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AQ을 이용한 수도권 풍하지역의 고농도 오존 현상 모사
A Simulation of High Ozone Episode in Downwind Area of Seoul Metropolitan Using CMAQ Mode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5 no.3, 2006년, pp.193 - 206  

이종범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과학과) ,  송은영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igh ozone episode occurred frequently in Korea. Moreover ozone episode occurred not only in the city but also in background area where local anthropogenic sources are not important. It analyzed frequency exceeding 100ppb ozone a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Seoul and rural area dur...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경기개발연구원, 2004, 수도권 대기질의 지역간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 2004-01, 경기개발연구원 

  2. 국립환경연구원, 2004,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안 조사 연구 III-광화학 대기오염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 국립환경연구원 

  3. 장명도, 2004 , 광화학 모델을 이용한 수도권지역 오존농도의 시공간 거동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환경부, 2003,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안 조사 연구 II-광화학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의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 환경부 

  5. 홍낙기, 이종범, 최승봉, 원운재, 오근찬, 임병찬, 최금종, 2004, 강원도내 오존농도의 시공간 변화특성, 강원도 대기환경연구원보 

  6. Akimoto, 2006, Analysis of the seasonal variation of ozone in the boundary layer in East Asia using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 What controls surface ozone levels over Japan?, Atmospheric Environment, 40, 1856-1868 

  7. Akimoto, H., H. Mukai, M. Nishikawa, K. Murano, S. Hatakeyama, C M. Liu, M.Buhr, K. J. Hsu, J. T. Merrill, and R. E. Newell, 1996 Long-range transport of ozone in the East Asian Pacific rim region, J. Geophys. Res., 101, 1999-2010 

  8. Bonasoni, P., A. Stohl, P. Cristofanelli, F. Calzolari, T. Colombo, and F. Evangelisti, 2000, Background ozone variations at Mt. Cimone Station, Atmos. Environ., 34, 5183-5189 

  9. Byun, D. W. and Ching, J. K. S. (Eds.),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NERL, Research Triangle Park, NC EPN/600/R-99/030 

  10. Che-Jen Lin, Thomas C. Ho, Hsing-wei Chu, Heng Yang, Santosh Chandru, Nagesh Krishnarajanagar, Paul Chiou, and Jack R Hopper, 2005,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5, 315-323 

  11. Dennis, R. L., Byun, D. W., Novak, J. H., Galluooi, K. J., Coats, C J., and Vouk, M. A., 1996 The next generation of integraed air quality models: EPA's Models-3. Atmospheric Environment, 30, 1925-1938 

  12. Ghim Y. S. and Y. S. Chang, 2000, Characteristics of ground-level ozone distribution in Korea for the period of 1990-1995, J Geophysics. Res., 105, 8877-8890 

  13. Grell, G. A., Dudhia, J., and Stauffer, D. R, 1995, A description of the Fifth Generation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MM5), NCAR/TN-398+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 107 

  14. Grey, M. W., Whitten, G. Z., Killus, J. P., and Dodge, M. C, 1989, A photochemical kinetics mechanism for urban and regional scale computer modeling. J. of Geophysical Research, 94, 12925-12956 

  15. Husar, R B., 1998, spatial pattern of 1-hour and 8-hour daily maximum ozone over the OTAG over the region, A&WMA's 91st Annual Meeting & Exhibition, June 1418, San Diego, CA, paper 98-MA2A.01 

  16. Kazuyo Yamaji, Toshimas Ohara, Itsushi Uno, Hiroshi Tanimoto, Jun-ichi Kurokawa, Hajime 

  17. Memmesheimer, M., Ebel, A., and Roemer, M., 1997, Budget calculations for ozone and its precursor: seasonal and episodic features based on model simulations. J. of Atmospheric Chemistry, 28, 283-317 

  18. OTAG(Ozone Transport Assessment Group) Air Quality Analysis Workgroup, 1997, Final Report, volume I: Executive summary, http://capita.wustl.edu/otag/ reports/adafmvol_1/animations/v1_exsum animb.html(accessed in sep. 1999) 

  19. Pochanart. P., J. Hirokawa, K. Yoshizumi, and H. Akimoto, 1999, Influence of regionalscale anthropogenic activity in northeast Asia on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ozone and caron monoxide observed Oki, Japan, J. Geophys. Res., 3621-3631 

  20. Stockwell., W. R, Middleton, P., Chang, J. S., and Tang, X., 1990, The second generation regional acid deposition model chemical mechanism for regional air quality modeling, J. of Geophysics Research, 95, 16343-16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