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소나무과 나무의 생태와 자연사
Ec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rth Korean Pinaceae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5 no.5, 2006년, pp.323 - 337  

공우석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discussed the species composition, phylogeny, spatio-temporal distribution, ec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rth Korean Pinaceae or pine tree family, which seems to be important to maintain nature and eco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Out of five genera and sixteen species of Pinacea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나무과 나무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 종수의 절반을 차지하여 종다양성이 높고, 남부 도서와 해안부터 북부의 고산지대까지 넓게 분포하여 자연경관과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하며 경제적 가치도 높다. 이 연구는 북한의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당면한 산림파괴에 따른 환경문제 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이다. 연구는 북한에 자생하는 소나무과 나무들의 생태와 자연사를 소나무과 나무들의 종류와 계통, 시·공간적 분포, 생태와 자연사를 지리적인 관점에서 검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소나무과 나무들의 분포 유형을 수평 및 수직적 분포역에 따라 4가지로 나누면? 북한의 소나무과 나무들의 분포 유형은 수평 및 수직적 분포역에 따라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이 가운데 전국 산지형에 속하는 종류는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 3종이고, 중북부 아고산형은 눈잣나무, 종비나무, 이깔나무, 분비나무 등 4종이며, 전국 아고산형은 가문비나무 1종 그리고 북부 격리형은 무산가문비나무, 풍산가문비나무, 만주이깔나무 등 3종이다.
북한에 자생하는 소나무과 나무는? 한반도에 자라는 소나무과 나무 5속 16종 가운데 북한에는 자생하는 소나무과 나무는 소나무속의 소나무, 잣나무, 눈잣나무, 가문비나무속의 가문비나무, 종비나무, 무산가문비나무, 풍산가문비나무, 이깔나무속의 이깔나무, 만주이깔나무, 전나무속의 전나무와 분비나무 등 4속 11종에 이른다.
남·북한에서 지구온난화에 상대적으로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나무과는? 반면에 남·북한의 저지나 중간고도의 산지에 비교적 넓게 분포하며 온난한 기후를 견디는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은 지구온난화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이들은 다락밭 조성을 위한 산림파괴 그리고 솔잎혹파리병, 소나무재선충병과 같은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공우석,1995,한반도 송백류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 원,대한지리학회지,30(1), 1-15 

  2. 공우석,2000,설악산 아고산대 식생과 경관의 지 생태,대한지리학회지,35(2), 77-187 

  3. 공우석,2003,한반도 식생사,대우총서 556, 아카넷 

  4. 공우석,2004,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 과분포,대한지리학회지,39(4), 528-543 

  5. 공우석,2006a, 한반도에 자생하는 소나무과 나무 의 생물지리,대한지리학회지,41(1), 73-93 

  6. 공우석,2006b, 북한의 자연생태계,아산사회복지 재단 연구총서 202호,집문당 

  7. 김왈홍,1991,학생식물사전,금성청년출판사 

  8. 김일성종합대학,1972, 지리용어사전(자연지리편), 교육도서출판사 

  9. 김정락,림권묵,강진조,홍순익,오진권,홍욱근,박 칠성,최태성,1999,조선의 산줄기,과학기술출판사 

  10. 김창하,강응남,2004,관모봉 일대의 제4기 빙하지 형에 관한 연구,지질 및 지리과학,213,30-32 

  11. 김현삼 등,1992,백두산총서 식물,과학기술출판사 

  12. 도봉섭,임록재,1988,식물도감,사회과학출판사 

  13. 류정길,1999,언진산 빙하시기의 자연환경 연구,김일성종합대학학보(자연과학),45(4),114-117 

  14. 리종오,1964,조선고등식물 분류명집,과학원출판사 

  15. 박우일,1999,우리나라 생물종의 다양성,과학백과 사전종합출판사 

  16. 손경희,김남무,1995a, 우리나라 서북지역에서 기 온 분포에 미치는 자연지리적 인자들의 영향에 관한 연구,지리과학,169,7-9 

  17. 승일룡,1963,생물지리,교육도서출판사 

  18. 장진성,김정일,현정오,1997, 한국산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형질분석과 종간유연관계,한국임학회지,86(3), 378-390 

  19. 정태현,이우철,1965, 한국삼림대 및 적지적수론, 성대논문집,10, 329-435 

  20. 임록재 등, 1996-2000, 조선식물지 1-9권, 과학기 술출판사 

  21. 임업연구원,1999,소나무 소나무림,임업연구원 

  22.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 평화문제연구소, 2003-5,조선향토대백과 1-20권,평화문제연구소 

  23. 조성하,2004,우리나라 겨울철 기후 온난화의 대 기 순환적 요인,기상과 수문,345,8-10 

  24. 조성하,채선숙,2004, 우리나라 기후의 온난화와 대기순환 배경,기상과 수문,345, 13-16 

  25. 홍순익,1989,조선자연지리,김일성종합대학출판부 

  26. 편집부,1998,언진산 빙하흔적에 대한 과학발표회, 지질 및 지리과학,189, 1 

  27. Bannister, P. and Neuner, G., 2001, Frost resistance and distribution of conifers , Bigras, F. T. and Colombo, S. T. (eds.) Conifer Cold Hardiness, 3-21,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8. Bobrov, J. V., 1970, Istoriya i sistematiika roda Picea A. Dietr. Nov. Sist. Vyzsh. Rast., 7, 5-40 

  29. FAO/WFP, 2002, FAO/WFP Crop and Food Supply Assessment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ww.fao.org에서 인용) 

  30. Farjon, A., 1984 , Pines: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Genus , E. J. Brill/ Dr. W. Backhuys,Leiden 

  31. Farjon, A., 1990, Pinacea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genera Abies, Cedrus, Pseudolarix,Keteleeriur,Nothotsuga Tsuga,Cathaya, Pseudotsuga,Larix and Picea, Regnum Vegetabile,121, 1-330 

  32. Farjon, A., 1998 , World Checklist and Bibliography of Conifers, Royal Botanical Gardens, Kew, London 

  33. Farjon, A. and B. T. Styles, 1997, Pinus (Pinaceae), Flora Neotropica, Monograph 75, New York Botanical Garden, New York 

  34. Gower, S. T. and Richards, J. H., 1990, Lrches: deciduous conifers in an evergreen world, BioScience, 40, 818-826 

  35. Hong, Y. P., Lee, S. W., and Yang, B. H., 2006, Lack of genetic diversity in populations of Korean fir in comparison to Manchurian fir in Korea, In: Preceeding of Seminar on Conservation of Forest Genetic Resources, May 17-18, 2006, Warm-temperate Forest Research Cente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p.129-142 

  36. Hora, B., 1990, The Marshall Cavendish Illustrated Book of Trees and Forests of the World, Vol. I, Marshall Cavendish, New York 

  37. Hustich, I., 1983, Tree-line and tree growth studies during 50 years: some subjective observations, In Morisset, P. and Payette, S. (eds.), Tree-line Ecology, Proceedings of the Northern Quebec Tree-line Conference, Collection Nordicana No. 47, Quebec: Universite Laval, 181-188 

  38. Kolbek, J. and Kucera, M., 1989, A Brief Survey of Selected Woody Species on North Korea (D.P.R.K), Botanical Institute, Czechoslovak Academy of Sciences, Czechoslovakia 

  39. Kolbek, J. and Kucera, M., 1999, A Brief Survey of Selected Woody Species on North Korea (D.P.R.K) n, Botanical Institute, Academy of Sciences of the Czech Republic, Czech 

  40. Kolbek, J., Kucera, M., Jarolimek, I., and Valachovis, M., 2001, Distribution and Phytocoenology of Selected Woody Species of North Korea (D.P.R.K.), Institute of Botany, Academy of Sciences of the Czech Republic, Pruhonice 

  41. Kong, W. S. and Watts, D., 1993,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pp. 229 

  42. Liu, T. S., 1971, A Monograph of the Genus Abies, Department of Forestry, National Taiwan University, Taipei 

  43. Mirov, N. T., 1967, The Genus Pin us, The Ronald Press Company, New York 

  44. Schmidt, P. A., 1989, Beitrag zur Systematik und Evolution der Gattung Picea A. Dietr. Flora, 182, 435-461 

  45. Srutek, M. and Leps, J., 1994, Variation in structure of Larix olgensis stand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on Paektu-san, Changbai-shan, North Korea, Arctic and Alpine Research, 26(2), 166-173 

  46. Staszkiewicz, J., 1992, Variability of the cones of Picea jezoensis and P. koraiensis (Pinaceae), Fragm. Flor. Geobot., 37(1), 241-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