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과 카페인 함유제품이 흰쥐 신장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and Caffeine Product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ouse Kidney 원문보기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v.30 no.1, 2006년, pp.15 - 21  

장영상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장윤혁 (미시간주립대학교 식품영양과학과) ,  성종환 ((주)일화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성분과 카페인 함유제품을 마우스에 섭취시켜 4주간사육한 후, 마우스 신장 조직에서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Hydroperoxide 등의 항산화 활성 및 조직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유영능력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무수카페인 실험군만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uperoxide dismutase 및 Catalase 활성은 카페인함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인삼성분함유 실험군에서는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Hydroperoxide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나 인삼성분함유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슷한 함량을, 카페인함유 실험군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과산화 지질 수준 및 단백질 함량 변화는 인삼성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카페인 함유제품 실험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신장 조직학적 변화는 인삼성분 및 카페인 함유 실험군에서 크나큰 조직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각 실험군과 실험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본 실험에 있어서는 인삼성분 함유제품이 카페인 함유제품보다 신장 조직의 항산화활성능력이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issue cells of mouse kidney isolated from mice fed with different formulation of drinks. The swimming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s without caffeine showed the same pattern, but caffeine group decreased slightly. Superoxid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과 카페인 함유 드링크 제품의섭취가 마우스 신장조직의 항산화 활성인자인 SOD, CAT hydroperxide, 과산화지질 및 신장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 대조군(A)에 비하여 각각 B, C, D, E, F군은 신장조직에서 크나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신장 질환에 의심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실험과 동일조건하에서 무수카페인 실험군의 간장 조직에서 간세포의 일부손상이 관찰되어서 간장질환에 의심이 간다는 보고도 있다⑸.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M. G. : Korean ginseng.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63 (1994) 

  2. Lee, D. W., Sohn, H. O., Lim, H. B. and Lee, Y. G. : Antioxidant action over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19, 31 (1995) 

  3. Sung, J. H. : Effects of white and red panax ginseng extract on serum lipids leve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igh-fatdiet fed rats. Ph.D.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2005) 

  4. Kim, S. S., Kim, J. D., Kim, H., Shin, M. S., Park, C. K., Park, H. M. and Yang, J. W. : The effects on the blood lipid profiles and body fat by long term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product. J. Ginseng Res. 26, 67-73 (2002) 

  5. Tonychou, M. D. : Wake up and smell the coffee-caffeine, coffee and the medical consequences. West. J. Med. 157, 533-544 (1992) 

  6. Regestein, Q. R. : Pathologic sleepiness induced by caffeine. Am. Med. 588, 425-429 (1981) 

  7. Goldsteine, A., Warren, R. and Kaizer, S. : Psychotropic effects of caffeine I. Individual difference in sensitivity of caffeine-induced wakefulness. J. Pharmacol. Exp. Ther. 419, 156-159 (1965) 

  8. Lee, H. W. : A study on caffeine containing foods and the effect of caffeine in humans. Culinary Research. 6, 343-355 (2000) 

  9. Williams, M. H. : Nutritional ergogenic acids and athletic performance. Nutrition Today. Jan/Feb. 7-14 (1989) 

  10. Ha, J. H., Yeum, C. H., Kim, S. W., Kim, N. H., Choi, K. C. and Lee, J. U. : Enhanced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d nitricoxide system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caffeine in rats. Korean J. Nephrology. 21, 123-128 (2002) 

  11. Fenster, L., Eskenazi, B., Windham, G. C. and Swan, S. H. : Caffeine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and fetal growth. Am. J. Pub. Health. 81, 458-461 (1991) 

  12. Lecos, C. W. and Caffeine, J. : Some safety questions remain. FDA Consumer Dec. p. 22-27 (1987) 

  13. Rothore, N., John, S., Kale, M. and Bhatnagar, D. :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 losproterenol 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 tissues. Phamacological Research. 38, 197-303 (1998) 

  14. Jeon, B. H., Seong, G. S., Sung, J. H. and Chang, C. C. : Antioxidative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on liver of high fat diet-treated mice. J. Ginseng Res. 29, 138-144 (2005) 

  15. Sung, J. H., Chang, C. C. and Chang, Y. S. : The effect of caffeine on the antioxidative of mouse liver. Korean J. Food & Nutr. 17, 442-449 (2004) 

  16. Jung, K. and Henke, W. : Development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in kidney and liver from rat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0, 613-617 (1996) 

  17. Yokozawa, T., Liu, Z. W. and Dong, E. : A study of ginsenoside-Rd in a renal ischemia-reperfusion model., Naphron Basel. 78, 201-206 (1998) 

  18. Deng, H. L. and Zhang, J. T. : Anti-lipid peroxidative effect of ginsenoside $Rb_1\;and\;Rg_1$ , Chin. Med. J. Med. 104, 395-398 (1991) 

  19. Flohe, L. and Otting, F. Superoxide dismutase assays. Methods in Ezymology. 105, 93-105(1984) 

  20. Aebi, H. E. : Catalase.In;Method of enzymatic an analysis. Bergmyer, H. U. erlag. Chemi. Weinheim. 3, 273-286 (1982) 

  21. Wolff, S. P. : Hydrogen peroxide assays. Methodsin Enzymology, 233, 182-186 (1994) 

  22. Ohkawa, H, Ohishi, N. and Yagi, K. :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ytical Biochem. 95, 351-358 (1979) 

  23. Bradford, M. M. :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J. Anal. Biochem. 72, 248-254 (1976) 

  24. Manual of histologic and special staining technology. 2nd ed. 32. Mcgraw-hill book co. New york (1960) 

  25. Schefler, W. C. : Statistics for the biological sciences. Addison-wesley, London (1980) 

  26. Klaus, J. and Wolfgang, H. : Development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in kidney and liver from rat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0, 613-617 (1996) 

  27. Callahan, M. M., Rohovsk, M.W., Robertson, R. S. and Yesair, D. W. :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plasma lipids, lipoproteins, and the development of aortic atherosclerosis inthesus monkeys fed an atherogenic diet. Am. J. Clin. Nutr. 32, 834-548 (1979) 

  28. Thelle, D. S., Arnesen, E. and Forde, O. H. : The tromso heart study. Does coffee raise serum cholesterol? N. Engl. J. Med. 308, 1454-1457 (1983) 

  29. Park, M. L. and Cho, S. Y. :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level and caffeine on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J. Korean Soc. Food Nutr. 23, 561-567 (1994) 

  30. Bei, H. S., Lee, S. K. and Ahn, H. S. : Effect of caffeine on lipid metabolism in the rat fed with different levels of dietary lipids. J. Basic Science, Sung shin women's univ. 4, 1-11 (19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