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 환자에서 음허 측정 설문지 절단점 개발 및 진단능 평가
Development Cut-off Value for Yin-deficiency Questionnaire and Diagnostic Ability of Yin-deficiency in Xerostomia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5 no.4, 2014년, pp.483 - 497  

장승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s of study were developing cut-off value of Yin-deficiency questionnaire (YDQ) for diagnosis of Yin-deficiency (YD) and compare diagnostic ability between YDQ and Yin-deficiency scale score (YDS) in xerostomia patients. Methods: We recruited 58 xerostomia patients. They were dia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구강건조증 환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주관적인 구강건조감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1. 그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구강건조감에 대하여 VAS 점수와 이 등18이 개발하여 객관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DMSQ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구강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음허증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복수의 한의사의 진단을 황금기준으로 YDQ의 절단점을 설정하고, 구강건조증 환자에 대한 상기 설문지의 음허증 진단능을 확인하였다.
  • 이에 저자는 음허의 병태생리와 밀접한 구강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YDQ의 절단점을 구하고, 구강건조 환자에게 YDQ와 YDS의 음허증의 평가 및 진단 도구로서의 능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건조증이란 무엇인가? 구강 건조증은 입안이 마르는 주관적인 증상으로써1,2 그 원인으로 노화, 전신질환과 그에 따른 약물치료3 , 소모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및 두경부 방사선 조사4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진단의 확립, 그리고 타액 분비율 등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4 .
기존 음허증의 진단이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기존에 음허증의 진단은 임상한의사의 四診을 통한 辨證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진단과정은 한의사의 사유 변증 체계의 주관성 및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주관성 때문에 발생하는 편차로 인해 객관성 및 재현성 있는 진단 결과 도출에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9 .
구강 건조증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구강 건조증은 입안이 마르는 주관적인 증상으로써1,2 그 원인으로 노화, 전신질환과 그에 따른 약물치료3 , 소모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및 두경부 방사선 조사4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진단의 확립, 그리고 타액 분비율 등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4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Fox PC, van der Ven PF, Sonies BC, Weiffenbach JM, Baum BJ. Xerostomia: evaluation of a symptom with increasing significance. J Am Dent Assoc 1985;110(4):519-25. 

  2. 오정규. 구강건조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지 2002;26(4):331-43. 

  3. Screebny, LM. and Schwartz, SS. A reference guide to drugs and dry mouth. Gerodontology 1986;5:75-99. 

  4.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 Clin North Am 1997;41(4):863-75. 

  5. 劉?, 周京. 口干症的中西?治療進展 2014;41(5):571-4. 

  6. 張文軍. 中?辨?治療老年口干症128例. 成都中?藥大學學報 2009;32(4):34-5. 

  7. 김주연, 김진성, 박재우, 류봉하. 노인 구강건조증에 대한 음허 진단의 유용성 및 주관적 구강 건조감의 영향요인 : 전향적 단면 조사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3;34(3):13-24. 

  8. 최승훈(편저). 한방병리학. 서울: 일중사; 1997, p. 205-7. 

  9. 김숙경, 박영배.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3;7(1):64-75. 

  10. Kim J, Han G, Ko SJ, Nam DH, Park JW, Ryu B, Kim J. Tongue diagnosis system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tongue coatin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 clinical triaI. J Ethnopharmacol 2014;155(1):709-13. 

  11. 이상재, 박종배, 이송실, 김공화. 음허증 측정도구의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검정.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376-80. 

  12. 김진우, 조준영, 유승연, 박경선, 박영재, 이진무. 안면홍조 증상을 호소하는 갱년기 여성의 MRS, MENQOL, HRV, 陰虛설문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4):71-84. 

  13. 손지희, 김진성, 강경, 김주연, 선종기, 한가진, 오승환, 류봉하. 구취 환자에 대한 음허 변증과 심박변이도 검사의 유용성. 대한한의학회지 2011;32(4):100-10. 

  14. 선종기, 김진성, 한가진, 오승환, 손지희, 강 경, 김주연, 류봉하.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음허증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4):473-86. 

  15. Cho SW, Park YJ, Lee SC, Ryu JM, Park YB, Oh HS. Relationships between pathological patternsand quality of life: pathway analys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16. 박세원, 남동현. 음허증 평가 설문지의 국내외 활용 현황조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14;18(2):63-74. 

  17. Park YJ, Cho SW, Lee BH, Park Y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Yin-deficiency scale. J Altern Complement Med 2013;19(1):50-6. 

  18. Lee JY, Lee YO, Kho HS.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005;30(4):383-9. 

  19.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u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A dual-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Clin Periodontol 2003;30:300-6. 

  20. Elizabeth R. DeLong, David M. DeLong, Daniel L. Clarke-Pearson. Comparing the Areas under Two or More Correlat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 Nonparametric Approach. Biometrics 1988;44(3):837-45. 

  21. Marinka Mravak-Stipetic. Xerostomia-Diagnosis and treatment. Rad Medical Sciences 2012;38:69-91. 

  22. 이미라, 한경순, 한수진, 최준선. 주관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RECEDE 모형 적용. 保健敎育.建康增進學會誌 2011;28(1):23-5. 

  23. Nederfors T. Xerostomia and Hyposalivation. Adv Dent Res 2000;14:48-56. 

  24. 허준.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2004, p. 81, 339. 

  25. 채병윤. 동의안이비인후과학. 서울: 집문당; 2011, p. 444, 461-2. 

  26. 최선미, 양기상, 최승훈, 박경모, 박종현, 심범상, 외 20명.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 II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3(1):41-65. 

  27. Pauling JD, Flower V, Shipley JA, Harris ND, McHugh NJ. Influence of the cold challenge on the discriminatory capacity of the digital distaldorsal difference in the thermographic assessment of raynaud's phenomenon. Microvasc Res 2011;82(3):364-8. 

  28. Akobeng AK. Understanding diagnostic tests 3: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cta Paediatrica 2007;96:644-7. 

  29. Suh KI, Lee JY, Chung JW, Kim YK, Kho HS.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flow rate and clinical symptoms and behaviours in patients with dry mouth. J Oral Rehabil 2007;34(10):739-44. 

  30. Takahashi Fumi, Koji Toshiaki and Morita Osami. The Usefulness of an Oral Moisture Checking Device (Moisture Checker for Mucus (R)). J Jpn Prosthodont Soc 2005;49:283-9. 

  31. Wolff M, Kleinberg I. Oral mucosal wetness in hypo- and normosalivators. Archives of oral biology 1998;43(6):455-62. 

  32. Koshimune S, Awano S, Gohara K, Kurihara E, Ansai T, Takehara T. Low salivary flow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3;96(1):38-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