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중증 장애인의 지속적 재활 관리 실태와 재활 서비스 요구
The Continuum of Rehabilitation Care and th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are Need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9 no.3, 2006년, pp.263 - 269  

장숙랑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김완호 (국립재활병원 재활의학과) ,  이규범 (국립재활병원 재활의학과) ,  김수경 (국립재활병원 재활의학과) ,  임재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  이선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increasing and their needs for care are varied, the continuum and comprehensiveness of their rehabilitative care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quirement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재가 중증 장애인들이 요구하는 지 역사회재 활서 비 스의 종류와 특성 을 파악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재가 장애인의 재활치료 이용현황과 지속적 인 재활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 되 었다. 또한 재가 중증 장애인들이 요구하는 지 역사회재 활서 비 스의 종류와 특성 을 파악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YH, Lee KB, Kim SK, Lim HJ, Kim SO, Jang SN, Gho YM. Development of Medical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for Service Continuum of Disability in Community. Ministry ofHealth and Welfare Report. ;2003. p. 30-67 (Korean) 

  2. 김용익. 장애우 의료입문. 장애우 권익문제연구소; 1999, (11-14쪽) 

  3. Jang SN. A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care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y. [dissertation] Korea: Seoul National Univ.; 2004 (Korean) 

  4. Kim YT. Status and Alternatives of Community-dwelling Disabled. WHO Cooperative Seminar; 2002. p.25 

  5. Kim GY, Lee YS, Park KS, Son JH, Gam S, Chun BR, Park JY, Ye MH.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ealth concern, health practice and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Korean J Prev Med 1993; 26(4): 11-17 (Korean) 

  6. Park NR, Yang S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Nursing Model for the Disabled Clients at Home.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995. p. 294-308 (Korean) 

  7. 변용찬, 김성희, 이선우, 임유경. 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76-83쪽) 

  8. Seo DO. Medical Rehabilitation in Hospital. WHO Cooperative Seminar. 2002. p. 40-41 

  9. 신영전, 유원섭, 임민경, 김완호, 임재영. 재가 장애인의 기능 및 삶의 질 평가 척도 개발(국립재활원 용역보고서). 한양대학교 지역사회보건연구소;2001. (부록 9쪽) 

  10. Rhee SJ, Jang SN, Kwon YS, Kim MJ, Lee HY. The Evaluation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in Hwasung City. K yunggi Do Report; 2003.p. 23-30 (Korean) 

  11. 임재영.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거점지역 현황 및 사업 추진방향. 지역사회중심 재활 보고서.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2001. (41-45쪽) 

  12. Kassab AK.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nd stigma management by physically disabled people in Ghana. Disabil Rehabil 1998; 20(2): 66-73 

  13. Mitchell RA, Zhou D, Lu Y, Watts 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does it change community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y? Disobil Rehabil 1993; 15(4): 179-183 

  14. Mitchell R. The research base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Disabil Rehabil 1999; 21(10-11): 459-468 

  15. Won C.W. 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s and Korea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Korean J Geriatr Soc 2002; 6: 1-11 (Korean) 

  16.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지역사회중심 재활교육 고급과정교재; 2001, (48쪽) 

  17.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이해와 보건소 업무 지침; 2000, (10-35쪽) 

  18. Helander E. Provision of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on the community level. Proc R Soc Lond B Biol Sci 1980: 9(1174): 139-40 

  19. Sheila Harms & Olive Kobusingy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rehabilitation services in an urban Ugandan hospitaL Int J Rehabil Res 2003: 126(1); 73-77 

  20. Evans PJ, Zinkin P, Harpham T, Chaudury G. Evalu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in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Soc Sci Med 2001; 53(3): 333-348 

  21. Keith RA. The comprehensive treatment tam in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9; 72: 269-274 

  22. Hartley S. Commentary on 'community based service delivery in rehabilitation: The promise and the paradox' by Kendall, Buys and Lamer. Disabil Rehabil 2001; 23(1): 26-29 

  23. Nevlud GN. The team approach:current trends and issues in rehabilitation. Texas J Audiol Speech Pathol 1990; 16: 21-23 

  24. Spencer WA. Changes in methods and relationships within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69; 50: 566-580 

  25. Aitken C, Walker J. Care of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Int Disabil Stud 1987; 9(2): 60-61 

  26. Rao PH, Venkatesan S, Vepuri V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 experimental study. Int J Rehabil Res 1993; 16(3): 245-250 

  27. DeLisa JA, Gans BM. Rehabilitation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s. 3rd Edition. Lippincott-Raven Publishers. Philadelphia. 1998. p. 33-198 

  28. WHO. Disabilit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in Primary Health Care-A Guide for District Health and Rehabilitation Managers. 1995. p. 25-43 

  29. John C. King, T. Russell Nelson, Mary L. Heye, Thomas C. Turturro, Mary Nelle D. Prescriptions, Referals, Order Writing and the Rehabilitation Team Fuction. Rehabilitation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s. 3rd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Publishers. 1998. p. 269-280 

  30. Haas J. Ethical considerations of goal setting for patient care in rehabilitation medicine. Am J Phys Med Relwbil 1993; 72: 228-232 

  31. Finnstam J, Grimby G, Nelson G, Rashid S.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 Punjab, Pakistan: I: Use of the WHO manual, 'Training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 Int Disabil Stud 1988; 10(2): 54-58 

  32. Kendall E, Buys N, Lamer J. Community-based service delivery in rehabilitation: the promise and the paradox. Disobil Rehabil 2000; 22(10): 435-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