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MAQ 모델링을 통한 초기 기상장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예측 민감도 연구
Sensitivity Study of the Initial Meteorological Fields on the PM10 Concentration Predictions Using CMAQ Modeling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3 no.6, 2017년, pp.554 - 569  

조유진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이효정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장임석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 통합예보센터) ,  김철희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nsitivity analysis on $PM_{10}$ forecasting simulations was carried out by using two different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of meteorological fields: NCEP/FNL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Final Analysis) reanlaysis data and NCEP/GFS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모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기질 모델의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초기 기상장의 변화에 대한 미세먼지 모사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재분석 자료인 FNL과 예보자료인 GFS를 기상모델의 초기 및 경계 조건 자료로 사용하여 초기 기상장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모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러한 기상장의 초기조건의 차이가 실제 한반도 내의 도시권역 미세먼지 농도 모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모의결과를 측정치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림 12는 두 초기기상장에 따른 수도권 시간평균 미세먼지의 모의값과 측정값의 일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모든 사례일에 대해 FNL과 GFS를 사용한 결과 모두 미세먼지 농도를 과소모의하고 있으며, 일부 결과에서만 야간의 농도가 증가하여 관측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NL은 어디에 쓰이는가? GFS는 NCEP의 기상 예보 모델 시스템에서 생산된 예보자료로서 예보시스템이나 예보결과가 필요한 연구에 사용되며, FNL은 재분석 자료로서 관측값을 최대한 포함하여 보정된 자료로 GFS보다 약 10% 정도 더 많은 양의 관측값으로 보정된다. FNL은 관측값으로 보정되는 과정에서 GFS가 생성되는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예보시스템이 아닌 일반적인 기상 및 대기질 모의 연구에서 상당히 널리 쓰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두 자료의 관측값으로 보정된 정도의 차이는 기상 및 대기질 모의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상 예보모델은 무슨 초기 기상 입력 자료를 사용하는가? 기상모델의 입력자료인 기상 초기 및 경계 조건 자료에는 예보 시스템과 같이 실시간 모델링에 사용되는 NAM (North American Mesoscale model), NCEP/GFS(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Global Forecast System), 기상청 UM (Unified Model) 등의 예보 자료가 있으며, NCEP/FNL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Final Analysis), NARR(North American Regional Reanalysis), ECMWF의 ERAInterim 등의 재분석 자료가 있다. 우리나라 기상 예보모델은 UM 결과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반 연구그룹에서 많이 사용되는 초기 기상 입력 자료는 NCEP에서 제공하는 NCEP/GFS와 NCEP/FNL 자료이며, NCEP/GFS 자료와 NCEP/FNL 자료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모델링시스템 및 자료동화기법을 통해 생산된다(본 연구에서는 이후 NCEP/GFS와 NCEP/FNL 자료를 편의상각각 GFS와 FNL로 명명하였다). GFS는 NCEP의 기상 예보 모델 시스템에서 생산된 예보자료로서 예보시스템이나 예보결과가 필요한 연구에 사용되며, FNL은 재분석 자료로서 관측값을 최대한 포함하여 보정된 자료로 GFS보다 약 10% 정도 더 많은 양의 관측값으로 보정된다.
기상배출량-화학모델링을 포함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에 요구되는 자료는? 미세먼지, 오존 등의 대기질 예보를 위해서는 기상배출량-화학모델링을 포함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우선 기상모델을 이용하여 모의하고자 하는 영역의 3차원 기상장을 모의하고 대기질 모델에 필요한 시간별 및 종별 배출량 자료를 생성해야 한다. 이렇게 확보된 3차원 기상장과 각 화학종별 배출량 자료를 대기화학수송모델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시간별 대기질 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ppel, W., Gilliland, A., Sarwar, G., Gilliam, R.C. (2007) Evaluation of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 version 4.5: sensitivities impacting model performace: part I - ozone, Atmospheric Environment, 41, 9603-9613. 

  2. Borge, R., Lopez, J., Lumbreras, J., Narros, A., Rodriguez, E. (2010) Influence of boundary conditions on CMAQ simulations over the Iberian Peninsula, Atmospheric Environment, 44, 2681-2695. 

  3. Byun, D.W., Ching, J.K.S.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EPA/600/R-99/030. 

  4. Jang, L.S., Lee, D.G., Yu, J.A., Hong, S.C., Son, J.S., Choi, J.Y. (2014) Status of PM forecast and improvement plan,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MS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3. 

  5. Jang, Y.G., Kim, J., Kim, P.S., Sin, Y.I., Lee, H.J., Choi, M.A. (2009) Comparison of Regional $PM_{10}$ Emission Complemented Fugitive Dust and Biomass burning, Proceeding of the 48th Meeting of KOSAE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69-170. 

  6. Kim, D.Y. (2009) PM Analysis Using CMAQ in Seoul Metropolitan Area, Gyeonggi Research Institue, 33-42. 

  7. Kim, E.H., Cho, J.H., Kim, S.T. (2015) Variation of gas phase simulation and $PM_{10}$ simulated concentration using initial field - February 2014 case,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MS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56-57. 

  8. Kim, E.H., Kim, H.C., Cho, J.H., Kim, S.T. (2015) Analysis of air quality simulation concentration change using WRF and UM simulation results,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837-838. 

  9. Kim, J, Jang, Y.K. (2014) Uncertainty Assessment for CAPSS Emission Inventory by DA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0(1), 26-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o, Y.S., Kim, S.T., Cho, J.S., Jang, Y.G. (2012)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pdated Air Quality Forecasting System for Seoul Predicting $PM_{10}$ , Atmospheric Environment, 58, 56-69. 

  11. Lee, D.G., Kim, S.T., Kim, H.C., Ngan, F. (2014) Retrospective Air Quality Simulation of The TexAQS-II: Focused on Emissions Uncertainty,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8(4), 212-224. 

  12. Moon, Y.S., Lim, Y.K., Lee, K.Y. (2011) An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Asian dust ( $PM_{10}$ ) using WRFSMOKE-CMAQ (MADRID) During Springtime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3), 276-2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Example of air quality modeling report based on air quality modeling guidelines for establishing and evaluating national air policies, 2-6.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3) A Study on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Urban Scale PM Forecasting System (IV), 5-13.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Studies on the optimiz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ir quality modeling, 47-61.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7) The 1st in-depth analysis and information sharing on the controlling factors for low predictability on high $PM_{10}$ episodic cases in 2017 (I), 1-5. 

  17. Park, Y.S., Jang, I.S., Cho, S.Y. (2015) An Analysis on Effects of the Initial Condition and Emission on $PM_{10}$ Forecasting with Data Assimi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1(5), 430-4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eng, G. (2014)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FNL and GFS?, Atmospheric & Geoscience Research Data Archive, Computational & Information systemp Lab.,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19. Tombrou, M., Bossioli, E., Protonotariou, A.P., Flocas, H., Giannakopoulos, C., Dandou, A. (2009) Coupling GEOS-CHEM with a regional air pollution model for Greece, Atmospheric Environment, 43, 4793-4804. 

  2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2007) Guidance on the Use of Models and Other Analyses for Demonstrating Attainment of Air Quality Goals for Ozone, $PM_{2.5}$ , and Regional Haze, EPA-454/B-07-002. 

  21. Wu, Q., Xu, W., Shi, A., Li, Y., Zhao, X., Wang, Z., Li, J., Wang, L. (2014) Air Quality Forecast of $PM_{10}$ in Beijing with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g (CMAQ) system: Emission and Improvement,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7, 2243-2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