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화재연구를 위한 대형 콘 칼로리미터의 설계
Design of Large Cone Calorimeter for the Fire Study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0 no.4 = no.64, 2006년, pp.65 - 71  

이의주 (부경대학교 안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화재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화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물리량인 발열량 등을 측정하여 모델의 검증과 화재현상의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이전의 화재연구에서는 실험공간이나 재정적 여건 때문에 축소모형 실험을 주로 수행하였지만, 다양한 화재의 특성을 축소모형에서 모두 도출할 수 없으므로 실제 규모의 화재에서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보통 5MW 이상의 열량을 측정할 수 있는 대형 콘 칼로리미터를 20년 전부터 외국에서는 개발하였으며, 새로운 관련기술과 화재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개선되고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콘 칼로리미터를 설계할 때 고려하여야 할 방법들을 각 요소별로 설명하고, 이를 통해 향후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지식이나 기술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major properties such as a heat release rate have been measured experimentally for the validation of fire model and the clarification of fire phenomena as the study is more rigorous recently. Although the reduced-scale experiment also provides the basic data and the physical understanding in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측정 장비는 상류에서부터 속도, 농도, 연기밀도 등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 순서는 프루브에 의한 유동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최종 발열량 산정에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선택되었다. 각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기술하였다.
  • 비록 작은 크기의 콘칼로리미터는 이미 국제기준으로 결정되어 있어 사용할 수 있지만 대형 콘칼로리미터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본인의 경험이나 문헌 조사 그리고 다른 연구자와의 토의를 통해 대형 콘칼로리미터를 설계하는데 있어 참고가 될 사항들을 각 요소별로 소개하였다. 화재특성을 평가하는 실험방법론은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향후 진보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연구가 앞으로 여러 가지 규모의 발전된 콘칼로리미터 설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8)이러한 측정 이외에도 연구의 목적에 맞는 HC1, 불연탄화수소(unbumed hydrocai'bon) 등의 유해가스를 즉정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덕트 및 후드 시스템의 설계인자와 더불어 기본적인 화재 물리량인 발열량, CO, co2, 연기농도 측정을 위한 방법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가설 설정

  • 위의 식으로부터 10 MW 발열량을 가진 3가지 액체 연료, 메탄올, 헵탄(heptane), 가솔린에 대하여 9m 높이에 후드가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그 높이에서의 계산값을 Table 1에 제시하였다.
  • 위의 전체 질량유량, A, 식에서는 대류 열방출 율로서, 본 연구에서는 풀화재에서 70%의 열이 대류 항으로 방출되고 나머지 30%는 복사열로 주위로 전달 됨을 가정 하였다. 또한 z는 Heskestad 플룸에서 가상원 점 (virtual origin)부터의 높이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V. Babrauskas and S. J. Grayson, 'Heat Release in Fire', Esevier Science Publisher, New York(1992) 

  2. ISO 5660-1, 'Fire Tests: Rate of Heat Release from Building Products', ISO(1993) 

  3. ISO 9705, 'Fire Tests: Full-Scale Room Test for Surface Products', ISO(1993) 

  4. G. Heskestad, 'A Fire Products Collector For Calorimeter into the MW Range', FMRC Technical Report(1981) 

  5. M. Dahlberg, 'The SP Industry Calorimeter for rate of Heat Release Measurements up to 10 MW', SP Report(1992) 

  6. R. A. Bryant, T. J. Ohlemiller, E. L. Johnsson, A. Hamins, B. S. Grove, W. F. Guthrie, A. Maranghides, and G. W. Mulholland, 'The NIST 3 Megawarr Quantitative Heat Release Rate Facility', NIST Special Publication 1007(2003) 

  7. C. Huggett, 'Estimation of Rate of Heat Release by Means of Oxygen-Consumption Measurements', Fire and Materials, Vol. 4, No. 2, pp.61-65(1980) 

  8. D. Drysdale, An Introduction to Fire Dynamics, John Wiley & Sons Ltd.(1998) 

  9. B. Karlsson and J. G. Quintiee,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ress Ltd.(2000) 

  10. G. Heskestad, 'Fire Plume, Flame Height and Air Entrainment',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2002) 

  11. V. Babrauskas, 'Heat Release Rate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2002) 

  12. B. J. McCaffrey and G. Heskestad, 'Robust Bidirectional Low-Velocity Probe for Flame and Fire Application', Combust. Flame, Vol. 26, No. 1, 125-127(1976) 

  13. Measurement and Instruments, ASHRAE Handbook, Fundamentals, ASHRAE, Atlanta, Ga(1993) 

  14. 이의주, 안찬솔, 신현준, 오광철, 이은도, '작은 풀화재에서의 연기특성',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19, No. 3, pp.58-63(2005) 

  15. G. W. Mulholland, E. L. Johnsson, M. C. Fernandez, and D. A. Shear, 'Design and Testing of a New Smoke Concentration Meter', Fire and Materials, Vol. 24, pp.231-243(2000) 

  16. 이의주, G.W. Mulholland, 'WSR 초기매연 조건에서의 입자크기, 농도 및 화학적 특성',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 Vol. 28, No. 9, pp.1117-1123(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