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의 일환으로 추출용매별, 추출농도별에 따른 전자공여능, linolen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SOD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Linole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 또한 높아졌고,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SOD 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타나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저해정도는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다. 각 추출물과 pH의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결과는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물 추출물의 pH 1.2에서 77.35%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도 물 추출물에서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y or extracts form Elaeagnus multiflora Thunb for development to the functional material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the Elaeagnus multiflora Thunb were analyz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숙한 뜰보리수 열매의 물 추출물 및 ethanol 추출물,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한 DPPH, 지방산에 대한 항산화력, SOD 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뜰보리수 열매의 이용가치 를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iquel. J., Quintanilha, A.T. and Weber, H. (1989)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p.223-244 

  2. Park, S.Y. and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ean J. Pharmacogn., 23, 264-267 

  3.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itional Biochemistry, 7, 2-6 

  4. Allen, R.D. (1995) Dissection of oxidative stress tolerance using transgenic plants. Plant Physiol., 107, 1049-1054 

  5. Yu, M.H., Lee, S.G., Im, H.G., Kim, H.J. and Lee, I.S.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Plum) at different growth stage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1, 358-363 

  6. Shin, D.H. (1997) The study course and movement of natural antioxidants. Kor. Food Sci, Tech., 30, 14-18 

  7. Pratt, D.E. (1992) Natural antioxidants from plant materials :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II). Huang, M.T, Ho, S.T. and Lee, C.Y.(eds.). Am. Chem. Soc., Washington D.C. p.54-60 

  8. Hammond B., Kontos A. and Hess M.L. (1985) Oxygen radicals in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cussion injury, and in serebral vascular damage. Can. J. Pharmacol., 63, 173-187 

  9. Ames, B.N. and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10. Bran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rated hydroxy toluene and butyrated hydroxy anisole. J. Amer. Oil Chem. Soc., 52, 59-63 

  11. Halliwell B., Hoult R.J. and Blake D.R. (1988) Oxidants, inflammation, and anti-inflammatory drugs. FASEB J., 2, 2867-2870 

  12. Bagch, D., Bagchi, M., Stobs, S.J., Das, D.K., Ray, S.D., Kuszynsk, C.A., Josh,i S.S. and Pruess, S.G. (2000) Free radicals and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 importance Inhuma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Toxicology., 148, 187-197 

  13. Kang, M.J., Shin, S.R. and Kim, K.S.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 253-259 

  14.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and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Food Preserv., 11, 383-387 

  15. Yoon, I., Wee, J.H., Moon, J.H., Ahn, T.H. and Park, K.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quercetin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9-502 

  16. Ramarathnam, N., Osawa, T., Namiki, M. and Kawakiski (1989) Chemical studies on novel rice hull antioxidants. 2. Identification of isovitexin, A. C-glycosyl flavonoid. J. Agric. Chem., 37, 316-319 

  17. 조무생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 서울, p.372 

  18. 고경식 (1991) 한국식물검색도감. 아카데미, 서울, p.224 

  19.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198 

  20. Blos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21. Esaki, H., Onozaki, H., Kawakishi, S. and Osawa, T. (1996) New antioxidant isolated from tempeh. J. Agric. Food. Chem., 44, 696-700 

  22. Nakatani, N. and Kikuzaki, H.A. (1987) New antioxidant isolated oregan(origanum valgare L). Agric. Biol.Chem., 51, 2727-2781 

  23.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4. Nishikimi, M., Rao, N.A. and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f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6, 849-854 

  25.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6.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and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uns ribi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27. Shim, J. H., Park, M.W., Kim, M.R., Lim, K.T. and Park, S.T. (2002) Screening of antioxidant in fructus mune(Prunus mune Sieb. et Zucc.) extra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19-123 

  28. Shon, M.Y., Seo, J.K., Kim, H.J. and Sung, N.Y. (2001)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Platycodon grandiflor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17-720 

  29. Kang, Y.,H., Park, Y.K., Oh, S.R. and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30. Lee, J.W. and Do, J.K. (200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 of rubus coreanum and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5), 943-947 

  31. Hong, H.D., Kang N.K. and Kim, S.S.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32. Son, G. M., Bae, S.M., Chung, J.Y., Shin, D.J. and Sung, T.S.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 219-224 

  33. Kwak, J.H., Kweon, M.H., Ra, K.S., Sung, H.C. and Yang, H.C. (1996)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from capsella bursa-pastor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84-189 

  34.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and Son, J.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