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39 no.4, 2004년, pp.528 - 543  

공우석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 시ㆍ공간적 분포 생활형을 생물지리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한반도에는 4과 10속 30종의 침엽수가 나며, 지질시대에 일찍 나타난 수종일수록 넓게 분포하고 종수도 많다. 빙하기 동안 한대성 침엽수의 분포지는 넓어졌으나, 난온대성 침엽수의 분포지는 좁아졌고, 높은 산에 격리된 나무의 일부는 고유종이 되었다. 자생 침엽수는 수평 및 수직적 분포역에 따라 고산형, 아고산형, 산지형, 해안형, 도서형, 격리형 등 6대 유형으로 나뉘고, 다시 12소 유형으로 세분된다. 자생 침엽수의 전형적인 생활형은 상록교목으로 봄에 꽃이 피고, 같은 해나 다음 해 가을에 열매가 익으며. 씨앗에 날개가 있어 산포에 유리한 종이 많다. 앞으로 자생 침엽수의 이동과 산포, 유전, 생태, 환경, 문화 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geographical approach on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al range, and life form of native Korean conifers suggests that the Korean Peninsula harbors 4 families 10 genera 30 species. Early-evolved conifers maintain high species diversity and broad distribution. During the glacial periods...

주제어

참고문헌 (61)

  1. 공우석, 1989, '한반도 생물지리구 설정과 종구성' 지리학, 40, 43-53. 

  2. 공우석, 1995, '한반도 송백류의 시.공간적 분포역복원' 대한지리학회지, 30(1), 1-13 

  3. 공우석, 1998, '한라산 고산식물의 분포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3(2), 1-18 

  4. 공우석, 1999,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 식물의 온도적 범위' 대한지리학회지, 34(4), 385-393 

  5. 공우석, 2000, '설악산 아고산대 식생과 경관의 지생태' 대한지리학회지, 35(2), 177-187 

  6. 공우석, 2002,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지, 37(4) , 357-370 

  7. 공우석, 2003, 한반도 식생사, 아카넷 

  8. 구경아. 박원규. 공우석, 2001, '한라산 구상나무의 연륜연대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4(5), 281-288 

  9. 김윤식.고성철.최병희,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 (IV) , 소나무과의 분포도' 식물분류학회지, 11(1, 2), 53-75 

  10. 김종홍, 1989, '한반도 비자나무 분포 실태와 보존에 관하여' 자연보호, 12(2), 26-29 

  11. 김정언. 길봉섭, 1983, '한반도의 곰솔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6(1), 45-54 

  12. 도봉섭. 임록재, 1988, 식물도감, 과학출판사 

  13. 리종오, 1964, 조선고등식물분류명집, 과학원출판사 

  14.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5-84 

  15.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 기 우리의 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16. 유용한, 2002, 상록침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환경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18. 이상태, 1997,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서적 

  19. 이영로, 1986, 한국의 송백류, 이화여대출판부 

  20. 이우철, 1996a,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21. 이우철, 1996b,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22. 이창복, 1982a,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학술원논문집 (자연과학), 11, 71-79 

  23. 이창복, 1982b,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4. 이창복, 1983, '우리나라의 나자식물' 서울대 농대관악수목원 연구보고, 4, 1 -22 

  25. 이창복, 1987, '우리나라 희귀식물의 분포현황과 보존대책' 자연보존, 59, 15-21 

  26. 이춘령.안학수, 1965, 한국식물명감, 범학사 

  27. 임록재, 1996, 조선식물지, 과학기술출판사 

  28. 오수영.박재홍, 2001, 한국 유관속 식물 분포도, 아카데미서적 

  29. 정태현, 1965, 한국동식물도감 식물편(목. 초본류), 문교부 

  30.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대 및 적지적수론.’ 성대논문집, 10, 329-435 

  31. Beck, CB., 1988, Origin and Evolution of Gymnospenn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32. Cope, E.A., 1986, Native and Cultivated Conifer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33. Debazac, E.F., 1964, Manuel des Conifers, Editions de L'Ecole Nationale Des Eaux Forets , Nancy, Imprimerie Louis-Jean, Gap 

  34. Den Ouden, P. and Boom, B.K., 1965, Manual of Cultivated Conifers, Martinus Nijhoff, The Hague 

  35. Farjon, A, 1984, Pines: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Genus, Brill E.J. and Backhuys W., Leiden 

  36. Farjon, A , 1990, Pinaceae: drawings and desoiptions of genera Abies, Cedrus, Pseudolarix, Keteleeria, Nothotsuga, Tsuga, Cathaya, Pseudotsuga, Larix and Picea, Regmum Vegetabile, 121, 1-330 

  37. Farjon, A., 1998, World Checklist and Bibliography of Conifers, Royal Botanical Gardens, Kew 

  38. Farjon, A. & Page, C.N., 1999, Conifer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onifer Specialist Group, Royal Botanic Gardens Kew, London 

  39. Florin, R., 1963, The distribution of conifer and taxad genera in time and space, Acta Horti. Bergiani, 20(4), 121-297 

  40. Kolesnikov, B.P., 1938, High mountain silver-fir of Sikhote-Alin Vestn. Dal'nervost, Fil. Akad. Nauk SSSR 31, 115-122 (Bull. Far Eastern Branch Acad. Sci. USSR) 

  41. Kong, W.S., 2000, Vegetational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Global Ecology & Biogeography, 9(5), 391-401 

  42. Kong. W.S. & Watts, D., 1993,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43. Kriissmann, G., 1985, Manual of Cultivated Conifers, Timber Press, Portland 

  44. Li, H.L., 1953, Present distribution and habitats of the conifers and taxads, Evolution, 7, 245-261 

  45. Miller, CN., 1998, The origin of modern conifer families, Beck, CB.(ed.), Origin and Evolution of Gymnosperms, 448-486,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46. Nakai, T., 1911, Flora Koreana, Journal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11, 379-384 

  47. Nakai, T., 1915-1939, Flora Sylvatica Koreana, Seoul 

  48.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l. Sci. Mus., Tokyo 

  49. Nimsch, H., 1995, A Reference Guide to the Gymnosperm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to Their History, Systematics,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Koeltz Scientific Books, Champaign, USA 

  50.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51. Oldfield, S., Lusty, C and MacKinven, A , 1998, The World List of Threatened Trees , World Conservation Press, IUCN, Cambridge, U. K 

  52. Page, CN., 1990, The families and genera of conifers, in Kubitsky, K(ed.), The Families a띠 Genera of Vascular Plants, 1, 278-361, Springer-Verlag, Berlin 

  53. FitzPatrick, H.M., 1965, Conifers: key to the genera and species, with economic notes, Scientific Proceedings of the Royal Dublin Society, Series A,2(7), 67-129 

  54. Rushforth, K., 1987, Conifers, Facts on File Publications, New York 

  55. Silba, J., 1984, An International Census of the Coniferae, I, Phytological Memois 

  56. Silba, J., 1986, Encyclopaedia Coniferae, Phytologia Memoirs VIII, Corvalis 

  57. Sporne, K.R., 1965, The Morphology of Gymnosperms,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London 

  58. Taylor, T.N., 1976, Introduction: patterns in gyrnnospenn evolution, Review of Paleobotany and Palynlogy , 21(1), 1-3 

  59. Uyeki, H., 1926, Corean timber trees, Vol. 1, Ginkgoales and Coniferae, For. Exp. Stat. Rep., 4,1-154 

  60. Vidakovic, M., 1991, Conifers: Morphology and Variation, (translated by soljan, M.) Graficki Zovod Hrvatske, Zagreb, Croatia 

  61. Welch, J.H., 1991, The Conifer Manual Vol. 1,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