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양호에서 생태계 건강성평가를 위한 예비조사로서 어류채집도구별 종조성 분석
Analysis of Fish Fauna by Sampling Gear as a Preliminary Survey for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in Jinyang Reservoir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3 no.1, 2010년, pp.103 - 116  

한정호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국내 호수에서 사용되는 어구들(Sampling gears) 중 어류를 이용한 호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어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각 어구별 채집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양호를 대상으로 2008년 11월과 2009년 6월 2회에 걸쳐서 어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어구는 외통발(FN), 자망(GN), 삼중자망(TN), 투망(CN), 통발(MT), 족대(KN) 등 6개의 어구를 사용하였다. 진양호에서 채집된 총 어류는 1차 조사에서 20종의 4,149개체로 나타났으며, 2차 조사에서 27종의 3,364개체로 나타나 동절기(11월)인 1차 조사에 비하여 하절기(6월)에서 더 많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나 1, 2차 조사 결과, 총 어류는 29종의 7,513개체가 채집되었다. 어구별로 채집된 어종을 분석한 결과, 투망(CN)이 28종 3,567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정치망(FN)이 15종 3,108개체, 삼중자망(TN)이 14종 577개체, 자망(GN)이 7종 107개체, 통발(MT)이 6종 59개체, 족대(KN)가 5종 95개체가 채집되어 투망이 총 및 개체수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채집도구별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결과, 각 어구마다 채집되는 종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CN을 이용한 다른 채집도구들에 비해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MT과 KN이 어류채집 시 가장 낮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도 분석에서도 CN이 전체 채집된 어류 자료와 95% 정도의 유사도를 보였으며, MT, GN, TN, KN으로 채집된 어류는 유연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호수생태계에서 어류조사도구별 효율성에 대한 예비연구로서 검증을 위해 향후 여러 호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e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ampling efficiency of various fish sampling gears for a len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This survey was conducted at twelve sampling locations of Jinyang Reservoir in November, 2008 and June, 2009. Sampling gears used in the field were fyke net (FN...

주제어

참고문헌 (70)

  1. 김성훈, 이주희. 2002. 가자미 삼중자망의 망목 선택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8(2): 91-100. 

  2. 김영혜, 김종빈, 장대수. 2003. 여수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6(2): 120-128. 

  3.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 한국 어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서울.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5. 김익수, 양 현. 2001. 전북 부안댐 어류군집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24(1): 45-50. 

  6.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서울. 

  7.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분석에 의거한 갑천 생태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2): 198-208. 

  8. 변화근, 전상린, 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4): 325-335. 

  9. 손영목, 송호복, 변화근, 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9(1): 141-152. 

  10.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 361-371. 

  11. 안광국, 이의행. 2006. 어류의 군집 메트릭 모델을 이용한 유구천의 생태 건강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3): 310-319. 

  12.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한국육수학회지 38(3): 341-351. 

  13.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3): 153-165. 

  14. 안광국, 최지웅. 2006. 초강의 통합적 생태건강성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3): 320-330. 

  15. 안광국, 한정호. 2007. 정수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다변수 메트릭 모델 개발. 한국육수학회지 40(1): 72-81. 

  16. 안용락, 허성희. 2003.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4. 저층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6(6): 686-694. 

  17.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7. 안동댐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4): 347-356. 

  18. 양홍준, 채병수. 1997. 남강댐호 유역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환경생물 15(2): 175-183. 

  19. 유정화, 김병기, 김진구, 김현주. 2005. 동해 중부 연안에서 자망과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4): 279-286. 

  20. 이충렬, 김용호. 2002.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한국어류학회 14(3): 173-182. 

  21. 이충렬. 2005.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7(2): 131-141. 

  22. 임현식, 최진우. 2005. 영암호 저서동물군집에 미친 하구둑 건설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8(3): 172-183. 

  23. 장영수, 이광렬, 최준길, 서진원, 최재석. 2006. 포획도구에 따른 횡성호내 어류채집 효과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9(2): 245-256. 

  24. 차병열, 장대수, 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1): 65-72. 

  25. 최신석, 송호복, 황수옥. 1997. 대청호의 어류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8(1): 63-72. 

  26.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고명훈, 권오길, 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2): 95-104. 

  27.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최의용, 서진원. 2005. 평화의 댐 어류 군집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8(3): 297-303. 

  28. 한정호, 안광국. 2008. 남양호에서 다변수 메트릭 모델 적용 및 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2): 228-236. 

  29. 허성희, 안용락. 2002.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적 변동 2.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5(4): 366-379. 

  30. 환경부. 2006.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II) 최종보고서: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체계 연구. 

  31. 환경부. 2007.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III): 수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32. Acosta, A. 1997. Use of multi-mesh gillnets and trammel nets to estimate fish species composition in coral reef and mangroves in the southwest coast of Puerto Rico. Caribbean Journal of Science 64: 91-100. 

  33. Amour, B.A. and A.D. Boisclair. 2004. Comparison between two sampling methods to evaluate the structure of fish communities in the littoral zone of a Laurentian Lake. Journal of Fish Biology 62: 1372-1384. 

  34. An, K.G., S.J. Hwang, D.Y. Bae, J.Y. Lee and J.-H. Kim. 2005. Introduction of an electrofishing technique for assessments of fish assemblages to Korean watershed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4): 482-493. 

  35. Appelberg, M., B.C. Bergquist and E. Degerman. 2000. Using fish to assess environmental disturbance of Swedish lakes and streams - a preliminary approach. Verhandlungen. Internationale Vereinigung fur Theoretische und Angewandte Limnologie 27: 311-315. 

  36. Belpaire, C., R. Smolders, I.V. Auweele, D. Ercken, J. Breine, G.V. Thuyne and F. Ollevier. 2000.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characterizing fish populations and the ecological quality of Flandrian water bodies. Hydrobiologia 434: 17-33. 

  37. Bonvechio, T.F., W.F. Pouder and M.M. Hale. 2008. Variation between electrofishing and otter trawling for sampling black crappies in two Florida lakes. North American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28: 188-192. 

  38. Cairns, J. Jr. and R.L. Kaesler. 1971. Cluster analysis of fish in a portion of the upper Potomac Rive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00: 750-756. 

  39. Craig, J.F., A. Sharma and K. Smiley. 1986. The variability in catches from multi-mesh gillnets fished in three Canadian lakes. Journal of Fish Biology 28: 671-678. 

  40. Degerman, E., P. Nyberg and M. Appelberg. 1988. Estimating the number of species and relative abundance of fish in oligotrophic Swedish lakes using multi-mesh gillnets. Nordic Journal of Freshwater Research 64: 91-100. 

  41. Didier, J., D. Kestemont and J.C. Micha. 1996. Indice Biotique d'Integrite piscicole pour evaluer la qualite ecologique des ecosystemes aquatiques. la Paix, Namur, Belgium. 

  42. Drake, M.T. and D.L. Pereira. 2002. Development of a fishbased index of biotic integrity for small inland lakes in Central Minnesota. North American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22: 1105-1123. 

  43. Emmanuel, B.E., L.O. Chukwu and L.O. Azeez. 2008. Cast net design characteristics, catch composition and selectivity in tropical open lagoon.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7(12): 2081-2089. 

  44. Funk, J.L. 1957. Movement of stream fishes in Missouri.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85: 39-57. 

  45. Gassner, H., G. Tischler and J. Wanzenbock. 2003. Ecological integrity assessment of lakes using fish communities suggestions of new metrics developed in two Austrian Prealpine lakes. International Review of Hydrobiology 88(6): 635-652. 

  46. Gerking, S.D. 1959. The restricted movement of fish populations. Biological Review 34: 221-242. 

  47. Harris, J.H. 1995. The use of fish in ecological assessments. Australian Journal of Ecology 20: 65-80. 

  48. Hayes, D.B., C.P. Ferreri and W.W. Taylor. 1996. Active fish capture methods. p. 193-220 In: Fisheries techniques (Murphy, B.R. and D.W. Willis, ed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aryland. 

  49. Hill, J. and G.D. Grossman. 1987. Home range estimates for three North American stream fishes. Copeia 1987: 376-380. 

  50. Huguency, B., S. Camara, B. Samoura and M. Magassouba. 1996. Applying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communities in a West African river. Hydrobiologia 331: 71-78. 

  51. Jennings, M.J., J. Lyons, E.E. Emmons, G.R. Hatzenbichler, M.A. Bozek, T.D. Simonson, T. Douglas Bezard Jr. and D. Fago. 1999. Toward the developement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for inland lakes in Wisconsin, p. 541-560. In: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Simon, T.P. ed.). CRC-Press Boca Raton, London, New York, Washington. 

  52. Karr, J.R. and M. Dionne. 1991. Designing surveys to assess biological integrity in lakes and reservoirs, in biological criteria. EPA-440/5-91-005, USA. p. 62-72. 

  53.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 5-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Champaign, IL. 

  54.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55. Koizumi, N. and Y. Matsumiya. 1997. Assessment of stream fish habitat based on index of biotic integrity.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Fisheries Oceanography 61: 144-156. 

  56. Lee, T.W. and K.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Korean Journal of Oceanology Society 19: 217-227. 

  57. Lyons, J.S., P. Navarro, A. Perez, E. Cochran, C. Santana and M. Guzman-Arroyo. 1995.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fish assemblages for the conservation of streams and rivers in west - central Mexico. Conservation Biology 9: 569-584. 

  58. Lyons, J., G.H. Altagracia, D.P. Edmundo, S.G. Eduardo, M.N. Martina and P.L. Raul. 2000.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index of biotic integrity (lBI) based on fish assemblages to assess ecosystem condition in the lakes of central Mexico. Hydrobiologia 418: 57-72. 

  59. NE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2. Fishing gear of Korea. Hangeul Graphics, pp. 579. 

  60. Oberdorff, T. and R.M. Hughes. 1992.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fish assemblages to characterize rivers of the Seine Basin, France. Hydrobiologia 228: 117-130. 

  61.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ll,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lebrate communities. 

  62. Petesse, M.L., M. Petesse Jr. and R.J. Spigolon. 2007. Adaptation of the reservoir fish assemblage index (RFAI) for assessing the Barra Bonita reservoir(Sao Paulo, Brazil).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3: 595-612. 

  63. Ruetz, C.R. Ill, D.G. Uzarski, D.M. Krueger and E.S. Rutherford. 2007. Sampling a littoral fish assemblage: comparison of small-mesh fyke netting and boat electrofishing. North American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27: 825-831. 

  64. Schulz, E.J., M.V. Hoyer and D.E. Canfield Jr. 1999.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A test with limnological and fish data from sixty Florida lak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y Society 128: 564-577. 

  65. Simon, T.P. 1998.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and development of reference conditions expectations or dunal, palustrine wetland fish communities along the southern shore of Lake Michiga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Management 1: 49-62. 

  66. Simon, T.P., R. Jankowski and C. Morris. 2000. Modification of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for assessing vernal ponds and small palustrine wetlands using fish, crayfish, and amphibian assemblages along southern Lake Michiga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Management 3: 407-418. 

  67. SPSS. 2004. SPSS 12.0 KO for windows. Apache software foundation. 

  68. Thoma, R.F. 1999. Biological monitoring and the index of biotic integrity for Lake Erie's nearshore waters, p. 418-461. In: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Simon, T.P. ed.). CRC-Press Boca Raton, London, New York, Washington, D.C., USA. 

  69. US. EPA. 1998. Lake and reservoir bioassessment and biocriteria. EPA 841-B-98-007.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70. Whittier, T.R. 1999. Developement of IBI metrics for lakes in Southern New England, p. 563-580. In: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Simon, T.P. ed.). CRC-Press Boca Raton, London, New York,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