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설재배지 유공관 암거배수에 의한 염류집적 경감효과
Effect of Perforated PVC Underdrainage Pipe on Desalting of Plastic Film House Soil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39 no.2, 2006년, pp.65 - 72  

김대수 (양평군농업기술센터) ,  양재의 (강원대학교 자원생물환경학과) ,  옥용식 (강원대학교 자원생물환경학과) ,  유경열 (강원대학교 자원생물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지는 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시비량이 많아 토양의 염류집적이 우려되고 EC가 높아지는 경우 양분과 수분의 흡수가 저해되며 일부 양분은 비유효태로 존재하게 되어 작물에 의한 영양소의 흡수가 저해된다. 본 연구는 연작으로 인하여 염류집적이 발생한 시설하우스 토양을 대상으로 50 cm 깊이에 PVC 유공배수관 (${\phi}10cm$)을 암거배수로 설치함으로써 토양염류를 적정수준으로 제어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양의 염류제거 효과를 pH, EC, 양이온 등의 화학성 변화와 작물생육에 근거하여 판정하였다.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 후 2년 동안 토양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EC는 무처리구에서 $3.86-4.53dS\;m^{-1}$이었으나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구에서는 $1.42-2.88dS\;m^{-1}$을 나타내어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가 토양의 EC를 약 2배까지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유공 암거배수관 처리구 및 무처리구의 pH는 각각 pH 6.9-7.3 및 pH 7.2-7.5로 나타나 처리구가 다소 낮았으나 시설하우스 토양의 pH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토양의 pH와 양이온치환용량 사이에는 $CEC=17.107{\times}pH-106.2$ ($r^2=0.759^{**}$)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추/상추/쑥갓을 재배한 후 토양의 EC를 깊이별로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0-10, 11-20, 21-30, 31-40, 41-50 cm 깊이에서 각각 3.45, 3.47, 3.03, 2.93, $2.28dS\;m^{-1}$로 나타나 심층으로 갈수록 EC가 낮아졌으나 유공 암거배수관을 설치한 처리구에서는 2.43 2.52, 2.28. 4.00, $4.23dS\;m^{-1}$로 심층으로 갈수록 EC가 증가하였다. 이는 유공관 설치 시 염류가 집적된 표층과 비교적 염류농도가 낮은 심층의 토양이 상호 혼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토양깊이별 치환성 양이온의 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표층에 존재하는 함량에 대한 비율로 보면 Mg > Ca > K 순으로 하양이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에 대한 작물 재배시험에서 상추를 정식하고 15일 후 생존율은 98.2%로 나타나 무처리구의 86.6%에 비해 생존율이 11,4%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추의 생육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줄기의 지제부직경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는 12.9 mm이었으나 유공 암거배수관 처리구의 경우 13.7 mm로 증가하여 직물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류가 집적된 시설재배지 토양의 심토에 암거배수관을 설치할 경우 표토의 집적된 염류를 지하부위로 용탈시켜 토양의 EC를 낮춰주고 작물의 생육과 수량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remove the accumulated salts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s by installing the perforated PVC (${\phi}10cm$) underdrainage pipes at 50 cm depth of soils with cultivating vegetables. Efficiency of the underdrainage pipes was assessed based on the changes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염류집적이 문제시되는 시설재배지에 유공관 암거배수를 설치함으로써 토양에 과량 존재하는 염류성분을 작토층으로부터 배수시킬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여 토양에 집적된 염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시설재배지는 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시비량이 많아 토양의 염류집적이 우려되고 EC가 높아지는 경우 양분과 수분의 흡수가 저해되며 일부 양분은 비유효태로 존재하게 되어 작물에 의한 영양소의 흡수가 저해된다. 본 연구는 연작으로 인하여 염류집적이 발생한 시설하우스 토양을 대상으로 50 cm 깊이에 PVC 유공배수관 (ɸ10 cm)을 암거배수로 설치함으로써 토양염류를 적정수준으로 제어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양의 염류제거 효과를 pH, EC, 양이온 등의 화학성 변화와 작물생육에 근거하여 판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S.H. 2000. Soil testing for available phosphorou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saturated extract of the green house soils.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1-44 

  2. Choi, W.Y. 1997. Development of absorbent-microbe mixture for desalination of green house soils. MOA, Gwacheon, Korea. p.1-105 

  3. Ha, H.S., M.S. Yang, H. Lee, Y. B. Lee, B. K. Sohn, and U. G. Kang. 1997.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lant mineral contents in plastic film house in southern part of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0:272-279 

  4. Hur, B.L., and Y.S. Song. 1995. Salt accumulation and amendment counterplan of soil under economic crop cultivation. Proceeding of Symposium on th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p.44-63 

  5. Jung, Y.S., J.H. Joo, S.D. Hong, I.B. Lee, and H.M. Ro. 2001. Discussion on dilution factor for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d by saturation-paste and 1 : 5 soil to water extract, and CEC of Korean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34:71-75 

  6. Kang, B.G., I.M. Jeong, K.B. Min, and J.J. Kim. 1996. Effect of salt accumulation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lettuce(Lactuca Sativa, L.). Korean J. Soil Sci. Fert. 29:360-364 

  7. Kim, D.S. 2004. Effects of the perforated underdrainage pipe installment on the salt removal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1-28 

  8. Kim, J.H., J.S. Lee, W.L Kim, G.B. Jung, S.G. Yun, Y.T. Jung, and S.K. Kwun. 2002. Groundwater and soil environment of plastic film house fields around central part of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21:109-116 

  9. Kim, P.J., D.Y. Chung, and D.K. Lee. 1997. Effects of soil bulk density o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solute elution patterns. Korean J. Soil Sci. Fert. 30:234-241 

  10. Kwak, H.K., K.S. Seong, N.J. Lee, S.B. Lee, M.S. Han, and K.A. Roh. 2003.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fauna of plastic film house soil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mposted pig manure. Korean J. Soil Sci. Fert. 36:304-310 

  11. Lim, S.K., C.Y. Chung, Y.S. Ok, and J.G. Kim. 2002. Competitive adsorption of Cd and Cu on surface of humic acid extracted from peat. Korean J. Soil Sci. Fert. 35:344-351 

  12. Mansel, R.S., J.G.A Fiskell, D.V. Calvert, and J.S. Rogers. 1986. Distribution of labelled nitrogen in the profile of a fertilized sandy soil. Soil Sci. 141:120-126 

  13. McLaren, R.G., and K.C., Cameron. 1996. Soil science: sustainable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Auckland, New Zealand. p.178-285 

  14. NIAST. 1988.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5. Ok, Y.S., Y.S. Choi, S.E. Lee, S.K. Lim, N.H. Chung, and J.G. Kim. 2001. Effects of soil components and index ion on the surf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some Korean arable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34:237-244 

  16. Ok, Y.S., S.Lim, and J.G. Kim. 2002.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Life Sci. Nat. Resour. Res. 10:69-84 

  17. Ok, Y.S., J.E. Yang, K.Y. Yoo, Y.B. Kim, D.Y. Chung, and Y.H. Park. 2005. Screening of adsorbent to reduce salt concentr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 under continuous cultivation. Korean J. Environ. Agric. 24:253-260 

  18. Park. C.G., Y.S. An, J.S. Yang, and C.S. Kang. 1998. Soil chemical properties under plastic film house of Kyunggi districts. Kyunggi Agriculture Research 9:169-176 

  19. Pierzynski, G.M., J.T. Sims, and J.F. Vance. 2000. Soil and environmental quality. CRC Press, Florida, USA. p.1-418 

  20. Song, Y.S., H.K. Kwak, B.L. Huh, and S.E. Lee. 1996. Use efficiency of nitrate nitrogen accumulated in plastic film house soils under continuous vegetable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29:347-352 

  21. Tanji, J. 1990. Agricultural salin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ASCE. p.487 

  22. Yang, J.E., D.Y. Chung, J.G. Kim, and J.B. Chung. 2001. Soil contamination and agriculture environment. p.82-125: In Yang, J. E. and Lee, G. S. (ed.) Agriculture environment.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23. Yang, J.E., C.J. Park, Y.S. Ok, K.Y. Yoo, and K.H. Kim. 2005. Fate of nitrogen and phosphorous in hydroponic waste solution applied to the upland soils. Korean J. Environ. Agric. 24:132-13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