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버타운의 사례(事例)를 통한 공용공간구성요소(公用空間構成要素)와 면적(面積)에 관한(關限) 연구(硏究) - 고층형 수도권 시설의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in Public Areas of Silver Tow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7 no.2, 2006년, pp.151 - 158  

최웅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상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cal technology being developed,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brings about many changes in financial standard, consciousness and lifestyle. And the increase of a nuclear family and a professional woman makes their family not to be able to support them anymore. Because aged people also d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령연령층이 거주하는 공간의 계획을 주로 취급하므로, 우선적으로 우리나라 노인이 당면한 복지시설의 현실을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학술논문, 및 관련서적을 통하여 실버타운의 개념과 현재 우리의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을 이해하며, 주aUNITS와 관리영역을 제외한 공용공간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고층형 실버타운 중 비교적 입주율이 안정적인 성공된 사례들을5)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정하여 각 시설들의 전체적인 개요를 이해하고 공용공간의 구성형태와각 소요공간의 면적에 관하여 Cad 도면과 현장 답사를 통하여 분석6)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주거 복지시설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디자인 개념 및 원리를 토대로 수도권에 있는 활성화된 국내의 시설들의 공용공간을 분석 . 비교하여 시설을 계획할 때 소요공간의 구성요소 및 규모선정에 이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의 실정은 모든 면에서 과도기적인 상황에 놓여있다.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도움이 되고자 활성화 되어 있는 국내시설들의 내부공간의 구성(공용공간을 위주로)을 비교분석하여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계획방향을 설정하는데 참고자료가 되고자 한다.
  • 국내의 시설들의 공용공간을 분석 . 비교하여 시설을 계획할 때 소요공간의 구성요소 및 규모선정에 이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서기영(2001. 12), 이진혁, 류지애, 유료노인시설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 AIA(l996), Design for Aging, AIA Press 

  3. 박차상 외(2005), 한국 노인복지론, 학지사 

  4. 이인수 외(2004), 21세기 국내외 노인복지와 실버산업, 대왕사 

  5. 엄기욱(2005), 환황해권 국가의 노인복지정책, 선인 

  6. 오영근 외 (1998), 노인주거시설연구, (주)우원디자인 리서치 

  7. 보건복지부, 노인복지법 제31조 

  8. 보건복지부, 2005 노인복지현황 

  9. 이종협.강건희(2000.12), 유료양로시설의 공간 및 서비스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호 

  10. 소준영(1998), 노인 종합복지관 건축의 공간구성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박사논문 

  11. 박희진.양세화.오찬옥(2003.2), 노인시설의 단위주거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6호, pp.44-51 

  12. 권순정(2002.10), 노인 요양시설의 위계적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4호, pp.96-105 

  13. James T. Mathieu(l976), Housing Preferences and Satisfactions, Community Planning for an Aging Society, DH&R, p159 

  14. D. K. Harris, W. E. Cole 공저(1985), 최선덕 역, 노년사회학Society of Aging, 경문사, p. 3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