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탁급식전문업체의 급식소 식수 규모별 노동생산성 비교 분석에 따른 인력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odel of Staffing Dema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Labor Productivity by Foodservice's Meal Scale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39 no.4, 2006년, pp.417 - 425  

박문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조선경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  차진아 (전주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전통음식문화) ,  양일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operation of human resource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FMC), b) identify the staffing indices for the establishment an labor productivity for CFMC, and c) develop standardized model of staffing demand as foodservice's scale in CFM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탁 급식전문업체에서 운영하는 급식소를 대상으로 노동 인력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해당 변수를 규명하고 규모에 따른 노동생산성 지수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급식소에서 활용 가능한 인력산정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향후 위탁 급식전문업체에서 운영 중인 급식소의 인력산정 방식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때, 노동 시간당 식수의 급식소별 편차의 차이를 줄이고자 평균값이 아닌 중앙값을 활용하여 산출하였고, 이때 활용한 중앙값은표의 주석 (a)에 제시하였다. 또한 급식소 계약방식별로 노동시간당 식수의 차이가 있어 별도 산출하여 제시함으로써연구 결과의 실용화를 높이고자 하였다 (Table 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계열의 A 위탁 급식전문업체에서 운영 중인 급식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사가 구축하고 있는 FS 전산 system의 자료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미비한 자료는 추가로 각 급식소에 문의하였다.
  • 이에 급식 운영지표와 노동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노동인력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적정급식인력 및 직접 조리인력을 산출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다양한 고객 대상군과 다수의 업장을 위탁 운영하는 위탁 급식전문업체의 노동인력 산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에 연구되어 오던 작업관리 측면이 아닌 급식 운영지표와 노동생산성지수를 활용하여 인력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여 이를 통한 급식 인력 산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최근 급식산업 분야의 운영 주체로 급속도로 성장해온 위탁 급식전문업체의 노동인력 산출을 위하여 기존의 작업관리측면이 아닌 급식 운영지표와 노동생산성 지수를 활용한 효율적인 인력산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본 연구는 다양한 고객군 별 유형과 각 고객 유형별 다수의 급식소를 보유한 위탁 급식전문업체의 노동인력의 수요를 추정하는 기존의 급식 소 업장별로 개별화된 세부 조사가 요구되는 작업관리 측면의 접근이아닌 생산관리 측면의 접근을 통한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을 꾀한 인력산정 모델이라는 점에서 그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산정된 인원의 배치 시에 인건비가 해당되는 비용 생산성 측면으로의 그 효용성 또한 높은 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ong KS. The study for effective management of kitchen in tourist hotel. Tourism Hightech Information Service 3(1): 281-293, 1999 

  2. Park HJ.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by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on motivation and internal organizational performances. Yonsei University Ph.D thesis, 2002 

  3. Kotler P. Marketing for hospitality and tourism.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1996 

  4. Choi SC. Study on foodservice company's profit management through the diverse types of foodservice contract.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iton, pp.275-301, 2001 

  5. Hong WS.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employee in hospital foodserv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10(3): 296-300, 1994 

  6. Kaud FJ. Systemic management of foodservice implementing the chilled food concept. Hospitals 46: 97, 1972 

  7. Kim NH. Systematic study to improve foodservice management and investigation of managing facility in university foodservice. Yonsei University MD thesis, 1985 

  8. Yang IS, Kim SH, Cha JA. Operational factors affecting productivity of foodservice system in selected hospitals. Korean J Nutrition 26(3): 357-366, 1993 

  9. Clark J, Kirk D. Relationships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factors of production in hospital and hotel foodservice departments - Empirical evidence of a typology of food production systems. J Foodservice System 10: 23-39, 1997 

  10. Yang IS, Yu IG, Lee WJ, Cha JA. Developing Standardized Indices of Staffing Needs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Urban Areas. Korean J Diet Cult 8(1): 55-62, 1993 

  11. Yang IS, Lee JM, Yi BS, Cha JA. Comparative Analysis on Work and Labor Productivity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Nutrition 30(6): 690-703, 1997 

  12. Yi BS, Yang, IS, Kim, KC.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taffing Indices in School Foodservice Systems. Korean J Nutrition 31 (3): 354-362, 1998 

  13. Kim EK, Kim EM, Kang MH, Hong WS. Analysis of foodservice produc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Seoul & Gangneu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4(1): 76-83, 1998 

  14. Dayton M, Hitchcock MJ. A study of labor time in a centralized school foodservice unit. J Home Economics 57: 192, 1965 

  15. Waldvogel CF, Ostenso GL. Quantity food production labor time. J Am Diet Assoc 70(Feb): 172-177, 1977 

  16. Zolber KK. Donaldson B. Distribution of work function in hospital food systems. J Am Diet Assoc 56(1): 39-45, 1970 

  17. Beard V. Work sampling as a method of evaluating a school foodservice training program, Unpublished MS thesis, University of Tenn, Knoxville, 1970 

  18. Choi SW, Lyu ES, Kwak TK. Assessment of the lobor productivity indices for industry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Seoul. Korea J Home Econ 30(3): 79-11, 1992 

  19. Cho SH, Hong SY. Factors affecting productivity for university food service operations. Korean J Soc Food Sci 14(4): 407-415, 1998 

  20. Lee YE. Development of the standardized school foodservice dietician indices by job analysis. Yonsei University Ph.D thesis,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