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숙에 따른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과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during Matu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3 no.5, 2006년, pp.643 - 648  

홍주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남학식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이양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신승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 발굴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열매를 이용하여 성숙과정 중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뜰보리수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자공여능의 효과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성숙정도에 따른 증가하였고, 농도에 비례하였다. 뜰보리수 열매의 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능은 완숙과 과숙과실의 추출물에 비해서 미숙과실 추출물에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lection donating ability(EDA),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xanthine oxidase for food nutritional evaluation and excav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in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The electron donating a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약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뜰보리 수 열매를 이용하여 성숙과정 중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xanflu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함으로써 뜰보리 수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 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 발굴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열매를 이용하여 성숙과정 중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뜰보리수 에탄올 주줄물의 전자공여능은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자공여능의 효과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H.S. (1997)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40-548 

  2. Park, S.Y. and Kim, J.W.(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I). Korean J. Pharmacogn., 23, 264-267 

  3. Shim, J.H., Park, M.W., Kim, M.R., Lim, K.T. and Park, S.T.(2002) Screening of antioxidant in fructus mune(Prunus mune Sieb.et Zucc.)Extra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19-123 

  4. Ames. B.N., Shigenaga, M.K. and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ease of aging. Proc. Natl. Acad. Sci., 90, 7915-7922 

  5. Cho, J.Y, Moon, J.H and Park, K.H.(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methoxy-4-hydroxybenzoic acid and 3-methoxy-4-hydroxy-cinarnic acid with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and conformation of their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03-1408 

  6. Wee, J.H. and Park, K.H.,(2001) Isolation of 4-hydroxycinnamic acid, 3-methoxy-4-hydroxycinnamic acid and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peanut(Arachis hypogaea)shell. Food Sci. Biotechnol., 10, 551-556 

  7. Yu, M.H., Im, H.G., Lee, H.J., Ji, Y.J. and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8. Moon, J.H. and Park, K.H. (1995) Functicm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ea. J. Korean Tea Soc., 1, 175-191 

  9.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and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6, 75-82 

  10. Jang, M.J., Woo, M,H., Kim, Y.H., Jun, D.Y. and Rhee, S.J. (2005) Effects of Antioxid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 and Antithrombogenic by the Extract of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Nutrition Society, 38, 386-394 

  11. Oh, H.M. and Kim, M.K. (2001)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Korean Nutrition Society, 34, 285-298 

  12. Yu, M.H, Im, H.G., Lee, H.J., Ji, Y.J. and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13.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and Son, J.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14. 조무생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 서울, p. 372 

  15. 이우철 (1996) 한국식품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p. 715 

  16. 고경식, 전의식 (2003) 식물도감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서 울. p.454-455 

  17. 박종희 (2004) 한국약초도감.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p.953-954 

  18. Blos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19.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0.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and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1. Stirpe, F. and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22.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and Kim, D.G.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3-19 

  23.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and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n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24.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and Son, J. 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25. Kang, Y.H., Park, Y.K., Oh, S.R and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6. Park, E.J., Lee, H.S., Kwon S.Y, Choi, K.S. and Kwak, S.S. (2002) Transgenic tomato plants that overexpress superoxide dismutase in fruits. Korean J. Plant Biotechnology, 29, 7-13 

  27. Hong, H.D., Kang N.K. nad Kim, S.S.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28. Lee, Y.J. and Han, J.P.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extracts from Ulmus devidian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93-899 

  29. Kang, Y.,H., Park, Y.K., Oh, S.R and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30.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and Son, J. 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31. Moon, S.H. and Lee, M.K. (1998) Inhibiy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boiled water extracts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and Nutr., 11, 354-357 

  32. Yeo, S.G., Park, Y.B., Kim, I.S. and Park, Y.H. (199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154-159 

  33. An, B.J. and Lee, J.T.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from Extract of Crataegi Fructus. Korea J. Herbology, 17, 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