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공동체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 대구 약전골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Acquisition Policy for Establishing Private and Community Archive: Focused on Daegu Yakjeon Alle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2, 2017년, pp.179 - 205  

엄소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김혜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명현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역 문화가 깃든 공동체가 온전히 보존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적 특색이 강한 로컬리티 기록물을 활용하여 공동체 활성화 방안으로 기록물 수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 약전골목을 대상으로 하여 골목의 역사와 현황 및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약전골목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 유형 및 약전골목을 이루고 있는 공동체의 구성요소를 정리하였다. 수집 방안으로는 시흥 바라지 아카이브 사례와 정릉 마을 기록 사례, 오텐센지구 아카이브를 참고하여 단계별 수집정책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dustrialization in urban area communities containing local cultures are becoming hard to be preser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cquisition policy of record as an way to activate the community by using the locality records containing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구 약전골목은 어떠한 장소인가? 이를 위해 구체적인 공동체 대상으로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약전골목’이라는 공동체를 선정하였다. 대구 약전골목은 서울 약령시와 더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약재 시장으로 골목 상권 대부분이 한의약 관련 점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400년간 이어져 온 최고(最古)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구 지역의 명소이다. 일반적으로 ‘약령시’는 한의약재가 유통되는 시장을 의미하고 ‘약전골목’은 대구 중구 남성로 일대에 위치한 지역적 장소를 이르는 말이다.
약전골목이 존폐기로에 내몰린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약전골목이라는 지역 공동체를 대상으로 유형 기록물 및 구술 기록물 수집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공동체를 활성화시킬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약전골목은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한약재 시장으로 조선시대 효종 대에서부터 시작한 역사가 깊으나 현재 한의약에 대한 관심 저하, 변화 없는 서비스 제공, 줄어들고 있는 약업소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존폐기로에 내몰리기까지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기록물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약전골목에서 생산 및 보존되고 있는 기록물의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집정책과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론 무엇이 있었는가? 이에 연구방법으로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로컬리티 기록의 정의를 살펴보고, 공동체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이유와 이로인한 이점을 찾아보았다. 또한 연구 대상인 약전골목의 역사와 현황, 기록물 유형과 범위, 문화재 및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대구약령시한의약박 물관과 타 지역에 위치한 한방체험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해 비교하였다. 둘째, 약전골목에서 약업소와 ‘한방개인박물관’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점포를 방문하여 약전골목에 대한 과거와 현재 인식 변화 및 개인박물관에 대한 기록물 유형과 서비스 현황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열흘에 걸쳐 한례 방문 인터뷰와 두 번의 메일 문의로 이루어졌다. 셋째, 수집정책을 제안하기에 앞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여 구체적인 수집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민간․공동체 아카이브가 구축된 사례를 참고하여 아카이브를 구축하게 된 계기 및 과정,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사례의 수집 과정을 분석하여 약전골목 기록물 수집 방안에 대한 목적, 범위, 수집전략, 수집 실행 방안, 수집 평가 및 보완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350년 역사' 대구 약령시 존폐 위기. 2012. 경향신문. 5월 20일. [online] [cited 2012. 5. 20.] ("'350 Years of History' Daegu Yakjeon Alley Crisis". 2012. The Kyunghyang Shinmun. May 20. [online] [cited 2012. 5. 20.] ) 

  2. 356년의 약령시가 3년 만에 휘청거린다. 2014. 영남일보. 9월 2일. [online] [cited 2014. 9. 2.] ("356 Years of Yakjeon Alley is Fired in Three Years". 2014. Yeongnam Daily News. September 2. [online] [cited 2014. 9. 2.] ) 

  3. 강대기 편. 2001.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파주: 아카넷.(Kang, Dae-Ki. 2001. Understanding and Quest for Community. Paju: acanet.) 

  4.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Kwon, Soon-Myung and Lee, Seung-Hwi. 2009. "A Study on Documentation Strategy for Archiving Localit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41-84.) 

  5. 김신근 편. 1987. 한의약서고(韓醫藥書攷).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Kim, Shin-Keun. 1987. Thinking of Korean Medicine Dictionar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Kim, Hwa-Kyoung. 2012. "Acquisition Strategy for Constructing Local Archives: The Case of Busan Sanbokdoro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43-161.) 

  7. 류지석. 2009. 로컬리톨로지를 위한 시론: 로컬, 로컬리티, 로컬리톨로지. 한국민족문화, 33: 135-158.(Ryu, Ji-Seok. 2009. "An Initiative Study for Localitology - Local, Locality and Localitology." Journal of Koreanology, 33: 135-158.) 

  8. 민기석. 2012. 로컬리티에 기반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서비스 방안: 아카이브 이벤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기록관리학대학원.(Min, Ki-Suk. 2012. Study on records service of local archives based on locality. M.A. thesis, Department of Archive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Korea.) 

  9.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Seol, Moon-Won. 2010.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6: 103-149.) 

  10.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Seol, Moon-Won. 2012.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2: 3-44.) 

  11.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6.(Sohn, Dong-you and Lee, Kyoung-juhn. 2013. "A Plan to Activate the Archive of Maeul Commun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161-206.) 

  12.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Youn, Eun-Ha. 2012. "Communities and Community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3: 3-37.) 

  13. 이은진, 이유진, 윤은하. 2015. 영락교회 역사자료실의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137-164.(Lee, Eun-Jin, Lee, Yu-Jin and Youn, Eun-Ha. 2015.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cquisition Policy for Young-nak Church's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2): 137-164.) 

  14. 전말숙. 2012. 재개발지역 도시 아카이브의 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기록관리학 대학원.(Chun, Mal-Suk.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Urban Archives in Redevelopment Areas. Ph.D. diss., Department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Korea.) 

  15. 전혜선. 2016. 시흥아카이브 낮은 기억을 기록하다.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2016년 10월 15일,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227-232.(Jeon, Hye-Sun. 2016. "Siheung Archives Record from Low Memory." In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f Korean Archives and Records Professionals, October 15, 2016, 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27-232.) 

  16. 조경만 외. 2003. 광주 문화중심도시 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보고서. 서울: 문화관광부.(Cho, Gyoung-Man et al. 2003. Basic Research Report for Cultural City Planning in Gwangju. Seoul: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17. 조용성. 2010. 구술기록의 수집과 아카이브 정책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233-278.(Cho, Young-Sung. 2010.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y of Oral History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5: 233-278.) 

  18. 최연희. 2016. 정릉 마을기록 사례.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2016년 10월 15일,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233-238.(Choi, Yeon-Hee. 2016. "Jungnung Village Record Case." In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f Korean Archives and Records Professionals, October 15, 2016, Seou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33-238.) 

  19.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08. The Dictionary of Archives. Seoul: Critical Review of History.) 

  20. 함한희. 2010. 구술사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구술사연구, 1(1): 7-47.(Hahm, Han-Hee. 2010. "Searching for A New Paradigm in the Study of Oral History."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1(1): 7-47.) 

  21. 함한희. 2014. 역사와 과학으로서의 구술사: 구술사연구 방법과 실천. 구술사연구, 5(2): 193-199.(Hahm, Han-Hee. 2014. "Oral History as History and Science: Oral history of Research and Practice." Korean Journal of Oral History, 5(2): 193-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