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와 승검초의 기능성 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2 no.6 = no.96, 2006년, pp.957 - 965  

정선우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향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sability of Dangui (Angelica gigas Nakai, Root) and Seungumcho (Angelica gigas Nakai, Leaf) as functional food in aspects of their function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 showed that Dangui contains more mo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귀와 승검초의 식이섬유소와 항산화 영양성분 등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수용성 획분과 메탄올 가용성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여 산업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식용식물자원 중의 하나인 당귀와 승검초의 식품소재로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식이섬유소와 항산화 영양성분 등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수용성 획분과 메탄올 가용성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2) In each cloumn, different alphabets in superscrip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대곤, 손동화, 최웅규, 조영석, 김수민. 2002. 복령 균사체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6):1097-1101 

  2. 김동수, 김선봉, 안병원, 염동민, 이동호. 1987.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생성인자 분해작용: 2. 해조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한국수산학회지 20(5):469 

  3. 김동수, 안방원, 염동민, 이동호, 김선봉. 1987.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생성인자 분해작용: 1. 야채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한국수산학회지, 20(5):463 

  4. 김지민, 김대진. 2004. 쌈샐러드 채소류의 일반성분과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5):852-856 

  5. 김진구, 차원섭, 박준희, 오상룡, 천성호, 정신교. 1997. 천마의 무기성분 및 항산화 작용에 관한연구.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4(3):317-321 

  6. 김호경. 1993. 진피 쿠마린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7.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서울대학교 출판부 

  8. 류태형. 1985. 영양과 암의 관계.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4:305 

  9. 문지숙, 김선재, 박윤미, 황인식, 김의형, 박정육, 박인배, 김상욱, 강성국, 박양균, 정순택. 2004.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함량.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1(2):207-213 

  10. 박찬성, 권충정, 최미애, 박금순, 최경호. 2002. 동충하초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1):109-113 

  11. 송주택. 1989. 식물대도감, 일흥. 서울 

  12. 농촌진흥청. 식품성분표. 2001. 제6개정판 제II편, 농촌진흥청 농촌생활 연구소 

  13. 승정자. 1995. 식이섬유의 생리활성과 이용. 식품과학과 산업 28:2-23 

  14. 여생규, 염동민, 이동호, 안철우, 김선봉, 박영호. 1994. 녹차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 287-292 

  15. 오상룡, 김성수, 민병용, 정동효. 1990. 구기자, 당귀, 오미자, 오갈피 추출물의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타닌의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2(1):76-81 

  16. 이경숙, 이서래. 1993.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식이섬유 함량의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5(3):225-231 

  17. 이성현, 박흥주, 조수묵. 2004. 식이섬유의 정량 및 기능성 분석, 한국작물학회지23-30 

  18. 이소라, 김건희. 2001. 국내산 참당귀를 이용한 다식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7(5):421-425 

  19. 이정민, 안명수. 1997. 각종 차성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5):567-572 

  20. 이정희, 이서래. 1994. 국내산 식물성 식품 중 페놀성 물질의 함량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6(3):310-316 

  21. 임진아, 나영순, 백승화. 2004. 대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36(2): 306-310 

  22. 정소영, 김낙경, 윤 선. 1999. 녹즙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2):342-347 

  23. 주현규, 조규성. 1995. 식품분석법. 학문사 

  24. 최종부. 1990. 약제용 당귀 추출액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5. 허수진, 양미옥, 조은자. 2001. 미나리과 산채의 성분분석 및 육가공품에 대한 항산화 효과. 한국조리과학회지 17(5) 

  26. 홍근택, 이용림, 임무현, 정낙현. 2004.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1(1):94-99 

  27. 황선희, 김정인, 승정자. 1996. 채소류, 버섯류, 과일류 및 해조류 식품의 식이섬유 함량. 한국영양학회지 29(1):89-96 

  28. Antonia H, Juan FB. Rafael G. 1990. Cellulase inhibition by polyphenols and olive fruits. Food Chem 38:69 

  29.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fical chemists. Washington, D.C 

  30. Bartsh H, Ohshima H, Pignatell B. 1988. Inhibition of endogenous nitrosation: Mechanism and implications in human cancer prevention. Mut Res. 202:307-324 

  31. Cooney RV, Ross PD. 1987. N-nitroation and N-nitration of morphpline by nitrogen dioxide in aqueous solution: Effect of vanillin and related phenols. J Agric Food Chem. 35:789 

  32. Cuvelier ME, Richard H, Berset C. 1992.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acid-phenols: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Biosci Biotech Biochem 56:324 

  33.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981-984 

  34.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 Chem 51:1333-1338 

  35. Kim DS, Ahn BW, Yeum DM, Lee DH, Kim SB,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1.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0:463-468 

  36. Kumar R, Singh M. 1984. Tannins: Their adverse role in ruminant nutrition J Agric Food Chem 32:447 

  37. Leaf CD, Vecchio AJ, Roe DA, Hotchkiss JH. 1987. Influence of ascorbic acid dose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humans. Carcinogenesis 8:791-795 

  38.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1993.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NY. 3240-3249 

  39. Mirvish SS. 1970. Kinetics of dimethylamine nitrosation in relation to nitrosamine carcinogenesis. J Nat Cancer Inst. 44:633 

  40. Mirvish SS. 1975. Formation of N-mitroso compounds: Chemistry, kinetics, and in vivo occurrence. Toxicol Appl Pharmacol 31:325-351 

  41. Pignatell B, Scriban R, Descotes G, Bartsch H. 1984. Modifying effect of polyphenols and otherconituents of beer on the formation of N-nitroso compounds. J Am Soc Brew Chem. 42: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