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약의 종(種), 부위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 of Medicinal Components by Different Species, Plant Parts and Growth Stage of Paeonia spp.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1 no.3, 2006년, pp.215 - 219  

김세종 (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박준홍 (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김길웅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약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작약의 종 및 품종, 생육시기, 식물체 부위별 성분의 함량 분포와 변화를 HPLC를 이 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약의 종 및 품종간 성분의 함량 분포는 야생작약(P. japonica M., P. obovata M., P. anomala L.) 보다는 재배작약(태백작약, 의성작약)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더 높았고, 성분별 분포는 paeonifloin, methyl gallate, astragalin, kaempferol 순으로 높았으며 methyl gallate 는 의성작약에서 0.45%로 가장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 함량 분포는 methyl gallate는 꽃잎에서 1.79%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는 0.56% 함유하였고, 뿌리에는 0.01%로서 소량 분포하였다. Astragalin 은 꽃잎과 잎에서 높았고, 작약의 지표 성분인 paeoniflorin 은 뿌리에서 2.52%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도 1.09%나 함유하여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생육시기별 함량 분포는 생육초기인 4월에 가장 높았고 생육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므로 잎과 줄기를 이용하려면 뿌리 수확직전인 $8{\sim}9$월이 적기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o change of component by different species, plant parts and growth stage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Among the species of peony, the contents of compounds was higher in cultivated peony (P. lactiflora P.) as compared with wild peony (P. japonica M., P. obobata 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약초의 부산물을 활용하여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작약의 종 및 품종별, 생육시기별 및 부위별로 성분의 분포와 변화 등을 분석하여, 특히 작약의 잎과 줄기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ung, M. G. 2002. Variation of bioactive component contents in plant parts of Paeonia lactiflora 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5) : 392-398 

  2. Kang, K. H. and M. G. Choung. 1994. Yield of Paeonia Radix and changes of paeoniflorin concentration in Paeonia Radix with different growing stage. Korean J. Crop Sci. 39(4) : 397-404 

  3. Kang, S. S., J. S. Kim, E. M. Kim, and H. S. Yun. 1991. Platelet anti-aggregation of paeony root. Kor. J. Pharmacogn., 22(4) : 215-218 

  4. Kang, S. S., J. S. Kim, H. S. Yun, and B. H. Han. 1993. Phytochemical studies on Paeoniae Radix. Kor. J. Pharmacogn. 24(3) : 247-250 

  5. Kim, H. J., E. J. Chang, S. J. Bae, S. M. Shim, H. D. Park, C. H. Rhee, J. H. Park, and S. W. Choi. 2002a. Cytotoxic and antimutagenic stilben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Arch Pharm Res. 25(3) : 293-299 

  6. Kim, H. J., E. J. Chang, S. H. Cho, S. K. Chung, H. D. Park, and S. W. Choi. 2002b. Antioxida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isolated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 1990-1993 

  7. Kim, H. J., S. C. Ha, and S. W. Choi. 2002c.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lipoxygenase activities by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Nurtaceuticals & Food 7(4) : 447-450 

  8. Kim, K. J., J. S. Choi, S. D. Park, J. C. Kim, S. J. Kim, and B. S. Choi. 1997. Root characteristics under harvest time and drying methods of Paeonia lactiflora P. RDA. J. Indus. Crop Sci. 39(2) : 5-9 

  9. Kim, K. J., S. D. Park, C. H. Park, J. H. Shin, J. C. Kim, and B. S. Choi. 2000. Changes of root yield and paeoniflorin content affected by harvesting times in peon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1) : 58-63 

  10. Kim, S. J., J. H. Park, K. J. Kim, B. G. Kim, S. D. Park, and B. S. Choi. 1998. Effects of vinyl mulching on growth and quality of peony (Paeonia lactiflora P.). RDA. J. Indus. Crop Sci. 40(1) : 23-28 

  11. Kitagawa, I., O, M. Sankawa, M. Tomoda, and I. Nishioka. 1982. Pharmacognosy, 2nd Ed. 234-236. Tokyo, Japan 

  12. Nakai. T. 1909. Flora Kareana I pp. 34-37 

  13.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a Flora p.28 

  14. Seong, J. D., H. T. Kim, Y. J. Park, K. S. Kim, J. G. Kim, K. Y. Lee, C. K. Park, H. Y. Kim, H. S. Suh, Y. H. Kwack, and K. H. Park. 1996. A new disease resistant,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herbaceous peony variety 'Taebaekjakyak'. RDA. J. Agri. Sci. 38(2) : 196-200 

  15. 金世鍾. 2004. 芍藥(Paeonia lactiflora P.)의 잎과 줄기의 成分分離同定 및 抗炎症活性. 慶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 論文 

  16. 김찬민, 신민교, 이경순, 안덕균. 1988. 中藥大辭典 제4권. pp. 2179-2189. 제8권. 도서출판 정담 pp. 4839-4845 

  17. 권오근. 1998. 수종의 쑥과 목단피 추출물의 항균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慶北 大學校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서상희, 이향림, 이순재, 최상원, 조성희. 2003. 작약(Paeonia lactiflora P.)씨 추출물과 resveratrol이 흰쥐 체내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7) : 1102-1107 

  19. 이성숙, 문서현, 이학주, 최돈하, 조명행. 2004. 산마늘로부터 단리한 kaempferol과 quercetin의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 목재공학학회 32(1) : 17-27 

  20. 李愚喆. 1996. 原色韓國基準植物圖鑑 도서출판아카데미서적 pp. 125-126 

  21. 이정민, 최상원, 이순재. 2003. 작약(Paeonia lactiflora P.)씨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식이 흰쥐 간 조직의 항산화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6(8) : 793-800 

  22.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369 

  23. 張日武. 전통동양약물데이터 베이스. 1996.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24. 鄭普燮, 辛民敎. 1998. 圖解鄕藥(生藥)大事典(植物篇). 도서출판 영림사 pp. 523-527 

  25. 최옥자. 1991.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pp. 243-247 

  26.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회. 1998. 대한약전 제 7개정 의약품 각조. 문성사 pp. 1053-1054 

  27. 한창렬, 이만상. 1976. 한국에 자생 또는 재배되는 paeonia속의 세포학적 연구. 원광대 논문집 13 : 134-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