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를 활용한 다용도 소스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purpose Sauce using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3 no.3, 2007년, pp.281 - 287  

신동선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농산물가공이용과) ,  조용식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농산물가공이용과) ,  이수열 (K&G 식품) ,  한귀정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농산물가공이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를 활용한 다용도 소스 개발의 목적으로 배추김치를 제조하여 잘 숙성된 김치를 분쇄한 다음 부재료로 전분, 당, 식초, 소금을 혼합하여 김치소스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91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즉, 김치소스 제조는 배추김치에 부재료와 백년초분말을 1.0% 첨가한 것으로 하였다.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pH의 경우 저장초기는 pH 4.1이다가 저장 91일이 되어도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여 변화가 없게 나타났다. 총산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 소스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색은 천연색소를 첨가하여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C와 점도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기간별 김치소스의 총균수 및 유산균수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비슷한 양상으로서 저장초기에서 거의 변화가 없다가 저장 약 20일에는 약간 증가했다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저장 91일까지는 거의 변화 없이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적 특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며, 가공된 김치소스에서도 소비자기호도 조사에서 모든 평가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 Chinese cabbage kimchi sauce, which was made from natural pigments,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and total acidity and the color of the sauce with added natural pigments demonstrated stability. Al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치를 활용한 다용도 소스 개발의 목적으로 배추김치를 제조하여 잘 숙성된 김치를 분쇄 한 다음 부재료로 전분, 당, 식초, 소금을 혼합하여 김 치소스를 제조한 후 5℃ 에서 91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 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 다. 즉, 김치소스 제조는 배추김치에 부재료와 백년초 분말을 1.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장기보관 및 취급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서구인 및 노약자들에게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화한 케첩형 다용도 김치 소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김치소스의 균일한 품질특성 유지와 저장성을 증진시키고 대량생산 및 유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김치를 활용한 다용도 소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광옥, 이영춘, 김상숙, 성내경.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13-84 

  2.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Chemists. Arlington, Virginia. pp413 

  3.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Koo YJ.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6): 707-710 

  4. Chong HS, Park CS. 2003.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s aboten, Korean J Postharvest Sci 10(2): 200-205 

  5.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 saboten. Korean J Food Cookery Sci 16(2): 160-166 

  6. Chung MS, Kim KH. 1996. Stability of Betanine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len. Korean J Food Cookery Sci 12(4):506-510 

  7. Grosch W. 1993. Detection of potent odorants in food extract dilution analysis. Trends in Food Sci Technol 

  8. Hawer WD, Ha JH, Seok HM. 1988.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u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 511-517 

  9. Hong SI, Park NH, Kim KH. 1994. Changes of quality of kimchi according to packing method. In: Science of kimchi,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 Technol pp.384-399 

  10. Kim IH, Kim MH, Kim HM, Kim YE. 1995.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rmostability of Red Pigment in Prickly Pear.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 1013-1016 

  11. Kim KS, Lee SO. 2002.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 179-184 

  12. Lee KH, Cho HY, Pyun YR. 1991. Kinetic model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 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 306-310 

  13. Lee SK, Shin MS, Jhong DK, Hong YH, Lim HS. 1989. Changes of kimchis contained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 68-74 

  14. Lee SP, Whang K, Ha YD. 1998. Functional Properties of Mucilage and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 - indica. J Korean Soc Sci Nutr 27(5)821-826 

  15. Mheen TI, Kwa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 443-450 

  16. Moon KD, Byun JA,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2): 257-263 

  17. Park SK, Kang SG, Chung HJ. 1994. Effect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2): 217-221 

  18. Park WP, Kim JW. 1991. The effect of spices on the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4(3): 235-241 

  19. Shahidi F. Flavor of cooked meats. 1989. In: Thermal Generation of Aroma. Parliment TH, Mcromine RJ, Ho CT.(eds.) ACS symposium series 409. Washington, DC, USA 

  20. hin DH, Kim MS, Han JS, Lim DK, Bak WS. 1996.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 137-145 

  21. So MH. 1994.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Science of Kimchi. Korean Food Sci Technol Symposium, Seoul. pp.62-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