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삼각망(fyke net)과 삼중자망(trammel net)의 망목을 달리하여 횡성호에서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에 포획된 어류는 총 8과 22종 8,626개체였고, 생체량은 122.9kg이었다. 이중 삼각망에서 8과 21종 8,16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96.6kg이었고, 삼중자망에서 6과16종 458개체였고 생체량은 26.3kg이었다 분석결과 삼중자망이 삼각망에 비하여 출현종, 개체수, 그리고 생체량 모두 현저하게 낮았다. 한편 출현종의 수는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망목이 작은 삼각망은 작은 치어부터 대형어류까지 모두 채집할 수 있어 그 지역의 세부적인 어류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데 알맞을 것으로 보이고 삼충자망은 적절한 크기의 망목을 사용할 경우 조사지역의 출현종을 파악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community in the Hoengseong Reservoir was investigated from April to October 2005.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period was 8,626 fish representing 22 species and 8 families, using tyke net and trammel net. Besides biomass was 122.9 kg. In the fyke net, 8,168 individuals caught du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삼각망 (fyke net) 과 삼중자망 (trammel net) 은 해양에서 뿐만 아니라 담수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어구로 해양에서는 이들에 대한 분석이 비교적 잘 되어 있으나(Lee and Seok, 1984; 황 드 1997; 김과 이, 2002; 안 등 2002; 한 등 2002a, b; 허와 안, 2002; 김 등 2003; 안과 허, 2003; 차 등 2004; 유 등, 2005) 담수에서는 이들 포획도구들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는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어구에 의해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횡성호의 어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어구의 채집효과를 분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담수역 실정에 맞는 정량적인 조사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와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김성훈, 이주희. 2002. 가자미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8(2): 91-100 

  2. 김영혜, 김종빈, 장대수. 2003. 여수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종조 성과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2): 120-128 

  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 133-520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p. 1-465 

  5. 김익수, 양 현. 2001. 전북 부안댐 어류군집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24(1): 45-50 

  6. 변화근, 이완옥, 김동섭. 2004. 영천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6(3): 234-240 

  7. 변화근, 전상린, 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육수지 30(4): 325-335 

  8. 손영목, 송호복, 변화근, 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9(1): 141-152 

  9. 안용락, 손종철, 황동식, 최수하. 2002. 포항 석병연안에서 삼중 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2): 109-120 

  10. 안용락, 허성회. 2002.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3. 꽃게통발의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5(6): 715-722 

  11. 안용락, 허성회. 2003.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4. 저층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6(6): 686-694 

  12.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7a. 안동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 집구조, 육수지 30(4): 347-356 

  13. 양홍준, 채병수, 황수옥. 1997b. 임하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 집구조, 육수지 30(2): 145-154 

  14. 유정화, 김병기, 김진구, 김현주. 2005. 동해 중부 연안에서 자 망과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4): 279-286 

  15. 이충렬. 2005.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7(2): 131-141 

  16. 이충렬, 김용호. 2002.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4(3): 173-182 

  17.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18. 차병열, 장대수, 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1): 65-72 

  19.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개정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77p 

  20. 최신석, 송호복, 황수옥. 1997. 대청호의 어류 군집, 육수지 30(2): 155-166 

  21. 최재석. 2005a. 의암호의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7(1): 73- 83 

  22. 최재석. 2005b. 청평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육수지 38(1): 63-72 

  23. 최재석. 2005c. 춘천호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환경생물 23(2): 173-183 

  24.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고명훈, 권오길, 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2): 95-104 

  25. 최재석, 장영수, 이광열, 김진국, 권오길. 2004.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환경생물 22(1): 111-119 

  26. 한경호, 김종헌, 백승록. 2002a. 울산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1): 61-69 

  27. 한경호, 손종철, 황동식, 최수하. 2002b. 포항 석병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2): 109-120 

  28. 황선도, 박영조, 최수하, 이태원. 1997.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흥해 연안어류의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30(1): 105-113 

  29. 허성회, 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4): 288-301 

  30. 허성회, 안용락. 2002.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2.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5(4): 366-379 

  31. Acosta, A. 1997. Use of multi-mesh gillnets and trammel nets to estimate fish species composition in coral reef and mangroves in the southwest coast of Puerto Rico Carrib. J. Sci. 64: 91-100 

  32. Andersson, G., H. Berggren, G. cronberg and C. Gelin. 1978. Effects of planktivorous and benthivorous fish on organisms and water chemistry in eutrophic lakes. Hydrobiologia 59: 9-15 

  33. Andrade, J.P. 1989. The flatfishes of the Ria Formosa, southern Portugal: results of a three-year survey. Sci. Mar. 53: 671-676 

  34. Arcifa, M.S., T.G. Northcote and O. Froehlich. 1986. Fish zooplankton interactions and their effects on water quality of a tropical Brazilian Reservoir. Hydrobiologia 139: 49-58 

  35. Craig, J.F., A. Sharma and K. Smiley. 1986. The variability in catches from multi-mesh gillnets fished in three Canadian lakes. J. Fish Biol. 28: 671-678 

  36. Degerman, E., P. Nyberg and M. Appelberg. 1988. Estimating the number of species and relative abundance of fish in oligotrophic Swedish lakes using multi-mesh gillnets. Nord. J. Freshw. Res. 64: 91-100 

  37. Edgar, G.J. and C. Shaw. 1995. The production and trophic ecology of shallow-water fish assemblages in Southern Australia. I. Species rechness, size-structure and production of fishes in Western Port, Victoria. J. Exp. Mar. Biol. Ecol. 194: 53-81 

  38. Fulling, G.L., M.S. Peterson and G.J. Crego. 1999. Comparison of vreder traps and seines used to sample marsh nekton. Estuaries. 22: 224-230 

  39. Goad, J.A. 1984. A biomanipulation experiment in Green Lake Seattle Washington USA. Archiwam. Hydrobiologia 102: 137-154 

  40. Hamley, J.M. 1975. Review of gillnet selectivity. Can. J. Fish. Res. Board 32: 1943-1969 

  41. Jaccard, P. 1908. Nouvelles reche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etin Society Sciences Naturale. 44: 223-270 

  42. Kim, I.-S., M.-K. Oh and K. Hosoya. 2005.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 (Cyprinid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7(1): 1-7 

  43. Kitchell, J.F., H.F. Henderson, E. Grygierek, J. Hrbacek, S.R. Kerr, M. Pedini, T. Petr, J. Shapiro, R.A. Stein, J. Stenson and T. Zaret. 1982. Management of lakes by food chain manipulation, U.N.F.A.O., Rome, 215p 

  44. Laffaille, P., E. Feunteun and J.C. Lefeuvre. 2000. Composition of fish communities in a European macrotidal salt marsh (the Mont Saint-Michel Bay, France). Estuar. Coast. Shelf Sci. 51: 429-438 

  45. Lagler, K.F. 1978. Capture, sampling and examination of fishes. In T. Bagenal (ed). Methods for Asses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 Waters. Blackwell Sc. Pub., London, p. 7-83 

  46. Lamarra, V.A. Jr., 1975. Digestive activities of carp as a major contributor to the nutrient loading of lakes. Verh. Int. Ver. Limnol. 19: 2461-2468 

  47. Lazzari, M.A., S. Sherman, C.S. Brown, J. King, B.J. Joule, S.B. Chenoweth and R.W. Langton. 1999. Seasonal and annual variati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wo nearshore fish communities in Marine. Estuaries. 22: 636-647 

  48. Lee, T.W. and K.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Korea J. Oceanol. Soc. 19: 217-227 

  49. Lynch, M. and J. Shapiro. 1981. Predation, enrich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Limnology and Oceanography 26: 86-102 

  50. McQueen, D.J., J.R. Post and E.L. Mills. 1986. Trophic relationships in fresh-water pelagic ecosystem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43: 1571- 1581 

  51. Morton, R.M. 1990. Community structure, density and standing crop of fishes in a subtropical Australian mangrove area. Mar. Biol. 105: 385-394 

  52.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53.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02. Fishing Gear of Korea. Hangeul Graphics, 579p 

  54. Pollard, D.A. 1994. A comparison of fish assemblages and fisheries in intermittently open and permanently open coastal lagoons on the south coast of New South Wales, south-eastern Australia. Estuaries 17: 631-646 

  55. Potter, I.C. and G.A. Hyndes. 1994. Composition of the fish fauna of a permanently open estuary on the southern coast of Australia, and comparisons with a nearby seasonally closed estuary. Mar. Biol. 121: 199-209 

  56. Shapiro, J. 1979. The need for more biology in lake restoration, In: Lake Restoration, Proceedings of a national conference, Aug. 22-24, 1978. Minneapolis Minnesota. EPA 440/5-70-001. U.S. Gov'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p. 161-167 

  57. Shapiro, J., V. Lamarra and M. Lynch. 1975. Biomanipulation: an ecosystem approach to lake restoration. In: P.L. Brezonik and J.L. Fox (eds).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Water Quality Management through Biological Control.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p. 85- 69 

  58. Tatrai, I. and V. Istranovics. 1986. The role of fish in the regulation of nutrient cycling in Lake Balaton, Hungary. Freshwater Biology 16: 417-424 

  59. Watters, G.T. 1996. Small dams as barriers to freshwater mussels (bivalvia, unionida) and their hosts. Biological Conservation 75: 79-85 

  60. Weaver, M.J., Magnuson and M.K. Clayton. 1993. Analysis for differentiating littoral fish assemblages with catch data from multiple sampling gears. Trans. Am. Fish. Soc. 122: 1111-1119 

  61. Yoklavich, M.M., G.M. Cailliet, J.P. Barry, D.A. Ambrose and B.S. Antrim. 1991.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abundance and diversity of fish assemblages in Elkhorn Slough, California. Estuaries 14: 465-4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