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처리 시 Zeta전위 측정에 의한 응집제 주입량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Dosage of Polymer by Zeta potential in the Wastewater Treatment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2 no.1, 2006년, pp.27 - 31  

조준형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 ,  강미란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재생지를 원료로 하여 화장지를 만드는 제지공장의 원폐수를 사용하였으며, 폐수처리의 기초적 전처리 방법으로 zeta potential을 측정 (원성연, 1995 : 이학래등, 1996) 하여 적정 응집제 투입량을 선정하고, 응집제를 투입량에 따른 탁도 (Turbidity), 총고형물 (suspended solids : SS),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 COD)을 측정하여 최적 응집제 투입량을 검토하였다. 또한 응집 침전의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인 floc의 기계적 강도(임호주, 2002)를 측정해 봄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면서 응집효과가 좋은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최적 응집제 투입량에 따른 응집제의 사용량 감소에 의한 실제 공장에서 약품비용의 절감 효과와 폐수처리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 할 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S, COD removal efficiency of wastewater in the toilet paper mill using recycled paper were examined by zeta potential. Optimum dosage of coagulant were determined by turbidity, SS, COD and then equation for treatment efficiency was suggested. Mechanical streng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Floc 형성 시간에 따른 응집제의 투입 농도 선정은 음이온성 PAM은 0.1%, 양이온성 PAM 은 0.07% 로 용해할 경우 floc 형성 시간이 가장 빠르므로, 이를 각 응집제의 적정 용해 농도로 정하였다.
  • 2. 음이온성 PAM 단독 투입 시 투입량이 2.5mg/L와 5mg/L일 때와 양이온성 PAM 단독투입 시 12.5mg/L에서 zeta potential 이 Zero에 가장 가까우며 따라서 이를 적정량으로 선정하였다.
  • Alum과 NaOH를 이용하여 폐수의 pH를 6.0~7.0로 조정(서보인, 2001)하였으며, 폐수 1#에 anionic polymer와 cationic polymer를 단독으로 투입량을 늘리면서 급속교반과 완속교반으로 응집시켜 30분 동안 침전(김해진과 김선화, 2000 : 임택준, 2001)시키며. 상등액의 COD 제거효율과 탁도, zeta potential을 측정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제지 폐수의 기초적 전처리로서 zeta potential을 측정(이학래등, 1996)하여 적정 응집제 투입량을 선정하고, 응집제의 투입량에 따른 Turbidity, SS, COD를 측정하여 최적의 응집제 투입량을 검토하였다. 또한 응집 · 침전의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인 floc의 강도를 측정(임호주, 2002)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면서 응집효과가 좋은 최적 투입량을 검토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제지 폐수의 기초적 전처리로서 zeta potential을 측정(이학래등, 1996)하여 적정 응집제 투입량을 선정하고, 응집제의 투입량에 따른 Turbidity, SS, COD를 측정하여 최적의 응집제 투입량을 검토하였다. 또한 응집 · 침전의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인 floc의 강도를 측정(임호주, 2002)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면서 응집효과가 좋은 최적 투입량을 검토하였다.
  • 0로 조정(서보인, 2001)하였으며, 폐수 1#에 anionic polymer와 cationic polymer를 단독으로 투입량을 늘리면서 급속교반과 완속교반으로 응집시켜 30분 동안 침전(김해진과 김선화, 2000 : 임택준, 2001)시키며. 상등액의 COD 제거효율과 탁도, zeta potential을 측정하였다. 폐수 1#에 일정량의 anionic polymer틀 투입하고 급속교반과 완속교반을 시켜 응집이 일어나면, cationic polymer의 양을 증가시켜 투입하여 급속교반, 완속교반을 행하였다.
  • 응집제 투입으로 floc이 형성된 후 30분의 침전시간이 경과 후 상등액의 탁도를 측정한다. 이후 형성된 floc을 500rpm에서 30초간 파괴하고 다시 30분간 floc을 침전시킨 후 상등액의 탁도를 재 측정하여 비교하였다(임호주, 2002 : 임택준, 2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