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면 온도변화에 따른 제주도 후면 흐름구조 변화에 관한 수치연구
Numerical Studies on the Variation of Flow Structure Due to Sea Surface Temperature at the Lee Side of Jeju Island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7 no.1, 2006년, pp.61 - 72  

이순환 (조선대학교 아시아몬순기후환경연구센터) ,  박광순 (장영실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기-해양의 상호작용과 제주도 후면에서 발생하는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상관관계를 수치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카르만 소용돌이는 한라산의 제한된 높이에서 형성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900 hPa고도에서 카르만 소용돌이가 뚜렷이 생성되었다. 카르만소용돌이행렬의 발생초기에는 하나의 소용돌이세포가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용돌이는 이류를 한다. 이때 작은 소용돌이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분리된 소용돌이의 강도와 지속시간은 해수면 온도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즉 약한 해수면의 온도경도는 카르만 소용돌이의 지속 시간을 길게 하며, 산 후면의 소용돌이도를 감소시킨다. 강한 해수면 온도경도는 혼합층과 대기하층 수증기량을 증가시키고, 강화된 하층대기 혼합은 산악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ical studies on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between atmosphere and ocean on the variation of Karman vortex at the lee side of Jeju Island were carried out. Karman vortex tends to be occurred at limited height associated with Hanla mountain. And we can find clear Karman vortex at 900 hPa he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기-해양의 상호작용이 독립된 도서지형인 제주도 후면에 발생하는 흐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제주도의 한라산에 의하여 발생하는 후류는 일정한 고도에서 제한적으로 발달하며, lOOOhPa 이하의 고도에서는 산악에 의한 요란이 나타나지 않는다.
  • 하지만 이러한 독립지형 후면의 중규모적인 흐름이 대기-해양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변질되는정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연구에서는 해수면 온도변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대기-해양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주도 후면에 형성되는 흐름의 변화를 살펴보고 흐름의 변화 메커니즘을 수치실험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류찬수, 신유미, 이순환, 2004, 해안지형 복잡성이 중규모순 환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기상학회지, 40(1), 71-86 

  2. 이순환, 박광순, 2004, 독립된 산악지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규모소용돌이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0(2), 191-202 

  3. 이순환, 이화운, 김유근, 1999, 대가환경모형에 대한 지형성 난류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8, 653-660 

  4. 이용희, 김용상, 최준태, 오재호, 2000, 고해상도 지상 - 해수면 자료가 지역규모의 국지순환 예측에 미치는 영향 - 제주청 한라 단시간 예측시스템,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발표집, 56-59 

  5. 이종웅, 2002, 지역대기모형을 이용한 제주도 배후의 Karman Vortex Street현상의 산정.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9 p 

  6. 현종훈, 이동규, 1990, 3차원 중규모 모델을 이용한 제주도에서의 해륙풍 모의. 한국기상학회지, 26(2), 121-136 

  7. Atkinson, B.W., 1981, Meso-scale Atmoshperic Circulation. Academic Press, 495 pp 

  8. Dudhia, J., Gill, D., Guo, Y.-R., Manning, J., and Wang, W., 2000, PSU/NCAR Mesoscal Modeling System Tutorial Class Notes and Users' Guide (MM5 Modeling System Version 3), mesoscale and Micro. NCAR-Technical Note, 90p 

  9. Hubert, L.F. and Krueger, A.F., 1962, Satellite Pictures of Mesoscale eddies. Monthly Weather Review, 90, 457-463 

  10. Kang, S.-D., 1997, A Numerical Study on the Mesoscale Disturbance in the Lee of an Isolated Mountain. Ph.D. Thesis, University of Tsukuba,. 150p 

  11. Smolarkiewize, P, K. and Rotunno, R., 1989, Reply. Journal of Atmosphere Science, 46, 3614-3617 

  12. Yagi, S., Kimura, F., and Takahashi, T., 1987, Karman Vortex in the Atmosphere: Analysis, Consideration and Numerical Experiment with Two-Layer Model(in Japanese). Proceeding of Annual Meeting of Japan Meteorological Society, Oct, 198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