemistry of fluorides with special reference to natural waters in Finland. Geo!. Surv. Finland, Report of Investigation 128 

  39. Rankama, K and Sahama, Th. G. (1950) Geochemist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linois, USA, 912p 

  40. Turekian, K K and Wedepohl, K H. (1961) Distribution of the elements in some major units of the earth's crust. Geol. Soc. Am. Bull., v. 71(2), p. 175-191 

  41.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Fluorides and oral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846, Genev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