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05년 양양산불 피해 소나무림의 연소량 추정
Estimation of Biomass of Pinus densiflora Stands Burnt Out by the 2005 Yangyang Forest Fir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0 no.2, 2006년, pp.267 - 273  

이병두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장광민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정주상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이명보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  김형호 (국립산림과학원 신림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에 발생한 강원도 양양산불피해지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산불피해도를 $\ulcorner$$\lrcorner$, $\ulcorner$$\lrcorner$, $\ulcorner$$\lrcorner$ 단계로 구분하여 산불연소량을 분석하였다. 산불 후 바이오매스는 지표층, 관목층, 수관층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산불이 발생하기 전의 바이오매스는 산불 인근 지역의 동일한 재적을 갖는 미피해지 임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지표층과 관목층의 바이오매스는 직접 측정에 의해, 수관층의 바이오매스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건중량 추정식과 엽면적지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피해도가 $\ulcorner$$\lrorner$으로 분류된 plot에서는 약 l7,451kg/ha이, 피해도 $\ulcorner$$\lrorner$ plot에서는 8,724kg/ha, 마지막으로 피해가 경미했던 plot에서는 3,693kg/ha이 산불로 인해 연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mass of Pinus densiflora stands burnt out by the 2005 Yangyang forest fire was estimated based on the grades of fire severity; light, moderate and heavy. In order to measure the post-fire ground biomass in kg/ha, the ground fuels including shrub layer were collected and weighted and the crow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월에 발생한 양양 산불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소나무 임분에 있어서 산불피해도 별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연소량을 추정 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지표층의 바이오매스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80°C온도로 무게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한 후 저울을 이용 직접 바이오매스를 측정하였다. 관목층, 수관층과 동일하게 각 피해도 별 연소전 지표층 바이오매스는 미 피해지 임분의 지표층 바이오매스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계산하였다.
  • 따라서 산불연소량을 조사하는 데 있어서 산불피 해 정도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산불 피해도에 대한 정의는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한 식생의 변화로한정하였다(Chafer et al., 2004). 산불피해도의 단계는연구자에 의해 3단계(SunarandOzkan, 2001; 원강영과임정호, 2001; 김형호 등, 2002;정주상 등, 2002)에서 부터 5단계(Chafer 2004)까지 다양하지만 3단계로구분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형호, 이병두, 정주상(2002) 인공신경망 적용에 의한 Landsat 7 ETM+ 영상해독과 소나무림의 산불피해등급 추정. 한국임학회지 91(6): 706-713 

  2. 박인협, 김준선(1989)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천연림의 물질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323-330 

  3. 이병두, 이시영, 정주상(2005) 2005년 강원도 양양산불 행동 특성.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19(4): 6 

  4. 이병두(2005) GIS와 RS를 이용한 2000년 삼척산불 행동 특성 분석 및 산불확산예측모델 개발.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17쪽 

  5. 원강영, 임정호(2001) 단일 시기의 Landsat 7 ETM+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작성. 한국원격탐사학회지 17(1): 85-97 

  6. 정주상, 이병두, 김형호(2002) GIS 및 판별분석에 의한 삼척 산불지역의 소나무임분 피해도 추정. 한국임학회지 91(3): 355-361 

  7. Allison, E.C., Z.F. Peter and E.C. Joseph(2005) Comparison of burn severity assessments using Differenced Normalized Burn Ratio and groun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4: 189-198 

  8. Bartelink, H.H.(1996) Allometric relationships on biomass and needle area of Douglas-fir.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6: 193-203 

  9. Chafer, C.J., M. Noonan and E. Macnaught(2004) The post-fire measurement of fire severity and intensity in the Christmas 2001 Sydney wildf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3: 227-240 

  10. Haugaasen, T., J. Barlow and C.A. Peres(2003) Surface wildfires in central Amazonia: Short-term impact on forest structure and carbon los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9: 321-331 

  11. Holden, Z.A., A.M.S. Smith, P. Morgan, M.G. Rollins and P.E. Gessler(2005) Evaluation of novel thermally enhanced spectral indices for mapping fire perimeters and comparisons with fire atlas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6(21): 4801-4808 

  12. Isave, A.S., G.N. Korovin, S.A. Bartalev and D.V. Ershov(2002) Using remote sensing to assess russian forest fire carbon emissions. Climatic change 55: 235-249 

  13. Key, C.H. and N.C. Benson(2004) Landscape assessment: ground measure of severity, the Composite Burn Index; and remote sensing of severity, the Normalized Burn Ratio. In 'FIREMON: Fire Effects Monitoring and Inventory System'. USDA Forest Services, Rocky MountainsResearch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14. Sah, J.P., M.S. Ross, S. Koptur and J.R. Snyder(2004) Estimating aboveground biomass of broad leaved woody plants in the understory of Florida Keys pine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30: 319-329 

  15. Sunar, F. and C. Ozkan(2001) Forest fire analysis with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2(12): 2265-2277 

  16. Van Wagtendonk, J.W., R.R. Root and C.H. Key(2004) Comparison of AVIRIS and Landsat ETM+ detection capabilities for burn severit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2: 397-408 

  17. White, J.D., K.C. Ryan, C.C. Key and S.W. Running(1996) Remote sensing of forest fire severity and vegetation recov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6: 125-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