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변천사 연구
Vegetation History of Wangdeungjae Moor, Mt. Jiri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29 no.3, 2006년, pp.287 - 293  

장병오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신성욱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최기룡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산 냉온대 낙엽활엽수립대의 식생변천사를 밝히기 위하여 왕등재늪(960 m a.s.l.) 퇴적물을 대상으로 화분 분석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한 화분 포자의 출현율의 변화로부터 다음과 같이 3개의 화분대(Pollen zone)와 2개의 아대(Subzone)로 구분하였다. I. Quercus zone($l50{\sim}114cm$), II. Quercus-Pinus zone($114{\sim}43cm$): IIa. Quercus-Pinus subzone($114{\sim}83cm$), IIb. Quercus-Pinus-Herbs subzone($83{\sim}43cm$), Ill. Pinus-Quercus zone($43{\sim}27cm$) 퇴적물 깊이 $111{\sim}116cm$층의 방사성탄소연대는 $1,160{\pm}40yr$ B.P.로 측정되었다. 이들로부터 지리산 왕등재 일대의 삼림은 크게 신갈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시대, 신갈나무의 점진적인 감소와 소나무의 증가 시대, 소나무의 급격한 증가 시대로 변천하여 왔음을 알 수 있었다. 'Medieval Warm Period (MWP)'와 'Little Ice Age (LIA)'는 적어도 지리산주변 식생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고, LIA가 최성기에 이른 시기에 습지 주변의 초지의 확장과 소나무 속의 점진적인 증가가 확인 되었다. 그 이후 소나무의 갑작스런 증가는 산지 하부 지역에 대한 인간 간섭의 급증에 의한 식생변화의 반영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arried out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from sediments of Wangdeungjae moor (960 m a.s.l.) to clarify vegetation history of 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zone of Mt. Jiri. Three local pollen zones and two sub-zones were recognized on the basis of variation in the palynoflo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는 충실한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과 다양한 프락시 자료(multi-proxy data)를 이용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늪의 형성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섬세한 화분 분석을 통한 식생변천에 대한 논의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부지방 해발 960 m에 위치하는 왕등재늪에 대한 식생변천사의 규명을 통하여 지리산 지역과 그 주변에서 성립, 발달하고 있는 식생 자원의 성인(成因)과 변천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현존 식생의 평가, 잠재 자연 식생의 복원, 미래 식생에 대한 예측과 대응을 위한 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식생변천이 현재까지 밝혀진 광역적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부지방 해발 960 m에 위치하는 왕등재늪에 대한 식생변천사의 규명을 통하여 지리산 지역과 그 주변에서 성립, 발달하고 있는 식생 자원의 성인(成因)과 변천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현존 식생의 평가, 잠재 자연 식생의 복원, 미래 식생에 대한 예측과 대응을 위한 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식생변천이 현재까지 밝혀진 광역적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연옥. 1997. 한반도 고기후의 변화. 자연보존 100:12-17 

  2.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3. 선병윤, 이해복. 1997. 지리산 왕등재습지 관속식물상 및 곤충상 예비조사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4. 송영주. 2002. 韓半島 南部 低地帶의 植生變遷에 關한 花粉學的 硏究(박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울산 

  5. 임양제, 김정언. 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출판부, 서울 

  6. 장남기, 금영복, 오인혜, 손영희. 1987. 대암산 습원의 이탄의 화분 분석에 의한 식생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0: 195- 204 

  7. 최기룡, 김기헌, 김종원, 김종찬, 이기길, 양동윤, 남욱현. 2005. 영산강유역 범람원 화분분석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8: 37-43 

  8. 최기룡. 2001. 무제치늪 화분분석연구. 한국제사기학회지 1: 13-20 

  9. Adhikari DP, Kumon F. 2001. Climatic changes during the past 1300 years as deduced from the sediments of Lake Nakatsuna, central Japan. Limnology 2: 157-168 

  10. Cronin TM, Dwyer GS, Kamiya T, Schwede S, Willard DA. 2003. Medieval Warm Period, Little Ice Age and 20th century temperature variability from Chesapeake Bay. Global Planetary Change 36: 17-29 

  11. Erdtman G. 1960. The acetolysis method. Sovensk botanist tidskrift. 54: 561-564 

  12. Goto S, Hamamoto H, Yamano M. 2005. Climatic and environmental changes at southeastern coast of Lake Biwa over past 3000 years, inferred from borehole temperature data. Physics Earth Planetary Interiors 152: 314-325 

  13. Jian Z, Wang P, Saito Y, Wang J, Pflaumann U, Oba T, Cheng X. 2000. Holocene variability of the Kuroshio Current in the Okinawa Trough, northwestern Pacific Ocean. Earth Planetary Sci Letters 184: 305-319 

  14. Kim JG, Lee YW. 2005. Recent vegetation history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Wangdeungjae moor of Mt. Jiri. Korean J Ecol 28: 121-127 

  15.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Vienna. Vienna, Austria 

  16. Qian W, Zhu Y. 2002. Little Ice Age climate near Beijing, China, inferred from historical and stalagmite records. Quaternary Res 57: 109-119 

  17. Stuiver M, Pieter MG, Braziumas TF. 1995. The GISP ${\delta}^{18}O$ climate record of the past 16,500 years and the role of the sun, ocean, and volcanos. Quaternary Res 44: 341-354 

  18. Yao T, Shi Y, Thompsont LG. 1997. High ressolution record of paleoclimate since the Little Ice Age from the Tibetan ice cores. Quaternary International 37: 19-23 

  19. Yim YJ,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