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파 추출물의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3 no.6, 2006년, pp.762 - 768  

손미예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석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 추출물의 식품첨가소재로써 그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파의 종류(붉은색, 흰색, 황색)와 추출용매(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열수)에 따른 주요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총 유기산과 총 유리당은 각각 건물당 $135.4{\sim}1,255.7mg%$$51.7{\sim}62.9%$ 범위였으며, 각 양파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열수 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다.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3{\sim}$13.3%$159.8{\sim}584.1mg%$ 범위였으며, 각 용매별 붉은색 양파의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낮은 pH 범위와 추출물 농도의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는데, pH 1.2에서 붉은색 양파의 에탄을 및 열수 추출물 10 mg/mL 첨가는 약 55% 정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양파의 추출물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따라서 붉은 양파 추출물은 낮은 pH조건에서 아질산염을 소거하여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식품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utilization of onions extract as natural food additives, ethyl acetate,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 of freeze dried onions (red, white and yellow) were exmined for their chemical compone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Contents of total organic acid and total free sugar were in the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으로 조절하여 반응용액의 최종 부피를 10 mL로 한다. 그 다음에 37℃에서 1시간 반응시켜서 얻은 반응용액을 각각 1 mL씩 취하여 2% 초산 용액 5 mL, Griess시 약 0.4 mL (30% 초산으로 각각 조제한 1% sulfunilic acid와 1% naphthylamine 1 : 1 비율로 혼합한 것, 사용 직전에 조저])를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5분간 방치시킨 후 분광 광도계 (CE2021, CECIL, England)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의 양을 구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 0.
  • 동결 건조한 세 가지 품종의 양파 100 g씩에 각각 용매를 20배 (w/w)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씩 3번 추출한 다음, 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한 후 중량법으로 추출 수율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흰색, 노란색 및 붉은색 양파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별 및 품종별의 양파에 함유되어 있는 각 용매별 의 추출 고형분, 유기산, 유리당,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 드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양파 추출물의 pH에 따른 아질산 염 소거능 효과를 측정하였다.
  • 양파 추출물의 식품첨가소재로써 그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파의 종류(붉은색, 흰색, 황색)와 추출용매(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열수)에 따른 주요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총 유기산과 총 유리당은 각각 건물당 135.
  • 유기산의 분석은 양파추출물 0.25 g에 증류수 50 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 분리 (8, 000 rpm, 10 min)하여 얻은 상징액 중 일부를 0.45 iim membrane filter와 Sep-pak Cis cartridge에 차례로 통과시킨 후 HPLC (Shimadzu LC10A, Japan)로 분석하였다(18).
  • 4 mL (30% 초산으로 각각 조제한 1% sulfunilic acid와 1% naphthylamine 1 : 1 비율로 혼합한 것, 사용 직전에 조저])를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5분간 방치시킨 후 분광 광도계 (CE2021, CECIL, England)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의 양을 구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 0.4 mL을 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양파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아질산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75 mL을 혼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곡선 은 quercetin (Sigma Co., USA)의 농도를 0~0.5 mg범위 가 되도록 제조하였으며, 검량선으로부터 시료 추출물의 플라 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20).
  • 유리당은 Choi 등(18)의 방법에 준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즉 양파추출물 1 g을 정확히 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증류수를 30 mL 가하여 혼합시킨 다음 20분간 원심 분리 한 후 그 상징액에 증류수를 가하여 50 mL로 만들었다 그리고 Sep-pak Cis cartridge0]] 통과시킨 후 HPLC (Shimadzu LC10A, Japan)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에 사용된 양파(A"iwn cepa L.)는 붉은색, 흰색, 황색의 3 가지를 시장에서 구입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수세. 탈피 및 탈수과정을 거쳐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는 동안에는 -2(TC에서 보관하였다.

이론/모형

  • 양파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Kato 등(21)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mM NaNCh용액 1 mL에 각 농도별 양파추출물을 첨가하고, 여기에 0.
  • 유리당은 Choi 등(18)의 방법에 준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즉 양파추출물 1 g을 정확히 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증류수를 30 mL 가하여 혼합시킨 다음 20분간 원심 분리 한 후 그 상징액에 증류수를 가하여 50 mL로 만들었다 그리고 Sep-pak Cis cartridge0]] 통과시킨 후 HPLC (Shimadzu LC10A, Japan)로 분석하였다.
  • 총 페놀성 화합물의 분석은 Folin-Ciocalteau 방법으로 이용하였다(19). 즉 10 mL의 시험관에 양파추출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Park, P.S., Lee, B.R. and Lee, M.Y. (1991) Effects of onion diet on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of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0, 121-125 

  2. Lee, C.Y. and Park, Y.K. (1996) Identification of isorhanmetin-4'-glucoside in onions. J. Agric. Food. Chem., 44, 34-36 

  3. Lee, Y.K. and Lee, H.S. (1990) Effect of on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Food Sci. Nutr., 19, 321-329 

  4. Park, P.S., Lee, R. and Lee, M.Y., (1991) Effect on onion diet in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of rats. J. Korean Food Sci. Nutr., 20, 121-125 

  5. Sheo, H.J. and Jung, D.L. (1993) Effects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2, 138-143 

  6. Rhim, J.S. (1993) Onion and Health. International Culture Publishing Co., Korea. p.35-45 

  7. Kim, J.H. (1997) Antibacterial action of onion(Allium cepa L.)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Thesis for doctor's degree. Japan University 

  8. Sheela, C.G., Kumud, K. and Augusti, K.T. (1995) Antidiabetic effects of onion and garlic sulfoxide amino acids in rats. Planta Med., 61, 356-357 

  9. Sheo, H.J. and Jung, D.L. (1997) The effects of onion juice on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6, 1164-1172 

  10. Park, P.S., Lee, B.R. and Lee, M.Y. (1994) Effects of onion juice o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3, 750-756 

  11. Bilyk, A., Cooper, P.I. and Sapers, G.M. (1984) Varietal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in onion(Allium cepa L.) tissue. J. Agric. Food Chem., 32, 274-280 

  12.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Ed. Agric., 26, 1761-1770 

  13. Challis, B.C. and Challis, J.A (1982) In the chemistry of amino, nitroso and nitroso-compounds and their derivatives. Wiley lnter Science, New York, USA p.1151 

  14. Rhodes, M.J.C. and Price, K.R. (1996) Analytical problems in the study of flavonoid compounds in onion. Food Chem., 57, 113-117 

  15. Leighton, T., Ginther, C., Fluss, L., Harter, W.K., Cansado, J. and Nortario, V. (199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in allium vegetables,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l, ACS, Washington, D.C., p.221-229 

  16. Hertog, M.G., Feskens, E.J., Hollman, P.C., Katan, M.B. and Kromhout, D.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17. Koo, H.M. and Suhaila, M. (2001) Flavonoid(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18. Choi, J.H., Jang. J.K., Park, G.D., Park, M.H. and O, S.G. (1981) Optimization of a quantitative HPL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5 

  19. Singleton, V.L. and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erican J. Encology Viticulture, 16, 144-158 

  20.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127-130 

  21. Kato, H, Lee, I.E., Chyen, N., Kim, S.B. and Hayase, F. (1987) U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2. Ra, K.S., Chung, S.H., Suh, H.J., Son, J.Y. and Lee, H.K. (1998) Inhibitor of xanthine oxidase by flavonol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97-701 

  23. Ra, K.S., Suh, H.J., Chung, S.H. and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24. Horiuchi, J.I., Tada, K., Kobayashi, M., Kanno, T. and Ebie, K. (2004) Biological approach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worthless onions - vinegar production and composting.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40, 97-109 

  25. Han, D.S. (2000) Development of deodorized onion beverag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Report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public of Korea, p.8-13 

  26. Kwon, J.H., Byun., M.W. and Cho, H.O. (1987) Quality evaluation of ground garlic and onions treated with chemical fumigants and ionizing 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07-112 

  27. Suh, H.J., Chung, S.H., Son, J.Y., Son H.S., Cho, W.D. and Ma, S.J. (1996) Preparation of onion hydrolysates with enzyme. J. Kor. Soc. Food Sci. Nutr., 25, 786-790 

  28. Kee, H.J. and Park, Y.K. (2000)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extruded snack using onion pomace and on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79-984 

  29. Dhumal, K., Datir, S. and Pandey, Raj. (2007) Assessment of bulb pungency level in different Indian cultivars of onion (Allium cepa L.). Food Chemistry, 100, 1328-1330 

  30. Kee, H.J. and Park, Y.K. (2000) Effects of antibrowning agents on the quality and browning of dried on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79-984 

  31. Byun, M.W., Kwon, J.H. and Cho, H.O. (1984) Sterilization and storage of onion powder by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7-50 

  32. Jang, J.G. and Hang, J.Y.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33. Ghiselli, A., Nardini, M., Baldi, A. and Scaccini, C.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phenolic fractions separated from an Italian red mine. J. Agric. Food Chem., 46, 361-367 

  34. Cha, J.Y. and Jo, Y.S. (2001) Biological activity of flavonoids in citr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22-128 

  35. Gag, H.J., Kwon, Y.J., Jeon, P.H and Kim, H.G. (2000) Antioxidant and biological activity of onion MeOH extracts. J. Korean Food Sci. Nutr., 29, 349-355 

  36. Lin, J.Y. and Tang, L.Y. (2007)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their stimulatory effects on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Food Chemistry, 101, 140-147 

  37. Nuutila, A.M., Puupponen-Pimia, R., Aarni, M. and Oksman-Caldentey, K.M. (200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onion and garlic extracts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istry, 81, 485-493 

  38. Prakash. D., Singh. B.N. and Upadhyay, G. (2006)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s from onion (Allium cepa). Food Chemistry, 99, Available on line, In press 

  39. Lombard, K., Peffley, E., Geoffriau, E., Thompson, L. and Herring, A. (2005) Quercetin in onion (Allium cepa L.) after heat-treatment simulating home preparation. J. Food Composition Analysis, 18, 571-581 

  40. Thompson, L., Morris, J., Peffley, E., Green, C., Pare, P., Tissue, D. Jasoni, R., Hutson, J., Wehner, B. and Kane, C. (2005) Flavonol content and composition of spring onions grown hydroponically or in potting soil. J. Food Composition Analysis, 18, 635-645 

  41. Wach, A., Pyrzynska, K. and Biesaga, M. (2007) Quercetin content in some food and herbal samples. Food Chemistry, 100, 699-704 

  42. Kwak, H.J., Kwon, Y.J., Jeong, P.H., Kwon, J.H. and Kim, H.K.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49-355 

  43. Hou, W.N. and Go, E.K. (2004) Extractive optimiz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for processing of onion health promotion drink.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03-409 

  44. Yoshie, Y. and Ohshima, H. (1997) Nitric oxide synergistically enhances DNA strand breakage induced by polyhydroxyaromatic compounds, but inhibits that induced by the Fenton reaction. Arch. Biochem. Biophys., 342, 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