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 및 김치 이용 프랑스 요리에 대한 현지 프랑스인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the French Preference for Kimchi and French cuisines with added Kimchi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2 no.4 = no.94, 2006년, pp.438 - 446  

이명기 (한국식품연구원) ,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  이경개 (한국식품연구원) ,  장대자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the Kimchi preference for French, potential Kimchi improvement for French market adaptation and Kimchi application for French cuisine, with the aim of spreading the recognition of Kimchi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in France, by giving information and developing local typ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프랑스인을 대상으로 김치를 보급하는 방안으로 먼저 김치를 프랑스 요리 중 육류요리에 접목시키고 우리 전통김치에 대한 인지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접근법을 본 조사결과를 통해서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프랑스인의 우리나라 전통 김치에 대한 기호도와 김치의 개선점, 프랑스인의 현지 식생활에서 김치활용방법 등을 조사하여 프랑스인의 식생활에 부합하여 한국 김치를 알리고 김치의 현지화 방안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프랑스의 음식 문화는 16, 17C 에 각국별 인종별 식민지들로부터 식품과 음식의 조리법을 도입하여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 이 현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김치와 같은 채소 발효식품으로 양배추를 발효시킨 슈크라우트가 있으며, 젖산 발효 식품인 각종 치즈가 지방마다 독특하게 발달되어 있어 김치의 경우 동질적인 요소가 다분하여 이에 접목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김치의 유럽시장의 개척과 현지화 전략을 위한 기본 단계로서 프랑스인의 한국 전통김치 및 김치를 접목한 동반식품에 대한 기호도와 현지 식생활에서의 김치활용방안을 조사하여 한국김치의 개선점, 김치를 활용한 동반요리 및 퓨전 요리 레시피를 개발하여 프랑스인의 식생활에서의 김치활용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김치, 새우, 고수, 마늘은 다져 준다.
  • 새우의 살만 바른다.
  • 계란 노른자는 물에 희석해 놓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박완수. 1994. 김치산업의 현황 및 전망. 식품기술 7(2): 17-41 

  2. 박완수. 2001. 김치 국제규격 제정의 의의와 향후 대책. 식품과학과 산업 34(3): 96-103 

  3. 정대성. 1996. 일본에서의 김치 연구와 산업화 동향. 식품산업과 영양 1(1): 3 

  4. Amihud Kramer. 1976. Use of Color Measurement in Quality Control of Foods. Food Technology, Octo. 62 

  5. Angela, C. little. 1976. Physical Measurements as Predictors of Visual Appearance. Food Technology, Octo. 74 

  6. B. A. Eagerman, F. M. Clydesdale and F. J. Francis. 1973. Comparison of color scales for dark colored beverages. J Food Sci 38: 1056-1059 

  7. B. A. Eagerman, F. M. Clydesdale and F. J. Francis. 1973. Comparison of color scales for dark colored beverages. J Food Sci 38:1051-1055 

  8. C. D. P. Attery and T. R. Sharma. 1979. Estimation of fresh mutton color by reflectance spectrophotometry. J Food Sci 44:916-917 

  9. Cha BS, Kim WJ, Byun MW. 1989. Evalu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Extending the Shelf i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109-119 

  10. Chung BS, Kang KO. 1985. The Changes of Capsaicin Contents in Fresh and Processed Red Peppers. J Korean Soc Food Nutri 14(4):409-418 

  11. Chung ME, Lee HJ, Woo SJ. 1994. Effect of Soused and Cooked Glutinous Rice Flour on the Changes of Low Molecular Nitrogen Compouds Content during Kinchi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9(2): 125-130 

  12. Fergus M. Clydesdale, 1976. Instrumental Techniques for Color Measurement of Food. Food Technology, Octo. 52 

  13. Han JS, Choi YH, Kim YJ. 1999.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5(1): 42-49 

  14. Han JS, Hong JH, Suh BS. 2001. Chi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1): 44-59 

  15. Han JS, Kim JS, Kim SY, Kim MS. 1998.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4(2): 188-194 

  16. Han JS. 2000. A study on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Korean J Human Ecology 38(5): 167-177 

  17. Hawer WD, Ha JH, Seog HM, Nam YJ, Shin DW. 1988.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u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511-517 

  18. I. Lo Huang, F. J. francis and F. M. Clydesdale. 1970. Colorimetry of foods. 3. Carrot Puree. J Food Sci 35:771-773 

  19. I. S. Saguy, E. Graf. 1991. Particle Size Effects on the Diffuse Reflectance of a Sucrose-Caramel Admixture. J Food Sci 56(4):1117-1118 

  20. J. A. Barreiro, M Milano & A. J. Sandoval. 1997. Kinetics of Colour Change of Double Concentrated Tomato Paste During Thermal Treatment. J. of Food Engineering. 33:359-371 

  21. Jang MH. 2001. A study on the export of Korean Kimchi. MS Thesis. Changwon National Dniv. p 37-38 

  22. K. C. Kwok, D. B. MacDougall, K. Niranjan. 1999. Reaction kinetics of heat-induced colour changes in soymilk, J. of Food Engineering. 40:15-20 

  23. Kim YM, Kim YJ, Jeong MK. 2004. Preference and eating activities of Chinese for traditional Korean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i 33(10): 1641-1645 

  24. Lee NJ, Chun JK. 1981. Studies on the Kimchi Pasteurization Part 1. Method of Kimchi Pasteurization with Chinese Cabbage Kimchi and its Effect on the Storage.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4(4):213-217 

  25. Oh MS. 1998. Comparative criteria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etween Korean focus and American forcus group. Korean J Soc Food Sci 14: 388-393 

  26. P. Baardseth, G. Skrede, T. Naes, M. S. Thomassen, A. Iversen, L. Kaaber. 1988. A Comparison of CIE(1976) L*a*b* Values Obtained from Two Different Instruments on Several Food Commodities. J Food Sci 53(6):1737-1742 

  27. Ryu JY, Lee HS, Rhee HS. 1984.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2): 169-174 

  28. S. S Colosie and J. E. Breeze. 1973. An electronic apple redness meter. J Food Sci 38 :965-967 

  29. Song YO, Kim EH, Kim M, Moon JW. 1995. A Survey on the Children's Notion in Kimchi( I )-Children's Preferences for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i 24(5):758-764 

  30. Song YO, Kim EH, Kim M, Moon JW. 1995. A Survey on the Children's Notion in Kimchi(II)-Children's Opinion for Kimchi and Their Actual Consuming Behavior J Korean Soc Food Nutri 24(5):765-7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