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 사진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ng of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 Focusing on the Photographs of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3, 2006년, pp.139 - 163  

김명훈 (한국외국어대학교) ,  현종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사료관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민주화운동 관련 사진들을 기반으로 한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사진 디지털아카이브를 디지털 객체를 대상으로 수집, 분류, 기술, 저장, 활용시키는 통합적 시스템으로 규정한 후, 사진의 고유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의 도출 및 분류체계 수립 사례를 제시하였다. 특히 사진 디지털아카이브의 분류체계 수립 시, 기존의 기본분류체계 외에 다양한 검색어를 활용한 다원분류체계를 설계함으로써, 문자화된 의미전달이 부재한 사진들 간의 통합성 및 상호연계성을 창출시켜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nalyze a constructing process of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based on photographs of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After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defines as integrated systems in which photographic digital objects collect, classify, describe, preserve and access, this article ...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권현수, 전명숙. 2001. 대학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덕성여대를 중심으로. 제39회 전국도서관대회 발표자료집, 2001년 9월 25일. 〔부산: 부산 전시.컨벤션센터(BEXCO) 206호〕 

  2. 김명훈. 2002. 공공기록믈의 평가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선별방식 및 가치범주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 

  3. 김명훈. 2003. 출처주의와현대기록관리.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4. 김인식편역. 1998. 이미지와 글쓰기: 롤랑바르트의 이미지론. 서울: 세계사. 

  5. 김정남. 2003. 대학 아카이브즈의 사진자료 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2). 

  6. 박주석. 2002. 사진박물관 혹은 아카이브의 구성에 관한 논의. 월간미술, 2002년 8월호. 

  7. 박은경. 2005. 기록정보의 디지털 아카이브즈 구축과 사례. 제8회 기록관리워크숍, 2005년 4월 13일-15일.〔 전북: 무주리조트 티롤호텔 그랜드볼룸〕 

  8. 이경민. 2002. 사진 아카이브의 현황과 필요성 고찰: 한국근대사 관련 사진자료를 중 

  9. 이성원. 2003. 유리건판사진의 디지털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첨단영 

  10. 이영배. 2003. 기록물의 기술(記??)요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1. 임진희. 2006.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보존정보패키지(AIP) 구성과 구조. 기록학연구, 13. 

  12. 정진택. 2001. 디지털 영상 아카이브 구축 모형에 관현 연구. 국회도서관보, 38(1). 

  13. 한국전산원. 2005.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역사분야 종합정보센터 연계 지침(안). [서울]: 한국전산원. 

  14. Miller, Fredric M. 2003. 아카이브와매뉴스크립트의 정리와 기술. 조경구 역. 서울: 진리탐구. 원전: 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990. 

  15. Ham, Gerald F. 2003. 아카이브와매뉴스크립트의 선별과 평가, 강경무, 김상민 역. 서울: 진리탐구. 원전: Selecting and Apprais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5. 

  16. Schellenberg, Theodore R. 2002. 현대기록학개론. 이원영 역. 서울: 진리탐구. 원전: Modern Archives: Priciples and Technique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03. 

  17. Ayris, Paul. 1998. Guidance for Selecting Materials for Digitisation, Joint RLG and NPO Preservation Conference Guidelines for Digital Imaging, RLG & NPO. [cited 2005. 5. 27]. . 

  18. Bearman, David A., Lytle, Richard H. 2000. “The Power of Ptinciple of Provenance.” American Archival Studies: Readings in Theory and Practice, Randall C. Jimerson ed. Chicago: SAA. 

  19. Cook, Terry. 1993. “The Concept of the Archival Fonds in the Post-Custodial Era: Theory, Problems and Solutions.” Archivaria, 35. 

  20. Ellis, Judith. 1993. Keeping Archives(Second Edition). Port Melbourne: D. W. Thorpe and Society of Australian Archivists. 

  21. Evans, Max J. 1986. “Authority Control: An Alternative to the Record Group Concept.” The American Archivist, 49(Summer). 

  22. Gertz, Janet. 1998. Selecting Guideline for Preservation, Joint RLG and NPO Preservation Conference Guidelines for Digital Imaging, RLG & NPO. [cited 2005. 5. 20]. . 

  23. Hodge, Gail M. 2000. “Best Practices for Digital Archiving-An Information Life Cycle Approach.” D-Lib Magazine, 6(1). 

  24. ICA, IRMT. 1999. Glossary of Terms. London: International Records Management Trust. 

  25. Lytle, Richard H. 1980. “Intellectual Access to Archives: I. Provenance and Content-Indexing Methods of Subject Retrieval.” The American Archivist, 43(Winter). 

  26. Malan, Nancy E. 1984. “Organizing Photo Collections: An Introspective Approach.” A Modern Archival Reader: Basic Readings on Archival Theory and Practice, Maygene Daniels, Timothy Walch ed. Washington: NARS. 

  27. Ritzenthaler, Mary Lynn, Munoff, Gerald J., and Long, Margery S. 1984. Archives & Manuscripts: Administration of Photographic Collections, Chicago: SAA. 

  28. RLG/OCLC Working Group. 2002. Trusted Digital Repositories: Attributes and Responsibilities. Mountain View, CA: RLG. 

  29. Shepherd, Elizabeth, Yeo, Geoffrey.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30. Stibbe, Hugo. 1992. “Implementing the Concept of Fonds: Primary Access Point, Multilevel Descriptive and Authority Control.” Archivaria, 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