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해부상을 이용한 활성슬러지의 탈수성 향상
Improvement of Activated Sludge Dewaterability by Electro-flotation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0 no.5, 2006년, pp.677 - 684  

최영균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병주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민정 (대구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윤중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정태학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flotation(EF), a novel sludge thickening method, could improve the dewaterability of activated sludge. The gas(microbubbles) generated during EF decreased the solid-liquid separation time below 1/5 of the time required for gravity sedimentation. In addition, over 90% of the sludge volume 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를 통해 전해부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의 효율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기분해시 사용되는 극판의 재질별로 슬러지 탈수성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현재 전기분해 산화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극판을 선택하여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아직까지 미세기포에 의한 슬러지의 탈수성 향상은 추측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슬러지 층에 포함된 미세기포를탈기 (degassing)하였을 경우의 SRF를 조사하여 , 탈기하기 전의 탈수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전기분해 극판에 흐르는 전류밀도를 다르게 하여 기포 발생량을 변화시킨 뒤 , 슬러지의 탈수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해부상 시스템이 활성슬러지의 농축 및 탈수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기포가 슬러 지의 탈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해부상을 이용한 활성슬러지의탈수특성 을 다양한 침 전성을 갖는 슬러지 를 선택하여 평가해보고자 하였으며 , 아울러 중력농축 및 탈수와의 비교 . 평가를 통해 전해부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의 효율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활성슬러지에 약품과 같은 첨가물 없이 생물학적 고형물의 탈수성을 향상시키고자 슬러지의 농축과정에서 다량의 미세기포가 슬러지층에 함유될 수 있는 부상농축방법을 사용하였고, 미세기포의 발생을 위해 전기분해방법을 채택하였다. 부상 분리가 하 .
  • 또한 전기분해 극판에 흐르는 전류밀도를 다르게 하여 기포 발생량을 변화시킨 뒤 , 슬러지의 탈수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포발생량과 슬러지의 탈수성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전해부상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슬러지의 탈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량적인 방법으로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포의 발생량 변화에 따른 슬러지의 탈수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기분해 과정에서 기포의 발생량은 페러데이의 법칙에 따른 극판에 인가되는 전류밀도의 함수가 된다.
  • 비교 . 평가를 통해 전해부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의 효율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기분해시 사용되는 극판의 재질별로 슬러지 탈수성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현재 전기분해 산화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극판을 선택하여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exandrova, L., Nedialkova, T. and Nishkov, I. (1994) Electroflotation of metal ions in wastewater, Int. J. Miner. Process., 41(3-4), pp. 285-294 

  2. Barber, J.B. and Veenstra, J.N. (1986) Evaluation of biological sludge properties influencing volume reduction. J. Wat. Polln. Cont. Fedn., 58, pp. 149-156 

  3. Bruus, J.H., Nielsen, P.H. and Keiding, K. (1992) On the stability of activated sludge flocs with implications to dewatering. Wat. Res., 26, pp. 1597 -1604 

  4. Burns, S.E., Yiacoumi, S. and Tsouris, C. (1997) Microbubble generation for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separations, Sep. Purif. Tech., 11, pp. 221-232 

  5. Chen, G., Chen, X. and Yue, P.L. (2000) Electrocoagulation and electroflotation of restaurant wastewater, J. Environ. Eng., 126(9), pp. 858-863 

  6. Chen, X., Chen, G. and Yue, P.L. (2002) Novel electrode system for electroflotation of wastewater, Environ. Sci. Tech., 36, pp. 778-783 

  7. Choi, Y.G. and Chung, T.H. (2000) Effects of humus soil on the settling and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sludge, Wat. Sci. Tech., 42(9), pp. 127-134 

  8. Christensen, G.L. and Dick, R.I. (1985) Specific resistance measurements: methods and procedures. J. Environ. Engng., 111, pp. 258-271 

  9. Hosny, A.Y. (1996) Separating oil from oil-water emulsions by electroflotation technique, Sep. Tech., 6, pp. 9-17 

  10. Karr, P.R. and Keinath, T.M. (1978) Influence of particle size on sludge dewaterability. J. Wat. Polln. Cont. Fedn., 50(8), pp. 1911-1930 

  11. Knocke, W.R., Dishman, C.M., Miller, G.F. (1993) Measurement of chemical sludge floc density and implications related to sludge dewatering. Wat. Environ. Res., 65(6), pp. 735-743 

  12. Manjunath, N.T., Mehrotra, I. and Mathur, R.P. (2000)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slaughterhouse by DAFUASB system, Wat. Res., 34(6), pp. 1930-1936 

  13. Novak, J.T., Goodman, G.L., Pariroo, A. and Huang, J.C, (1988) The blinding of sludges during filtration. J. Wat. Polin. Cont. Fedn. 60(2), pp. 206-214 

  14. Poon, C.P.C. (1997) Electroflotation for groundwater decontamination, J. Hazard.Mater., 55, pp. 159-170 

  1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95) 19th ed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Water Environment Federation, Washington DC, USA 

  16. Vanderhasselt, A. and Verstraete, W. (1999) Short-term effects of additives on sludg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Wat. Res., 33(2), pp. 381-3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