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기 및 비강우기 경안천 수체흐름에 의한 팔당호 수질변동 비교 평가
Water Quality Fluctuation Study of Paldang Reservoir Affected by Gyeongan Stream Inflow according to Rainfall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39 no.2 = no.116, 2006년, pp.236 - 244  

허성남 (국립환경과학원) ,  노혜란 (국립환경과학원) ,  양희정 (국립환경과학원) ,  정동일 (국립환경과학원) ,  김종민 (국립환경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안천 유입부(G 1)부터 팔당댐 앞 (P)까지의 2002년도 수질변동을 팔당호 전체 수질분포및 강우시기 등과 연동하여 평가하였다. 연평균 COD,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경안천 유입부에서 댐 쪽으로 갈수록 농도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경안천 유입하천의 높은 오염도가 직접 댐 앞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시기 및 지점별 COD,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강우기 (8, 9월)가 다른 조사시기에 비해 지점 간 차이가 적고, 초기농도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클로로필 a 농도는 강우기 이후(10 ${\sim}$ 12월)보다는 이전(3${\sim}$6월)에 각 지점별 농도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팔당호 전체 수질분포에서, 북한강 유입수역 수온은 다른 수역에 비해 8월은 낮고 11월에는 높게 나타났다. COD와 SS농도는 강우기에는 각 수역별로 비교적 큰 농도차이를 보였으나 11월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농도도 낮았다. 4월 높았던 클로로필 a 농도는 강우기에는 현저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다. 4월에는 비교적 수심이 낮은 경안천 유입수역에서도 8월 및 11월에 비해 표층과 심층간의 수온 차가 크게 나타났다. 댐 앞 지점 SS농도는 4월에 표층에서 높고 8월에는 심층에서 높았다. 또한 COD, 총인, 총질소 농도는 8월이 4월에 비해 상 ${\cdot}$ 하층이 비교적 잘 혼합되고, 현저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11월에도 낮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팔당호에서 수질관리에 집중해야 될 시기는 여름가을보다는 봄여름기간 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quality fluctuation of Gyeongan water area in Paldang reservoir, which measured from the downstream sampling point of Gyeongan stream (G1) to dam sampling point (P), was examined in the light of seasonal rainfall and regional difference in the year of 2002. Annual COD, T-P and T-N concent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강우 등 수문학적 여건에 따른 유입하천 흐름과 수질 변동양상을 연구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으며, 그나마 표층수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경안천의 팔당호 유입수역인 유입부(G1)부터 댐 앞 (P)까지의 각 조사지점 표층과 수심별 수질조사 결과를 팔당호 전체의 계절별 수질분포 및 강우 등에 의한 유입수량 변동과 연동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공동수. 1992.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 김종민,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정완종, 임연택. 2002a. 팔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특성 및 장기추세. 한국물환경학회지 18(1): 67-76 

  3. 김종민, 허성남, 양희정, 정완종, 황정, 이인선, 김무영. 2002b. 호소형 및 하천형 호수의 유기물 거동특성 비교연구 (I). 국림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18p 

  4. 김종민, 허성남, 양희정, 노혜란, 한명수. 2003. 호소형 및 하천 형 댐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육수지 36(2): 124-138 

  5. 김종민, 노혜란, 허성남, 양희정, 박준대. 2005. 강우 및 유입하 천수가 팔당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3): 277-283 

  6. 류홍일, 공동수, 천세억, 박혜경, 손영환, 류재근, 김종민. 1995. 호소 내 오염하천 유입부의 식물에 의한 정화처리 연구 (I).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7. 서윤수, 조규송, 김범철, 허우명. 1988. 팔당 상수원 보호 종합 대책에 관한 연구(1차년도-플랑크톤부문). 국립환경연구원 

  8. 임병진, 정원화, 변명섭, 최성헌, 방규철, 황승률, 김상훈, 허성남, 박준대, 박지형, 전선옥, 김병훈, 정재욱, 이정봉, 김종택, 류 재근. 1999. 호수 내 조류 대 발생에 대한 수면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II ).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9. 한국수력원자력 (주). 팔당댐 수계자료. http://www.khnp.co.kr/index.jsp 

  10.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 과거와 현재, 육수지 26(2): 141-149 

  11. 한명수, 어운열, 유재근, 유광일, 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 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화, 육수지 28(3): 335-344 

  12. 한명수, 이동석, 유재근, 박용철, 유광일. 1999. 팔당호의 생태학 적 연구 3. 식물플랑크톤의 일차 생산력과 광합성 모델 parameters, 육수지 32(1): 8-15 

  13. 한명수, 홍성수, 어윤열. 2002.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4. 경안 천 하류의 영양염 및 입자태 유기물 거동과 식물플랑크톤 의 천이, 육수지 35(1): 1-9 

  14. 환경부. 2000.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5. 환경처. 1990. 팔당호 시험 준설 영향 조사보고서 

  16. Hong, S.-S., S.-W. Bang, Y.-A. Kim and M.-S. Han. 2002. Effects of rainfall on the hydrological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riverine zone of the Paldang reservoir. Korea. J. of Freshwat. Ecol. 17: 507-520 

  17. Mortimer, C.F. 1981. The oxygen content of air-saturated freshwater over ranges o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of limnological interest. Mitt. Internat. Verein. Limnol. 21: 1-23 

  18. Surfer ver.8 software. Golden Sofeware. Inc 

  19. Wetzel, R.G. 1990. Reservoir ecosystems: conclusions and speculations. In: Reservoir Limnology : Ecological perspectives (K.W. Thornton, B.L. Kimmel and F.E. Payne), Wiley interscience.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