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 변경협의 및 재협의 제도 고찰 - 국내외 제도 운용현황을 중심으로 -
Review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consulting System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0 no.5, 2021년, pp.328 - 338  

김진오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주용준 (한국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영향평가 협의는 개발사업에 대한 주변의 입지 및 토지이용 현황, 사업유형 등을 고려한 현황조사와 영향예측 및 평가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최종적 의사결정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업계획에 대한 잦은 변경협의와 환경영향평가 협의 이후 이어지는 변경협의 등으로 인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유하고 장시간에 걸쳐 인적·물적 자원을 투입한 환경영향평가 과정 및 결과가 훼손되는 등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변경협의 및 재협의는 기존에 협의가 완료된 개발사업에 대해 토지이용의 변화나 공사 지연, 주변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획의 중요한 변경이 이루어질 때 요구되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변경협의 및 재협의는 주변 여건 변화에 따른 탄력적 대응과 지역주민과의 갈등 조정 측면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변경협의 및 재협의에 대한 요건과 국내 운영현황에 대한 고찰, 그리고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변경협의 및 재협의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국내 법규분석을 바탕으로 변경협의 및 재협의 제도의 도입과 변천,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미국과 유럽연합(EU), 스코틀랜드, 일본을 중심으로 변경협의 및 재협의 관련 제도와 지침 등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와의 차이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변경협의 및 재협의 제도의 개선을 위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환경영향평가가 다양한 자연 및 사회환경적, 경제적 변화로 요구되는 변경협의 및 재협의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A consultation is a final decision-making process that enables a variety of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and to shar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this process is often undermined through re-consultation processes by sign...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17)

  1. European Commission. 2014. EU EIA Directive (Informal consolidated version of the EIA Directive) (https://ec.europa.eu/environment/eia/eia-legalcontext.htm). 

  2. European Union. 2017.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Projects: Guidance on Screening (Directive 2011/92/EU as amended by 2014/52/EU). 

  3. European Union Commission. 2003. Report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EIA Directives (Directives 85/337/EEC as amended by Directive 97/11/EC) - How successful are the Member States in implementing the EIA Directives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HTML/?uriCELEX:52003DC0334&fromDE) 

  4. Han S. 2017. "EIA laws and regulations of Japan". CHAM GOOD Environment (http://www.best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2) [Korean Literature] 

  5. Joo Y-J, Sagong H, Lee SY, Lee HS, Ji MK.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ing Function, KEI, pp. 78-91, [Korean Literature] 

  6. Kim, Y. 2008. A study on EIA laws in foreign countries, Ministry of Environment, pp. 179-255. [Korean Literature] 

  7.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Enforcement Decree;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Korean Literature] 

  8. Legal Information Institute. 2020. Supplement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https://www.law.cornell.edu/cfr/text/23/771.130). 

  9. Legislation government of United Kingdom. The Town and Country Plann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gulation;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s://www.legislation.gov.uk/uksi/2017/571/schedule/1/made. 

  10. Ministry of Housing, Communities & Local Government. 2020. Town and Country Planning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Regulations 2017 (Legislation.gov.uk). 

  11.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Review Process;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s://www.epa.gov/nepa/national-environmental-policy-act-review-process. 

  12. Pinho P, McCallu S, Cruz S. 2012. A Critical Appraisal of EIA Screening Practice in EU Member States,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28(2): 91-107. 

  13. Scottish Government. 2017. The Town and Country Plann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cotland) Regulations 2017. 

  14. Scottish Natural Heritage. 2018.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ndbook: Guidance for competent authorities, consultation bodies, and others involved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in Scotland. Available from: http://www.gov.scot/publications/planning-circular-1-2017-environmental-impact-assessment-regulations-2017. 

  15. Tabb W. 1999.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European Community: Shaping International Norms, Tulane Law Review 73: 923-996. 

  1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Review Process; [cited 2020 July 20]. Available from; https://www.epa.gov/nepa/national-environmental-policy-act-review-process. 

  17. Weston J. 2004. EIA Screening for Changes and Extensions to Existing Projects: Applying an EU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al Assessment Policy and Management 6(2): 177-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