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MS data collected at four sit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4 were analyzed using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technique,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le sources and estimate their contributions to ambient VOCs. Ten sources were then resolved at Jeongdong, Bulgwang, Yangpye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4년도 광화학평가측정망 자료를 PMF(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모델에 적용하여 수도권 지역 대기 중 VOCs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원들을 파악하고 각 배출원별 기여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배출원에서의 VOCs 오염원 분류표를 산출하여 기존에 개발된 오염원 분류표와 비교 검토하였고, 1시간 간격으로 연속 산출되는 기여도로부터 각 배출원들이 시간별 및 계절별로 대기 중 VOCs 농도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현재 광화학 측정망은 측정소를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1형 측정소인 강화 석모와 제2형과 제3형인 서울시 불 광과 정동, 제4형에 해당하는 경기도 양평 측정소의 자료를 사용하여 각 측정소에서의 배출원별 기여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측정소의 위치는 그림 1에서와 같이 수도권 내 VOCs 배출량이 가장 많은 지점인 불광동과 정동을 중심으로 수도권 외곽의 강화 석모와 양평 이 거의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 대기 중 VOCs의 농도는 1차 배출원의 영향을 주로 받고 있다는 가정 하에 측정된 대기 중 VOCs 농도만을 사용하여 배출원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기 중 VOCs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빠르게 소모되며 그 소모량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립환경과학원 (2003) 대기보전 정책수립 지원 시스템(III), 최종보고서, 환경부 

  2. 국립환경과학원 (2005a) 대기환경연보(2004), 환경부 

  3. 국립환경과학원(2005b) 오존 및 스모그 오염개선기술-대기 Inventory 작성과 배출계수 개발 및 오염배출량 산정연구, 환경부 

  4. 나광삼 (2000) Characteristic of atmospheric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Seoul, measurement and chemical mass balance receptor modeing,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봉춘근, 윤중섭, 황인조, 김창년, 김동술 (2003) 서울지역에서의 VOCs 오염원 기여도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4), 387-396 

  6. 한진석, 홍유덕, 신선아, 이상욱, 이석조 (2005) 수용모델(CMB)을 이용한 수도권 VOCs의 배출원별 기여율 추정, 환경영향평가지, 14(4), 47-53 

  7. Abu-Allaban, M., A.W. Gertler, and D.H. Lowenthal (2002) A preliminary apportionment of the sources of ambient PM10, PM2.5, and VOCs in Ca ro, Atmospheric Environment, 36, 5519-5557 

  8. Fujita, E.M., J.G. Watson, and C.C. Judith (1995) Receptor model and emissions inventory source apportionments of nonmethane organic gas in California's San joaquin valley and San francisco bay area, Atmospheric Environment, 29(21), 3019-3035 

  9. Fujita, E.M. and D.E. Campbell (2003) Validation and application protocol for source apportionment of photochemical assessment monitoring stations (PAMS) ambient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data, US EPA, Washington, DC 

  10. Hwang, I.F., C.K. Bong, J.S. Yun, and D.S. Kim (2001) Sourc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VOCs in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the winter time, Proceeding of 12nd World Clean Air & Environment Congress and Exhibition (IUAPPA 2001), Seoul, Korea 

  11. Kim, E., T.V. Larson, P.K. Hopke, C. Slaughter, L.E. Sheppard, and C. Claiborn (2003) Source identification of PM2.5 in an arid Northwest US city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66,291-305 

  12. Lee, E., C.K. Chan, and P. Paatero (1999) Application o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in source apportionment of particulate pollutants in Hong Kong, Atmospheric Environment, 33, 3201-3212 

  13. Mukund, R., J.T. Kelly, and W.S. Chester (1996) Source attribution of ambient air toxic and other VOCs in Colombus, Ohio, Atmospheric Environmnet, 30 (20), 3457-3470 

  14. Paatero, P. and U. Tapper (1994)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A non-negative factor model with optimal utilization of error estimates of data values, Environmetrics, 5, 111-126 

  15. Paatero, P(1998) User's Guide for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rogram PMF2 and PMF3, part 1: Tutorial, University of Helsinki 

  16. Scheff, P.A., R.A. Wadden, D.M. Kenski, and J. Chung (1996) Receptor model evaluation of the Southeast Michigan ozone study ambient NMOC measurements, J. Air Waste Manage, Assoc, 46, 1048-1057 

  17. Song, X.H., A.V. Pollissar, and P.K. Hopke(2001) Sources of fine particle composition in the northeastern US, Atmospheric Environment, 35, 5277-5286 

  18. Vega, E., V. Mugica, R. Carmona, and E. Valencia (2000) Hydrocarbon source apportionment in Mexico City using the chemical mass balance receptor model, Atmospheric Environment, 34, 4121 -4129 

  19. Watson, J.G., J.C. Chow, and E.M. Fujita (2001) Review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source apportionment by chemical mass balance receptor model, Atmospheric Environment, 35(6), 1567-1584 

  20. Wadden, R.A. and P.A. Scheff (1994) Receptor modeling of VOCs-Il. Development of VOC control functions for ambient ozone, Atmospheric Environment, 28 (15), 2507-2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