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별 성인 여성의 체중감량 다이어트 실태와 만족도 및 관련지식
Weight Reduction Dieting Survey and Satisfaction Degree and Diet Related Knowledge among Adult Women by 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5, 2006년, pp.572 - 582  

김명경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이귀주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지역에 거주하는20대부터 50대 이상에 이르는 각 연령층의 여성 4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4년 6월부터 8월에 걸쳐 체격 및 비만도, 전반적인 다이어트 실태조사, 다이어트 방법에 대한 만족도, 다이어트에 관한 지식, 다이어트 후 경험한 부작용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20대 25.8%, 30대 26.5%, 40대 24.2%,50대 이상 23.5%이었으며 학력은 고졸이 32.6%로 가장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키는 160.45 cm, 체중 56.01kg, 희망체중 51.87 kg, BMI 21.92 $kg/m^2$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BMI를 체격지수로 한 비만도는 저체중(BMI<18.5)은 10.1%, 정상군($18.5{\leq}BMI{\leq}22.9$)은 58.4%, 과체중($23.0{\leq}BMI{\leq}24.9$)은 17.6%, 비만($BMI{\geq}25.0$)은 14.0%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비만도가 증가하였다(p<0.05). 다이어트의 목적은 '건강을 위해' 52.3%, '몸이 무거워 거동이 불편해서' 15.0%, '아름다워 보이기 위해서'가 32.6%이었으며, 아름다워지기 위한 다이어트는2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건강을 위한 다이어트는 40대, 50대 연령대에서 높았다(p<0.05). 가장 효과적이었던 다이어트 방법은 운동요법(50.2%), 식사요법(45.0%), 기타요법(4.8%) 순서이었다.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 횟수에 있어서 46.5%가 '전혀 하지 않는다'라고 답하였으며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운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당 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 횟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다이어트에 관한 정보 출처는 '가족, 친구' 31.7%, '신문, 잡지' 29.3%이었으며, 군살의 원인은 '식습관'이 39.6%, '운동부족'이 38.3%, '임신과 출산'이 10.5%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도가 높은 다이어트 방법은 식이 다이어트에서는 유기농 식품이었으며 유기농 채소와 잡곡밥 그리고 기능성 다이어트밥 등은 40대, 50대 연령대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운동 다이어트로는 유산소 운동, 외과수술 및 스페셜 다이어트로는 사우나, 찜질방, 고온 반신욕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 및 비만도에 따른 다이어트 지식에 대한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모두 9.02점이었으며 연령이 감소함에 따라서 영양지식 점수는 증가하였다(p<0.05). 다이어트 지식에 대한 정답율은 '성인병과 비만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정답률(97.7%)을 보인 반면, '식사속도와 비만과의 관계'가 가장 낮은 정답률(83.3%)을 보였다. 다이어트 중의 부작용은 '어지러움증, 빈혈' 16.2%, '피로' 15.1%, '소화불량'과 '변비'가 각각 11.1%, '전신무력감'이 10.5%, '집중력 감소' 7.8%, '피부건조'가 7.4%, '의욕상실' 6.7% 순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체중감량 다이어트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식이 다이어트는 친환경을 지향하는 '유기농 채소', 운동 다이어트는 '유산소 운동'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004 to August 2004, through questionnaires given to 432 women aged ranging from 20 to 50 years, who wer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physique, level of obesity and dieting survey as well as to uncove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세 이상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연령별로 체위 및 비만도, 다이어트 목적, 효과적인 다이어트 방법, 다이어트 정보출처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다이어트 실태와 최근 유행하는 다이어트 방법에 대한 만족도, 다이어트 지식 그리고 다이 어 트 후 부작용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 하여 여성의 건강한 다이어트 문화정립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Overview 

  2.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census Development Conference Statement. 1985.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Ann Intern Med 130: 1073-1077 

  3. Obesity-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1997.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Geneva 

  4. Kang JH. 2001. Evaluation criteria of healthy body weight in Koreans-focus on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6: 397-401 

  5. Oh DG. 2002. A national the dimentional obesity prevention and administration acountermeasure. J Kor Soc Study Obesity 11: 321-327 

  6. Kim KW, Lee MJ, Kim JH, Shim YH. 199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empt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3: 21-33 

  7. Swinburn B, Eagger G. 2002. Preventive strategies against weight gain and obesity. Obesity Rev 3: 289-301 

  8. Park HS, Lee HO, Sung CJ. 1997. Body image, eating problems and dietary intak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 505-514 

  9. Ryu HK. 1997.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 2: 197-205 

  10. Kim JH. 1998. A study on nutrition status by di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students of Masan city. Korean J Food Nutr 11: 185-191 

  11. Choe EO, Woo KJ, Chyun JH. 1999. Perception and knowl-edge on the diet among women living in Inchon. Korean J Dietary Culture 14: 225-231 

  12. Lee EJ, Kim MH, Kim WY, Cho MS. 2003. A survey on weight control and eating behavior in reproductive women by BMI. Korean J Food Culture 18: 172-180 

  13. Kim KH. 2004.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Korean J Nutr 19: 326-335 

  14. Report 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2000.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15. Mo SM. 1987. Diet regimens. Kyomunsa Publisher, Seoul. p 248 

  1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17. Park JS. 2001.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Soc Health Educ Prom 18: 161-174 

  18. Peter JC, Jefferey TS, Debora SC. 1997. Management of obesity. American Family Physician 55: 551-558 

  19. Pesa J. 1999.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dieting behaviors among female adolescents. J Sch Health 69: 196-201 

  20. Park JH, Bae YH, Lee KH, Park HS. 1997.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about weight control in obese adults. J Kor Soc Study Obesity 6: 161-168 

  21. Nunez C, Carbajal A, Moreiras O. 1995. Body mass index and desire of weight loss in a group of young women. J Am Diet Assoc 95: 491-492 

  22. Lee YM, Lee KW. 1994. Weight concers and eating patterns of college women.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2: 193-205 

  23. Yim KS. 2003. Commerci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8: 424-432 

  24. Lee JS, Lee HO, Yim JU, Kim YS, Choue RW. 2005.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change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pattern and blood parameters in over or obese women. Korean J Nutrition 38: 432-444 

  25. Lee BH, Cho KD. 2005. Effects of herb and fiber-reach dietary supplement body weight, body fat, blood lipid fractions and bowel habits in collegi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44-651 

  26. Choi HM. 2002. Nutrition & Health. Life Science Publisher, Seoul. p 145 

  27. Lee JH, Kang MH. 2003. Effects of smoking and age on SCE frequency reflecting DNA damage of human lymphocytes in elderly Koreans. Korean J Nutr 36: 851-858 

  28. Kim SK, Yeon BY, Choi MK. 2003.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and serum mineral level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Korean J Nutr 36: 635-645 

  29. So JS, Park HM. 2004. Relationship between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 bone turnover marke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Obstetrics & Gynecology 47: 153-160 

  30. Hean KS, Hong SY, Yim YS, Lee AR. 2004. Meal management. Kyomunsa Publisher, Seoul. p 68 

  31. Lee TH. 1995. Physical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J Kor Soc Study Obesity 4: 1-4 

  32. Lee TH, Kim YS. 1997. Production of ideal weight the age on utilization of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diagnosis data. J Kor Soc Study Obesity 6: 15-20 

  33. Kim MH, Lee SS. 2003. Current status of intrahepatic stones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42: 89-95 

  34. Kim EM. 2002. Diet and nutrition question of women. J Kor Soc Study Obesity 11: 257-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