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를 위한 상담활용 부모교육(CUPEM)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CUPEM)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4 no.7 = no.221, 2006년, pp.53 - 62  

김진이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정문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CUPEM). CUPEM was developed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Solution-Focused Therapy, Satir's Experiential Family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he s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육이론인 발달에 적합한 실제와 가족상담이론인 해결중심 치료, 사티어의 성장모델, 그리고 인지행동 치료를 토대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한 어머니가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조사해보는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어머니를 위한 상담활용 부모교육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CUPEM)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모 유능감을 향상시키며 결과적으로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지지적인 행동을 하도록 돕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며, 이차적인 목적으로는 CUPEM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육이론인 발달에 적합한 실제와 가족상담이론인 해결중심 치료, 사티어의 성장모델, 그리고 인지행동 치료를 토대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한 어머니가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조사해보는데 있다.
  • 각 회기의 마무리 부분에서는 해결중심 치료기법인 개인과 전체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당일 활동을 통해서 참여 어머니들이 보여준 구체적인 행동을 근거로 격려를 하여 부모역할에 자신감을 심어주며, 학습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주어 지속적인 변화의 동기를 부여하였다. 또한 과제로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 접근으로 자녀와 특별한 시간 갖기' 가 있는데 부모는 그 시간에 자녀와 무엇을 했는지, 자신이 배운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그 특별한 시간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그리고 질문이 있다면 어떤 질문이 있는지에 관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 양육 스트레스, 부모 유능감, 그리고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행동 변인들을 검사의 시기별로 교육집단과 비교집단을 비교해 보고 교육집단 어머니의 해석학적 관점에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프로II램은 어머니의 부모역할을 지원하기 위하여 양육 스트레스 감소, 부모 유능감 증진, 어머니의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이 종결된 직후 실시한 교육집단과 비교집단 어머니의 사후검사의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 기초하였다. 이 프로그램들은 가족상담 모델인 해결중심치료와 Satir의 성장모델 그리고 인지행동 치료에 기초하여 부모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프로그램의 기본 틀인 상담적 접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참여한 어머니의 욕구를 반영한 유아교육적 접근을 포함하여 발전 시 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권연희(2002).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3. 김희진(2000). 저소득 지역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삼성복지재단 제9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163-195 

  4. 서혜영(1992).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유우영, 최진아, 이 숙(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51-61 

  6. 정문자, 김은영(2005). 이혼 부모와 자녀의 건강한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 모형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3(3), 161-183 

  7. 정문자, 김진이, 이현주(2005). 이혼 가정의 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의 효과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6), 145-169 

  8. Bogenschreider, K., Small, S., & Tsay, J. (1997). Child, parent,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among par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345-362 

  9. Cervero, R. M., & Kirkpatrick, R. E. (1990). The enduring effects of pre-adult factors on participation in adult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99, 77-94 

  10.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11. Doherty, W. J. (1995). Boundaries between parent and family education and family therapy: The levels of family involvement model. Family Ralations, 44, 353-358 

  12. Driessen, G. W. J. M. (2003). Family and child characteristics child-rearing factors, and cognitive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3(2), 323-339 

  13. First, J. A., & Way, W. L. (1995). Parent education outcomes: Insights into transformative learning. Family Relations, 44, 104-109 

  14. Gibaud-Wallston, J.,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15. Johns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16. Leseman, P., & van den Boom, D. (1999). Effects of quantity and quality of home proximal processes on Dutch, Surinameses-Dutch, and TurkishDutch preschoolers's cognitive development. Inftmts and Child Development, 8, 19-38 

  17. Mahoney, G., & Robinson, C. (1992). Focusing on parent-child interaction: The bridge to developmentally approriate practic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2(1), 105-121 

  18. Sanders, M. R. (1999).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Towards and empirically validated multilevel parenting and family support strategy for the prevetion of behavior and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2(2), 71-90 

  19. Vig, S., & Kaminer, R. (2003).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evaluation as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16(4), 342-353 

  20. Weinfield, N. S., Ogawa, J. R., & Egeland, B. (2002). Predictability of observed mother-child interaction form preschool to middle childhood in a high-risk sample. Child Development, 73(2), 528-5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