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가계의 재무관리 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통합재무관리와 개별재무관리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inancial Management Practice of Dual-Income Families - Focusing on Integrated and Individual Financial Management -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6 = no.220, 2006년, pp.129 - 140  

정주원 (동국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박명희 (동국대학교 가정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arious financial management systems practiced by modem dual-income families were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6 people, 3 practicing integrated financial management and 3 practicing individual financial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면접대상자로부터 맞벌이 가계의 통합재무 관리와 개별재무관리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본연구에서의 가계재무관리 유형은 맞벌이 가계가 두 소득원을 합쳐서 일인이 관리하는지, 두 소득을 합치지 않고 각자 개별 관리하는지를 기준으로 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반적인 재무관리 유형인 통합재무관리를 취하는 가계와 새로운 유형으로 나타나고 或는 개별재무관리를 취하는 가계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통합재무관리와 개별재무관리를 취하고 있는 맞벌이 가계의 구조적 배경이 무엇이며, 그러한 재무관리 행동을 취하게 되는 개인적인 측면에서의 맞벌이 이유와 가치 성향은 어떠한지 아울러 각 가계의 재무적인 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통합재무관리와 개별 재무관리를 행하는 가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질적인 면접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는 맞벌이 가계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깊이 있는 탐색 자료가 될 것으로 변화하는 현대 가계의 실질적인 배경과 재무관리행동을 파악하는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이다.
  • 개별재무관리는 서로의 소득과 지출에 간섭을 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각자 관리를 하는 유형이다. 심층면접결과 각 재무관리 유형을 취하고 있는 가계에서 구조적인 측면과 개인적 측면 그리고 가계재무적인 측면에서 대별되는 특징들이 나타났는데, 우선 통합재무 관리와 개별재무 관리를 취하고 있는 가계들에서 나타나는 결과를 먼저 알아본 후 이들의 결과를 통해 두 재무관리가계의 특징을 비교 논의해 보고자 한다.
  • 그러나 지금까지의 맞벌이 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맞벌이 가계와 홑벌이 가계의 차이점 즉 맞벌이 가계의 생활시간 및 가사노동 분석, 부부갈등과 결혼 만족도 및 소비구조의 변화 등과 같은 여성의 취업으로 나타나는 생활양식의 변화 및 추가되는 화폐소득으로 증가되는 가계의 구매력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맞벌이 , 가계재무유형에 관한 연구는 양적인 연구가 주를 이룸으로서 보다 깊이 있는 가계 재무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고정자, 1994; 김명자, 1981; 김순미, 1993; 김정훈, 1995; 이무영, 이정우, 199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반적인 재무관리 유형인 통합재무관리를 취하는 가계와 새로운 유형으로 나타나고 或는 개별재무관리를 취하는 가계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재무관리와 개별재무관리를 취하고 있는 맞벌이 가계의 구조적 배경이 무엇이며, 그러한 재무관리 행동을 취하게 되는 개인적인 측면에서의 맞벌이 이유와 가치 성향은 어떠한지 아울러 각 가계의 재무적인 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통합재무관리와 개별 재무관리를 행하는 가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이는 면접대상자가 현 시점에서 연구의 주제가 되는 문화상황에 많이 익숙해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면접대상자는 면접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면접이 일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2-3회에 걸쳐 30분 내지 1시간 정도의 시간을 요하기 때문이다.
  • "경제적으로 하도 힘이 들어 일 다시 시작했죠. 아무리 절약하고 살아도 남편 월급만으로 살기 힘들더 라고. 애들 교육비어L 집 장만에 나중에 밥이라도 먹고 살려면 한 사람 벌이로는 힘든 세상이잖아요.
  • 일 때문에 결혼도 늦게 했는데요. 저는 결혼보다 일이 먼저예요. 돈은 그리 신경 안 써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경향신문(1996. 4. 29). '맞벌이 부부 46% 수입공동관리' 

  2. 고정자(1994). 맞벌이 부부가족의 가족자원, 스트레스, 인지 수준 및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4), 97-116 

  3. 김명자(1981). 주부의 직업유무에 따른 가정내 역할수행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3), 69-82 

  4. 김순미(1993). 도시가계의 재정상태, 재무관리 및 재정적 만족의 관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195-207 

  5. 김정훈(1995). 부부사이의 재정의사소통과 재정만족도; 의사소통 유형과 수준에 따라. 소비자학연구, 6(2), 1-14 

  6. 김정훈(1996). 재정관리 유형과 직업유형에 따른 맞벌이 주부의 재정의사소통과 재정 권력 인지. 대한가정학회지, 34(6), 275-285 

  7. 김정훈(1997). 맞벌이 주부의 취업선호 인식과 가계관리권 유형에 따른 가계재정 의사소통과 재정권력 평등도 인지. 한국생활과학회지, 6(1), 29-39 

  8. 매일경제(2005. 12. 27). '2005년 가족형태, 주말부부. 기러기 늘어 1인 가구 급증' 

  9. 문소정(1995).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가족과 경제생활. 여성한국사회연구소편, 사회문화연구소 

  10. 변화순, 백경희, 김현주(2001). 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역할 및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1. 서병숙, 임정빈(1981). 도시와 농촌주부의 가정경제관리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기정학회지, 19(2), 89-106 

  12. 연합뉴스(2006. 4. 4). '직장인 91.3% 맞벌이 찬성' 

  13. 윤정혜, 이기춘, 성영애(2005). 가계경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4. 이무영, 이정우(1995). 도시주부의 가정관리 행동유형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리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3(4), 11-24 

  15. 이연숙, 이순형, 유가효, 조재순(1991). 맞벌이 가정의 생활실태와 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 연구공모과제 

  16. 한국노동연구원(2005).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 맞벌이 부부의 소득. 노동부 

  17. 한국여성개발원(2004). 성 및 혼인상태별 경제활동 인구. www.kwdi.re.kr 

  18. 허경옥(2003). 주말부부 가계와 비주말부부 가계의 객관적 주관적 경제구조 분석 및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201-212 

  19. Spradle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