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소절제 쥐에서 카페인 첨가식이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ariectomized Rat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3, 2008년, pp.216 - 223  

최미자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주영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0.03%의 카페인 함유 식이를 폐경모델인 난소절제쥐에서 6주간 섭취시켜 골밀도와 골무기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1) 체중증가량은 난소절제군이 Sha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각 군내에서 카페인 섭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혈 중 칼슘 농도는 난소절제군내에서 카페인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3) 혈 중 ALP는 Sham군과 난소절제군 모두에서 카페인 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중 Osteocalcin은 Sham 군과 난소절제군, 그리고 각 군내에서 카페인 섭취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요 중 칼슘 및 인의 농도, 요 중 Deoxypyridinoline(DPD)와 crosslinks value는 Sham 군과 난소절제군, 그리고 각 군내에서 카페인 섭취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척추골밀도는 Sham군에 비해 난소절제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난소절제군내에서 카페인 첨가군과 대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대퇴골밀도와 대퇴 골무기질 함량은 Sham군과 난소 절제군 간의 차이는 없었고, 각 군내에서 식이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따라서 카페인 0.03% caffeine 섭취는 난소절제쥐에서 6주간 섭취 시킨 경우 척추와 대퇴골밀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caffeine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ariectomized rats. Twenty eight fe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210\;{\pm}\;5\;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variectomy (OVX) and 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0.03%의 카페인 함유 식이를 폐경 모델인 난소절제 쥐에게 섭취시켜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334 g/kg diet을 첨가하였다. 카페인 첨가량은 선행연구에서 성장기 쥐에서 0.03%의 카페인식이는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하였으므로9)생리상태가 다른 난소절제쥐에서 동량의 카페인 식이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Life Expectancy, Seoul; 2005 

  2. Lee HJ, Lee HO.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1999; 32(2): 197-203 

  3. Lee YS. Micronutrients and osteoporosis. Korean J Osteoprosis 2005; 3: 206-230 

  4. Bukowiecki LJ, Lupien J, Folla N, Jahjah L. Effect of sucrose, caffeine, and cola beverages on obesity, cold resistance, and adipose tissue cellularity. Am J Physiol 1983; 244: R500-R507 

  5. Yoon MH, Lee MJ, Hwang SI, Moon SK, Kim JK, Jeong LH, Yim JR. A evaluation of caffeine contents in commercial foods. J Fd Hyg Safety 2001; 16(4): 295-299 

  6. Lee HW. A study on caffeine containing foods and the effect of caffeine in humans. Kor J Culinary Res 2000; 6(3): 343-355 

  7. Hernandez-Avila M, Colditz GA, Stamter MJ, Rosner B, SpeiZer FE, Willett WC: Caffeine, moderate alcohol intake, and the risk of the hip and forearm in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1991; 54: 157-163 

  8. Lee JS, Hong HO, Yu CH. A study on the effect of caffeine intake on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Nutr 1996; 29(9): 950-957 

  9. Choi MK, Lee YS, Sung CJ. Effects of caffeine intake on calcium utilization in rats of different age and sex. Korean J Nutr 1997; 30(8): 911-919 

  10. Massey KL, Whiting SJ. Caffeine, urinary calcium, calcium metabolism and bone. J Nutr 1993; 123(9): 1161-1164 

  11. Lloyd T, Rollings N, Douglas FE, Keselhorst, VM Chinchilli. Dietary caffeine intake and bone status of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1997; 65: 1826-1830 

  12. Harris SS, Dawson-Hughes B. Caffeine and bone loss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1994; 60: 573-578 

  13. Wink Cs, Rossowska MJ, Nakamoto T. Effects of caffeine on bone cells and bone development in fast-growing rats. Pub Med 1996; 246(1): 30-39 

  14. Ohta M, Check G, Ide K, Cheuk S, Wink CS, Falster AU, Simmons WB, Nakamoto T. Effects of caffeine on the bones of aged, ovariectomized rats. Ann Nutr Metab 1999; 43: 52-59 

  15. Sakamoto W.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bone metabolism. Bone 2001; 28(3): 332-336 

  16. Wronski TJ, Cinton M, Doherty AL, Donn LM. Estrgen treatment prevents osteopenia and depresses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rats. Endocrinol 1988; 123: 681-688 

  17. Williams JP, Jordan SE, Barnes S, Blair HC. Tyrosine Kinase inhibitor effects on avian osteoclastic acid transport. Am J Clin Nutr 1998(6s); 1369-1374 

  18. Ohta M, Cheuk G, Thomos KA, Kamagata-Kiyouraa Y, Winkc CS, Yazdania M, Falsterd AU, Simmonsd WB, Nakamotoa T. Effects of caffeine on bones of aged, ovariectomized rats. Ann Nutr Metab 1999; 43: 52-59 

  19. Nakamoto T, Shaye R. Effects of caffeine on growth of mandible and long bone in protein-energy malnourished newborn rats. Proc Soc Exp Biol Med 1984; 177: 56-61 

  20. Cheung WT, Lee CM, Ng TB. Potentiation of the antilipolytic effect of 2-chloroadenosine after chronic caffeine treatment. Pharmacol 1988; 36: 331-339 

  21. Chung LW, Gleave ME, Hsi JT, Hong SJ, Zhau HE. Reciprocal mesenchymal epithelial interaction affecting prostate tumor growth and hormonal responsiveness. Cancer Survey 1991; 11: 91-121 

  22. Kim MS, Beneficial effect of soy isoflavone on bone loss and hyperlopidemia in ovariectomized rat. Dissertation of Ph. 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23. Choi MJ, Kang YJ. Effect of isoflabones on bone mineral denc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Nutr 2006; 39: 236-243 

  24. Jang HR. The effect of soy isoflabone supplementation on the factors relating to vascular disease in ovariectomized and hyperlipidemic rats. M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25. Mituka BM, Rawnsley HN. Clinical biochemical and hemogtologycal reference value in normal experimental animals and normal humans. 2nd edition, Masson, New York. 1987; p.160 

  26. Kim WY, Choi HK, Lee HS. The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s on calcium and skelectal metabolism in ovariectomised rats of different ages. Korean J Nutr 1998; 31(4): 55-62 

  27. Choi MJ, Jung JW. Effect of soybean protein on BMD and BMC in ovariectomized rats. Korean J Nutr 2005; 38(4): 279-288 

  28. Zapata CLV, Donangelo CM, Woodhouse LR, Abrams SA, Spencer EM, King JC, et al. Calcium homeostasis during pragnancy and lactation in Brazilizn women with low calcium intakes: a longitudinal study. Am J Clin Nutr 2004; 80: 417-422 

  29. Gallagher SK. Biochemiccal makers of bone metabolism as they relate to osteoporosis. Medical Lab Observer 1997; 29: 50-56 

  30. Liu G, Peacock M. Age-related changes in serum undercarboxylated osteocalcin and its relationships with bone density, bone quality, and hip fracture. Calci Tissue Int 1998; 62: 286-289 

  31. Greger JL, Emery SM. Mineral metabolism and bone strength of rats fed coffee and decaffeinated coffee. J Agric Food Chem 1987; 35: 551-556 

  32. Glajchen N. The effect of chronic caffeine administration on serum makers of bone metabolism and bone histomorphometry in the rat. Calcif Tissue Int 1988; 43: 277-280 

  33. Ohta M, Ide K, Cheuk G, Yazdani M, Nakamoto T, Thomas KA. A caffeine diet can alte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ones of young ovariectomised rats. Ann Nutr Metab 2002; 46: 108-113 

  34. Ried IR, Ibbertson HK. Calcium supplements in prevention of steroid- induced osteoporosis. Am J Clin Nutr 1986; 44: 287-290 

  35. Choi MJ, JO HJ. Effect of soy protein and isoflabones on bone mineral denc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growing female rats. Korean J Nutr 2003; 36: 359-3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