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코인두암 환자에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구강건조증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2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코인두암 환자에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적용한 환자 51명을 설문조사의 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는 3회의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모의치료를 이용한 3단계 치료계획을 시행하는 순차적 조사영역 축소방법을 사용하였고, 총 선량 72 Gy를 목표로 하였다. 구강건조증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점수(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를 측정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경과시간, 성별, 나이, 병기, 항암치료의 병용유무, 그리고 이하선의 평균 방사선량 등에 따르는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항암치료를 병용한 환자가 40명, 방사선치료 단독환자가 11명이었으며, 방사선치료 후 설문조사까지 경과 시간은 중앙값 20 ($1{\sim}58$)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XQS 점수의 평균은 8.4점(최하 6점, 최고 14점, 표준편차 1.9)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경과시간에 따라 XQ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X^2$=-0.484, p<0.05). 성별, 나이, 병기에 따라 XQS 점수의 차이는 없었고, 항암치료를 병용한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단돈 환자와 비교하여 XQS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전체 이하선의 평균선량은 35 Gy 미만에서 35 Gy 이상보다 XQS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코인두암 환자에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 후 측정한 XQS 점수는 방사선치료 후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항암치료를 병용함으로써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이하선에 조사되는 평균선량을 35Gy 미만으로 하는 것이 구강건조증 증상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xerostomia following 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 CRT) in nasopharynx cancer patients using the 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 Materials and Methods: Questionnaire study was done on 51 patients with nasopharynx cancer who received 3D CRT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적용받은 코인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조증의 양상, 즉, 방사선치료 후 경과 시간에 따른 구강건조증의 변화양상과 항암치료의 병용유무와 이하선에 조사된 방사선량이 구강건조증에 미치는 영향 등을 주관적인 평가방법인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코인두암 환자에게 적용한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 료의 특징은 3회의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 mography: CT) 모의치료를 통한 순차적 조사영역 축소 (Serial shrinking field technique)의 원칙에 입각하여 치료계획을 진행한 점이다. 각 단계에서 조사영역의 설정 및 선량은 전통적인 방법 대신에 환자의 임상진찰, 영상검사 및각 단계마다 촬영한 CT를 참고로 하여 환자 개별적으로 결정하였다.
  • 본 연구는 단면상(cross sectional) 연구로서 2005년 11월현재 방사선치료 종료 후 최소 1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고자 하였다. 2000년 12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모두 74명의 코인두암환자들에게 3차원 입체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국소-영역 재발로 방사선 재치료를 받았거나, 조사 당시이미 사망한 환자, 그리고 추적관찰이 불가능한 환자를 제외한 51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Vissink A, Panders AK, Gravenmade EJ, et al.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hyposalivation. Ear Nose Throat 1988;67:166-176 

  2. Yeh CK, Johnson DA, Dodds MW. Impact of aging on human salivary gland function: a community based study. Aging 1998; 10:421-428 

  3. Eisbruch A, Kim HM, Terrell JE, et al. Xerostomia and its predictors following parotid-sparing irradiation of head-andneck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1;50:695-703 

  4. Jen YM, Shin R, Lin YS, et al. Parotid gland-sparing 3-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results in less severe dry mouth in nasopharyngeal cancer patients: a dosimetric and clinical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radiotherapy. Radiother Oncol 2005;75:204-209 

  5. Braam PM, Roesink JM, Moerland MA, et al. Long-term parotid gland function after radi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5;50:695-703 

  6. Lim JH, Kim GW, Keum KC, et al. Parotid sparing radiotherapy technique using 3-D conformal radiotherapy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0; 18:1-10 

  7. Malouf JG, Aragon C, Henson BS, et al. Influence of parotid-sparing radiotherapy on xerostomia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003;27: 305-310 

  8. Chao KSC, Deasy JO, Markman J,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salivary function sparing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receiving intensity-modulated or three-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initial result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1;51:938-946 

  9. Ng MK, Porceddu SV, Milner AD, et al. Parotid-sparing Radiotherapy: does it really reduce xerostomia? Clin Oncol 2005;17:610-617 

  10. Lee SH, Kim TH, Chie EK, et al. Evaluation of xerostomia following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2004; 22:106-114 

  11. Kwong DL, Pow EH, Sham JS, et al.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for early-stage nasopharyngeal carcinoma. Cancer 2004;101:1584-1593 

  12. Amosson CM, Teh BS, Van TJ, et al. Dosimetric predictors of xerostomia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the smart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boost techniqu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3;56:136- 144 

  13. Wu Q, Manning M, Schmidt-Ullirich R, et al. The potential for sparing of parotids and escalation of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reatments of head and neck cancers: a treatment design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195-205 

  14. Al-Sarraf M, LeBlanc M, Giri PG, et al. Chemoradiotherapy versus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nasopharyngeal cancer: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0099. J Clin Oncol 1998;16:1310-1317 

  15. Chan AT, Teo PM, Ngan RK, et al. Concurrent chemotherapy- radiotherapy compared with radiotherapy alone in locoregion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progressionfree survival analysi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J Clin Oncol 2002;20:2038-2044 

  16. Lin JC, Jan JS, Hsu CY, et al. Phase III stud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versus radiotherapy alone for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positive effect on overal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J Clin Oncol 2003;21:631-637 

  17. Kwong DL, Sham JS, Au GK, et al. Concurrent and adjuvant chemotherapy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a factorial study. J Clin Oncol 2004;22:2643-2653 

  18. Wee J, Tan EH, Tai BC, et al. Randomized trial of radi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JCC/UICC (1997) stage 3 and 4 nasopharyngeal cancer of the endemic variety. J Clin Oncol 2005;23:6730-6738 

  19. Yeh SA, Tang Y, Lui CC, et al. Treatment outcomes and late complications of 849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5;62:672-679 

  20. Bjordal K, Kaasa S, Mastekaasa A. Quality of life in patients treated for head and neck cancer: a follow up study 7 to 11 years after radi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4;28:847-856 

  21. Franzen L, Funegard U, Ericson T, et al. Parotid gland function during and following radiotherapy of malignancies in the head and neck: a consecutive study of salivary flow and patient discomfort. Eur J Cancer 1992;28:457-462 

  22. Marks JE, Davis CC, Gottsman VL, et al. The effects of radiation on parotid salivary func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81;7:1013-1019 

  23. Longma LP, Highman SM, Bucknall R, et al. Signs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hypofunction. Postgrad Med J 1997;73:93-97 

  24. Kosuda S, Satoh M, Yamamoto F, et al. Assessment of salivary gland dysfunction following chemoradiotherapy using quantitative salivary gland scintigraph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9;45:379-384 

  25. Bjordal K, Ahlner-Elmqvist M, Tollesson E, et al. Development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estionnaire module to be used in quality of life assessment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EORTC Quality of Life Study Group. Acta Oncol 1994;33:897- 885 

  26. Cella DF, Tulsky DS, Gray G, et al.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 Clin Oncol 1993;11:570-579 

  27. Eisbruch A, Kim HM, Ten Haken R, et al. Dose, volume and function relationships in parotid glands following conformal and intensity modulated irradiation of head and neck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6;45:577-58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