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의 EA에 비춰본 한국의 환경평가제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Alternative of Korean Environmental Assessment through the EA of the European Unio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5 no.2, 2006년, pp.139 - 155  

김임순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  한상욱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  박주현 (광운전략환경평가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roduction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has strengthened and extended the valu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s a fundamental t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SEA help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oject EIA as a stand alone approach that is appl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 제도간의 중복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전환경성검토서의 내용을 환경영향평가서에 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행정계획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시 논의되었던 중점 평가항목들이 EIA 단계에서 세밀 하게 조사하여야 할 항목들을 판별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는 PERS가 EIA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PERS와 EIA의 통합적 운영을 통한 양제도의 차별화와 중복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국내의 경우 EIA와 유사한 인구, 재해, 교통 영향 평가가 별개제도로 운영되고 일부행정계획과 EIA대상 보다 규모가 적은 개발 사업에 PERS 적용되고, 또한 이의 전단계에서 예비타당성조사제도, 타당성조사제도 등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분산 운영됨으로서 일관된 의사결정체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정상적인 의사결정체계에 부합되는 EA제도의 기본틀을 탐색하고 한국의 EA제도와 EU의 EA에 관한 지령 및 UNECE의 EA에 관한 협약 및 의정서를 분석하여 한국 EA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EA제도는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행위로 인한 환경영향을 계획의 입안단계에서 사전에 배려하게 되는데 이때 개발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개발계획과정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즉 EA제도를 통하여 환경적 건전성과 사업의 수익성, 그리고 사회적 형평성을 동시에 실현시키는데 목표를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연합의 환경평가에 비춰 한국의 환경평가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면? 1) EA의 본질과 원칙에 부합될 수 있도록 PERS 및 EIA의 통합적 실시가 가능하도록 EA의 기본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지속성구현을 지향목표로 4P의 기획과정과 EA과정이 계층화(PERS 및 EIA의 서열화)되고 여기에 각종 영향평가가 편입, 그리고 EMS가 연계되는 구조로 개편, 제도화 되어야 한다. 2) EA의 수행절차는 EA제도의 이론적 배경 및 기본틀과 EU의 EA제도 분석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개발의 제안, 스크리닝, 스코핑, 대안조사, 영향분석, 저감 및 영향관리, 중대성평가, EIA와 보고서 준비, 의사결정, 사후검토 등의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때 민주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정보의 제공과 함께 이해관계자가 참여가 용이하도록 그 과정이 개방되어야 한다. 3) PERS 및 EIA실시를 통합적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종합성, 과학성에 입각한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와 조언을 위한 학제적 팀의 운영과 이를 전문적으로 지원 관리할 컨설턴트 및 프로젝트 매니저가 제도화되어야 한다. 4) 4P의 기획과정과 환경평가를 지원하는 예측, 평가, 의사결정기법이 마련되고 지적, 물적, 정보 인프라의 구축과 인력양성과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체제가 국가적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5) 선진사례의 수집분석과 벤치마킹을 위한 사례 집의 발간 및 시범적인 평가의 실시와 워크숍의 개최를 통해 적응성을 검토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 6) 환경평가의 기술적 실시지침을 마련한다. 이때 EU의 스크리닝, 스코핑, 심사 및 간접, 누적영향평가지침의 적응성도 검토한다. 7) 매체중심의 평가에서 수용체 중심의 환경평가를 위해 보건영향평가가 포함된 실직적인 보건영향 평가제도가 도입되고 정책과 법령을 대상으로 하는 SEA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8) EIA와 SEA관계의 속성을 고려한 차별화되고 다양한 EA방법의 개발 등 새로운 지식과 발전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국가적인 연구개발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환경정책기본법은 언제 개정되었는가?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와 사전환경성검토(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PERS)의 개선과 양제도의 효율적인 연계운영 등을 위하여 환경부는 2006년 6월 1일 시행 목표로 2005년 5월 31일 환경정책기본법을 개정하였다.
대형국책사업의 사회적 갈등은 무엇을 초래하였는가? 새만금간척사업, 경부고속철도 천성산 터널구간 건설사업, 북한산의 사패산 터널구간 건설사업 등 대형국책사업의 사회적 갈등은 지역과 계층간의 분열을 초래하였고 공사지연 및 중지로 이어져 엄청난 예산의 낭비 등 경제적, 사회적인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김은식, 한상욱, 2001; 임채환, 2005b). 이와 같은 사례가 재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PERS는 전략환경평가(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체계의 틀을 갖춘 제도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성현찬, 1997; 한상욱, 1999; 김임순, 2005; World Bank,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건교부, 2003,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조사연구 사전환경성조사(최종보고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80-213 

  2. 기획예산처, 2003,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선정 지침, 1-8 

  3. 김상일, 2005, 지속가능한 국토환경보전전챙방향,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략환경평가 KWSEAI.KEI 공동주최 2005년 심포지엄(2005. 4. 22), 1-13 

  4. 김은식, 한상욱, 2001, 국책개발사업(새만금간척사업)과 환경영향평가: 공공사업 추진절차의 재정립과 전략환경평가제도 도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24 

  5. 김임순 외, 2003a, 최신환경영향평가(이론과 실제), 동화기술, 267-272 

  6. 김임순 외, 2003b, 전략환경평가의 제도화 동향과 국내 도입 방안,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2(3), 178-179 

  7. 김임순 외, 2004, 전략환경평가를 통한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안적환경평가, 한국환경정책학회지, 12(2), 83 

  8. 김임순, 2005, 지속성에 입각한 대안적 환경평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략환경평가 KWSEAI.KEI 공동주최 2005년 심포지엄(2005. 4. 22), 26-51 

  9. 김임순, 한상욱, 2005, 대안적 환경평가 시스템 연구; 통합적 의사결정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영향평가모형(APEMI IA Model)의 국내 적용방안 탐색,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4(4), 179-193 

  10. 김임순, 한상욱, 2006, 전략환경평가, (주)북스힐 

  11. 성현찬, 1997, 전략환경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14 

  12. 송영일, 2005, 전략환경평가시행에 대비한 제도정비방안,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략환경평가 KWSEAI.KEI 공동주최 2005년 심포지엄 (2005. 4. 22), 14-25 

  13. 이춘원, 2004, 전략환경평가를 위한 종합평가시스템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32 

  14. 임채환, 2005a, 전략환경평가 도입을 위한 법령 개정현황 및 향후계획, 광운대학교 전략환경 평가 포럼집, 1 

  15. 임채환, 2005b, 환경평가와 환경경영, 한국환경기술인회 2005년추계세미나(2005. 11. 18), 한국환경기술인회연보, 10, 269-289 

  16. 윤서성, 2005, 환경갈등의 현상과 과제,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전략환경평가 KWSEAI.KEI 공동주최 2005년 심포지움 특별강연자료 (2005. 4. 22), 3-4 

  17. 한상욱, 1999, 지속가능한 개발과 전략환경평가, 지속가능개발위원회 설치 운영에 관한 토론회, 서울특별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69-124 

  18. 한상욱, 2003, 전략적환경평가- 현재와 미래- 2003년도 한국환경정책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자료집, 9-49 

  19. 환경부, 2000, 전략환경평가기법 개발 및 중점평가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243-282 

  20. 환경부, 2005a,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한 입법예고자료 

  21. 환경부, 2005b, 환경정보 DB구축사업 신청서, 1-2 

  22. 환경부, 2006, 환경 교통 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동시행령, 동시행규칙 개정령자료, 1-9 

  23. Albert Dupagne, Jacques Teller and Cristine Ruelle, 2002, Guidance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impacts of certain plans, programmes or projects upon the heritage value of historical area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ir long-term sustainablity, SUIT(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historical areas through an active Integrated within Towns), LEMA, 11 

  24. Barry Sadler, 1996, Internation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inal Report)-Environmental Assessment in a Changing World: Evaluating Practice to Improve Performance, CEAA, IAIA, 139-182 

  25. Barry Sadler, 2005,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t the Policy Level Recent Progress, 1-10 

  26.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5, Council Directive of 27 June 1985 on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ertain Public and Private Projects on the Environment(85/337/EEC) 

  27.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7, Council Directive 97/11/EC, of 3 March 1997 amending Directive 85/337/EEC of 27 June 1985 on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ertain Public and Private Projects on the Environment 

  28. European Commission, 1996, Manual o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ransport Infrastructure Plans, DG Energy and Transport 

  29. European Commission, 1997, A study to develop and implement an overall strategic for EIA/SEA research in the EU 

  30. European Commission, 1998, A Handbook o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Regional Development Plans and EU Structural Funds Programmers, DGXI, Environment, Nuclear Safety and Civil Protection, 1-23 

  31. European Commission, 2001, Directive 2001/42/ 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ertain Plans and Programmes on the Environment 

  32. European Commission, 2003a, Directive 2003/3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6 May 2003 providing for public participation in respect of the drawing up of certain plans and programme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and amending with regard to public participation and access to justice Council Directives 85/337/EEC and 96/61/EC 

  33. European Commission, 2003b, Commission Guidance on Implementation of Directive 2001/42 on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ertain Plans, 34 

  34. European Commission, 2006, Directive 85/337/EEC on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certain pulbic and private projects on the environment (EIA Directive), as amended, Clarification of the Application of Article 2(3) of EIA Directive 

  35. IAIA. 1999, Principl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st Practice, 1-4 

  36. IAIA, 200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Performance Criteria, 1 

  37. IAIA, 2003, Social Impact Assessment, International Principles, 1-4 

  38. IAIA, 2005, Biodiversity in Impact Assessment, 1-8 

  39. ICON, 2001, SEA and International of the Environment into Strategic Decision Making Final Report, Vol. 1., Executive Summary, 1, 81 

  40. Imperial College London Consultants, 2005, The Relationship EIA and SEA Directives, 11 

  41.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IIED), 1998, A Directory of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3-13 

  42. John Glasson. et a., 2005,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1-240 

  43. Kim Im soon, Han Sangwook, 2005, EIA and SEA Practical Training Resource Manual, GSESKWU.KWSEAI, APEMI, 29-486 

  44. Ministry of the Environment Government of Japan, 2003, Effective SEA System and Studies, Mitsubishi Research Institute, INC of Japan, 35-43(Japanese version) 

  45. Michael Schmidt, Elsa Joao and Eike Albrecht, 2005, Implementing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3-13 

  46. The Regional Environmental Center for Central and Eastern Europe(REC), 2005, SEA Training Manual for South Eastern Europe, 6-37 

  47. Rike Therivel and Maria Rosario Partidario, 1996, The Practice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Earthscan Publications Ltd, London, 3-44 

  48. UNDP, 2003, Benefits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REC, 1-5 

  49. UNECE, 1991, Conven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a Transboundary Contextg done at Espoo (Finland), on 25 February 1991, 1-19 

  50. UNECE, 1998, Convention on Access to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Access to Justice in Environmental Matters, done at Aarhus, 1-25 

  51. UNECE, 2003, Protocol o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o the Conven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a Transboundary Context, 1-14 

  52. UNECE, 2004, Convent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a Transboundary Context/Consolidated version with NO Legal Status 

  53. UNEP, 2002, EIA Training Resource Manual 2nd Edition, 494, 535-547 

  54. UNEP, 2004,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 113-133 

  55. World Bank, 2002,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World Bank Operations Experience to Date-Future Potential, Background Paper Prepared for the Environment Strategy, World Bank, 18-21 

  56. World Bank, 2005, Integrating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Policy. Formulation: Lessons form Policy-Based SEA Experience Environment Department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Sustainable Development Vice Presidency,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